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5.24 03:48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의 뜨거움/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 돌아서는 내 등 뒤에 터지던 네 울음./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시 ‘가난한 사랑노래’ 중에서)

한국 현대 문학사(史)에 한 획을 그은 ‘리얼리즘의 개척자’이자 ‘민중적 서정시인’. 시 ‘가난한 사랑노래’ ‘농무(農舞)’ ‘목계 장터’ 등으로 잘 알려진 원로 시인 신경림(89)이 22일 별세했다. 유족과 문단 관계자들에 따르면, 신 시인은 이날 오전 8시 16분 일산 국립암센터 호스피스병동에서 숨을 거뒀다.

   원로 시인의 마지막 말은 ‘글 쓰고 싶다’는 중얼거림이었다고 한다. 차남 신병규씨는 본지와 통화에서 “마지막 가시는 순간까지 병상에서 글을 쓰고 싶어 하셨다”고 했다. “(아버지에 대해) 무슨 말을 해야 할까요…. ‘글을 안 쓰는 삶이 무슨 의미가 있나’ 말씀하셨습니다. 돌아가시기 며칠 전부터는 의식이 없어 말씀을 아예 못하셨어요.” 반세기 넘게 시인으로 활동하며 서민들의 슬픔과 한(恨), 굴곡진 삶의 풍경 등을 친근하게 노래했다.

   1935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났다. 충주고를 졸업하고, 동국대 영문과 재학 중이던 1956년 문예지 ‘문학예술’에 시 ‘갈대’ 등을 발표했다. 정지용 시인의 맥을 잇는 이한직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했다. 소설가 이호철·선우휘, 평론가 이어령·유종호 등이 ‘문학예술’ 출신이다. 서정주 시인으로 대표되는 ‘순수시’ 계열과 차별화된다. 김사인 시인은 “전통과 토착에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고, 합리성을 바탕으로 세계에 대한 열린 지적 추구 정신을 갖는 우리 문학의 중요한 맥을 계승해온 선배 시인”이라고 했다.

2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고(故) 신경림 시인의 빈소가 마련됐다. /연합뉴스© 제공: 조선일보

   신 시인은 1973년 시집 ‘농무’를 월간문학사에서 자비로 출판했고, 이듬해 제1회 만해문학상을 받았다. 이에 창작과비평사는 1975년 시 17편을 추가해 시집 ‘농무’를 ‘창비 시선(詩選)’의 첫 시집으로 냈다. 그 뒤로 창비와는 각별한 인연을 맺었다. 실천문학사에서 낸 시집 ‘가난한 사랑노래’(1988)를 제외하곤 시집 ‘새재’(1979), ‘달 넘세’(1985), ‘쓰러진 자의 꿈’(1993),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8), ‘뿔’(2002), ‘낙타’(2008), ‘사진관집 이층’(2014) 등 대부분의 시집을 창비에서 냈다. 지난달 창비 시선 500권을 기념한 특별시선집 ‘한 사람의 노래가 온 거리에 노래를’은 그의 시 ‘그 여름’의 한 구절이다. 1980년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에 연루돼 수감 후 석방되는 등 고초를 겪기도 했다.

   7년 전 발병한 대장암이 최근 재발하면서 건강이 급속도로 악화했다. 신 시인은 2017년 대장암 진단을 받았지만, 수술과 항암·방사선 치료를 받고 완쾌하다시피 했다. 신 시인의 제자이기도 한 서홍관 국립암센터원장은 “최근 병원을 찾으셨는데 대장암이 재발했고, 폐까지 전이된 상태인 걸 확인했다. 2주 전 호스피스병동에 입원하고 빠르게 건강이 나빠졌다”고 했다. 서 원장은 1981년 서울대 의대 본과 3학년 문예반 시절, 신 시인을 초청해 강연을 들은 후 신 시인을 은사로 모셨다. 신 시인의 격려로 등단까지 한 각별한 인연. “돌아가신 직후 손을 잡아 드렸는데 손이 얼마나 따듯했는지….”

   문인들은 그를 ‘따듯하고 온화한 사람’으로 기억했다. 이시영 시인은 “리얼리즘 시를 쓰면 무서울 것 같다고 선입견을 갖지만, 굉장히 따듯한 사람이었다”고 했다. 한국시인협회장 김수복 시인은 “우리 시를 역사와 현실에 가까이 끌고 오신, 우리 시의 큰 산맥이었다”며 “후배들에게는 너무나 자상한 선배였다”고 했다. 도종환 시인은 “가난하고 소외되고 못난 사람들을 품어 안는 시를 써온 시단의 거목이었다”고 했다.

  유족으로 아들 병진·병규씨, 딸 옥진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는 주요 문인 단체가 함께 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4일간 치러진다. 발인은 25일 오전 5시 30분.

                                                                                             <참고문헌>

   1. 황지윤, "글 쓰고 싶다” 마지막 말 남기고 떠난 시단의 거인 신경림", 조선일보, 2024.5.23일자. A20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7120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207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141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136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138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129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173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310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202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172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153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167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157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151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153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133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148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124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126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148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136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