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0 14:45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1948년 월남 후 등단, 시집 18권출간    전후 황폐한 담은 '꽃의 반향' 호평    일본 등 세계에 한국시 알리기 힘써  이중섭과 우정, 은바기 그림 지켜내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통을 이어온 것으로 평가받는 김광림 시인이 9일 9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고인은 생전 18권의 시집을 출간했고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다. [사진 한국시인협회]
   “꽃은 꺾인 대로 화병에 담아 채우면 / 금시 향기로워 오는 / 목숨인데 / 사람은 한번 꺾어지면 / 그만 아닌가 (중략) 사람도 그만 향기로울 데만 있으면 / 담아질, 꺾이어도 좋은 / 꽃이 아닌가” (1959년 ‘사상계’에 발표한 시 ‘꽃의 반항’)  
  일상의 기쁨과 슬픔, 삶과 죽음의 의미를 성찰적인 시어로 노래했던 문단의 원로 김광림(본명 김충남) 시인이 9일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9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48년 단신으로 월남했다. 홀로 시를 습작하던 중 청록파 시인 박두진의 권유로 ‘연합신문’을 통해 시 ‘문풍지’로 등단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육군 소위로 참전하기도 했던 그는 전후인 1959년 첫 시집 『상심하는 접목』을 펴냈다. 


  1961년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김종삼, 김요섭 시인과 함께 문예지 <<현대시>> 창간 동인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2009년 청마문학상을 수상한 『허탈하고플 때』까지 총 18권의 시집을 출간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시는 정지용·김기림에서 시작해 김광섭·박남수 등으로 이어져 온 한국 시의 모더니즘 전통을 잇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필명 ‘광림’은 존경하던 시인인 김광균의 ‘광(光)’과 김기림의 ‘림(林)’을 따서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9년 발표한 그의 시 ‘꽃의 반항’은 꽃과 인간의 속성을 대비시키며 전쟁 후의 황폐한 내면을 담아낸 작품으로 호평받았다. 이후 그의 시들은 일상에서 느낀 다양한 감정을 해학과 풍자에 담아 대중들에게 다가갔다. 1989년 출간된 시집 『말의 사막에서』에 실린 ‘덤’에선 “나이 예순이면 / 살 만큼은 살았다 아니다 / 살아야 할 만큼은 살았다 / 이보다 덜 살면 요절이고 / 더 살면 덤이 된다 / 이제부터 나는 덤으로 산다(후략)”며 나이 드는 예술가의 회한과 다짐을 노래하기도 했다.             화가 이중섭(1916~56)과의 인연도 널리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은 해방 직후인 1947년 원산에서 만나, 화가가 작고한 1956년까지 우정을 이어갔다. 이중섭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은박지 그림’은 김광림 시인에 의해 탄생했고, 세상에 살아남았다. 그는 장교로 복무하던 시절 외출을 나올 때마다 이중섭의 요청으로 보급품 박스 속에 있던 양담배 은박지를 모아 전해줬다고 한다. 이후 예술 활동에 회의를 품은 이중섭이 “내 그림은 다 가짜”라며 모두 불살라버리라고 부탁했지만, 그는 잘 보관했다가 이후 이중섭과 같이 머물던 소설가 최태응을 통해 돌려줬다. 그는 2006년 펴낸 『진짜와 가짜의 틈새에서-화가 이중섭 생각』이란 책에 이런 두 사람의 인연을 기록하기도 했다.

   1992~94년 제28대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낼 땐 일본·대만 등의 시인들과 교류하며 한국시를 세계에 알리는 데 힘썼다. 1990년 세계시인대회 당시 일본의 유명 시인 시라이시 가즈코(白石かずこ)가 ‘오늘의 율리시스’라는 시를 낭독하자, 김 시인은 “나는 북에서 온 한국의 율리시스”라고 답했다. 이 일화가 알려지며 ‘한국의 율리시스’란 애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9년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2001년 국가유공자증서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 아들 김상수(바움커뮤니케이션 회장)·상일(조각가)·상호(대만 과기대 학장 겸 대만 현대시인협회장)씨, 딸 김상미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은 11일 오전 10시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515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01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25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22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31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25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298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656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37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267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41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280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62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270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50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30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51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07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39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34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23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