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8.29 02:16

무국적 고려인의 힘든 삶: 조국을 그리는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프로파일 ramen_suika ・ 2024. 7. 17. 10:05
URL 복사  이웃추가 

<조국아 울지마라>

독립운동가 이종국의 후손 시인 이 스타니슬라브

조국아 울지마라

우리들이 울어도 너는 울지 마라

우리 조상들 너를 위해 목숨 바치면서

독립군으로 싸웠다

그러나 그 기쁜 날 멀리서 보고만 있었다.

조국아 울지마라

리들이 울어도 너는 울지마라

눈물 감추면서 우리 옛날 수도 서울 보고 있다.

이스타니슬라브 시인의 시 <조국아 울지마라>를 통해 본 고려인의 아픔

이스타니슬라브 시인의 시 <조국아 울지마라>는 조국을 향한 그리움과 무국적자로서 겪는 고통을 절절하게 드러냅니다. 그의 조부인 이종국은 독립운동가였지만, 정작 후손인 이스타니슬라브는 조국 땅을 밟지 못하고 멀리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에 놓여 있습니다. 시인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조상들의 희생을 기리면서도, 정작 자신은 무국적자로서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시를 통해 고발하고 있습니다.

무국적 고려인, 그들은 누구인가?

무국적 고려인은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지에 거주하는 한민족 diaspora로, 국적이 없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당시 강제 이주, 독립운동 등 다양한 이유로 조국을 떠나 타국에서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소련 붕괴 이후 국적을 취득하지 못하고 무국적 상태로 남게 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무국적 고려인이 겪는 어려움

무국적 고려인은 법적 지위가 불안정하여 취업, 교육, 의료 등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합법적인 체류 자격을 얻기 위한 비자 발급이 쉽지 않아 강제 추방의 위험에 놓이기도 합니다. 또한, 언어 장벽, 문화 차이 등으로 현지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고려인 지원을 위한 노력

한국 정부는 무국적 고려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방문취업(H-2) 비자, 재외동포(F-4) 비자 등을 발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려인 지원 단체들은 한국어 교육, 취업 지원, 법률 상담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https://www.goodneighbors.kr/campaign/diaspora24a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59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46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42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61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45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327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722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67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300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63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306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90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293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74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52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79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28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67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56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44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