제목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9.06 02:10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 '이승만포럼'서 "이승만이 국방과 국법질서의 머리였다면, 김창룡은 손발..."


  “이승만이 국방과 국법질서의 머리였다면, 김창룡은 손발 이었다. 반공의 선봉장, 타공(打共)의 영웅, 멸공의 일인자, 부정부패 척결의 선봉장인 김창룡 장군의 뇌리에는 군과 자유 대한민국, 그리고 국가를 이끌어 가는 이승만 대통령만이 존재했다. 1948년 10월 10일의 여순사건 직후부터 김창룡이 주도한 숙군 사업이 없었다면, 6·25전쟁에서 자유대한민국은 지구상에서 사라졌을 것이다.” 13일 오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이승만포럼’에서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이 토로한 발표 내용이다.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은 이 날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발표한 ‘이승만과 김창룡’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렇게 말하고 “건국 대통령 이승만 박사는 국방을 국가정책의 제1순위라는 신념으로 일관한 인물"이라며 이 박사를 “서독의 아데나워 수상, 일본의 기시 수상과 함께 지난 세기 세계사를 움직였던 3인의 한 사람”이라고 지칭했다.

 ▲ 13일 뉴데일리가 주관한 '이승만 포럼'에서 '이승만과 김창룡'제하로 강연하고 있는 이대인 한국정보문화연구원장ⓒkonas.net

 그는 또, “리더십 전문가인 웨런 버니스가 지적하였듯이, 역사상 성공한 지도자들은 최악의 절망감을 겪은 뒤 삶에 대한 신념을 새롭게 하고, 꼭 필요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일에 모든 인생을 건다”며 이승만과 김창룡이 그러한 경우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원장은 이승만 박사가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할 수 있도록 손발이 되어준 사람이 ‘대한민국특무대장 김창룡’이라며 그의 사상과 업적을 조명했다.

 이 원장은 김창룡에 대해 “6·25전쟁 기간과 휴전 후에 이승만 정권을 넘보던 군내부의 세 차례 쿠데타 시도를 막고 두 차례의 대통령 암살 기도를 차단했다”며 김창룡의 공적을 “2차대전 후 건국된 다수의 신생국들이 군부 쿠데타와 부정부패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사실에 비추어 보면 더욱 더 가치가 있어 보인다”고 표명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김창룡 장군에 대해 ‘자신의 영달을 꾀하는 폭군, 이승만 독재의 사병, 정치의 시녀, 친일파, 김구 선생 암살의 배후 인물’로 왜곡되고 있다며 안타까워 하면서 사실이 아님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김창룡 장군의 출생과 관동군 특무대 발탁 후 활약 상, 2차례의 사형수 신세, 탈출 월남, 군 입대와 숙군과정 등을 소개 하면서 “그가 벌인 활약 중 6·25직전까지 이루어진 남한내의 숙군작업은 군사 전문가들도 그로 인해 6.25전쟁 중 UN군 투입이 가능했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김창룡 장군은 6·25전쟁 발생부터 1956년 1월 30일, 저격을 받아 사망하기까지 "이승만 대통령 저격범 유시태 사건 처리, 군부의 세 차례 쿠데타 시도·부정부패 척결, 부산 정치파동과 군부 쿠데타 모의 수습 등으로 당시 대한민국 체제 전복 예방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김창룡 장군의 일생이 국민들에게 왜곡되지 않고 올바르게 전달 되어 그의 넋이 참된 가치로 위로 되기를 염원했다.(Konas)

                                                                                                <참고문헌>

   1. 이영찬,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Konas, 2011.7.14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4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33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37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35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49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38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316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699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57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288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54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295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83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283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65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42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70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20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61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49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37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