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 노벨평화상은 필리핀 마리아 레사와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토프에게 돌아감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0.12 03:49

  

                               2021년 노벨평화상은 필리핀 마리아 레사와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토프에게 돌아감


  86년 만에 언론인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게 된 필리핀 언론인 마리아 레사와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코프의 수상 소감은 언론의 존재 이유를 다시금 일깨웠다. 노벨위원회가 수상자 선정 이유에서 설명했듯 이들은 권력에 맞서 진실을 계속 파헤쳐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레사는 8일(현지시간) 노르웨이 노벨위원회의 수상자 발표 이후 인터뷰에서 언론의 존재이유부터 말을 꺼냈다. AFP통신에 따르면 레사는 자신이 공동 설립한 탐사보도 매체 ‘래플러’를 통해 생중계된 인터뷰에서 “사실 없는 세상은 진실과 신뢰가 없는 세상을 의미한다”고 소감을 말했다. 레사는 수상 사실에 깜짝 놀랐다면서도 “(자신과 래플러는) 하고 있는 일을 계속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장 위험한 때가 가장 중요한 때”라며 “우리는 계속해서 빛을 비추어야 한다”고 단언했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며 정권의 탄압을 받고 있지만 뜻을 꺾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공동 수상자인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토프는 수상 영광을 동료에게 돌렸다. 그는 “나는 이 공을 차지할 수 없다”며 “공은 노바야 가제타의 것”이라고 말했다고 타스통신은 보도했다. 무라토프는 이어 “(노벨 평화상은) 언론의 자유에 대한 국민의 권리를 옹호하다 사망한 사람들에게 수여됐다”고 덧붙였다. 자신과 함께 노바야 가제타에서 진실을 밝히다 숨진 6명의 기자들을 기리는 의미로 해석된다. 공교롭게도 수상자 발표 전날인 7일은 지난 2006년 아파트 입구에서 총에 맞아 숨진 안나 폴리트콥스카야 기자의 기일이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한편 무라코프와 각을 세워 왔던 러시아 정부는 탐탁잖은 축하 메시지를 발표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대통령궁) 대변인은 이날 무라토프의 수상 소식에 관해 “우리는 무라토프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축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이어 “무라토프는 자신의 이상에 따라 집요하게 일하며, 헌신적이고, 재능 있고, 용감한 인물”이라고 덧붙였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참고문헌>

  1. 김진욱, "우리는 계속 빛을 비춰야 한다"... 언론 존재 이유 일깨운 노벨평화상 수상자들", 한국일보, 2021.10.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646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67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49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45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65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48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334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739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71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304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65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309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94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300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81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55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83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30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71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58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48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