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9.21 00:45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임종국(林鍾國, 1929.10.26-1989.11.12) 선생이 생전에 펴낸 친일파 관련 수많은 저서 중에서 최고봉은『일제침략과 친일파』(청사, 1982)이다.

 

                                                  

 

   그는 일제침략을 고종 13년인 1876년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부터 처서 ‘36년간’이 ‘70년’으로 보고 침략의 골자로 사상 침략, 자원 침략, 대륙 침략, 종교 침략, 문화 침략, 경제 침략, 교육 침략 기타 등의 8개 분야로 구분했다.

   그런데 이 책은 일제 침략의 8개 분야 중에서 앞의 3개 분야의 일제 침략만 다루고 있다. 실제로 제1편에서는 사상 침략과 친일파, 제2편에서는 자원 침략과 친일파, 제3편에서는 대륙 침략과 친일파를 다뤘다.

   말년에 그는 이 8개 분야를『친일파총서』로 엮어낼 계획이었지만 아쉽게도 1989년 그의 타계로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그는『일제침략과 친일파』의 책 머리에서 그간 친일파 연구가 우리 사회에서 공백으로 남아온 데 대한 그의 견해를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해 설명했다.


   첫째로 오욕의 역사여서 건드리고 싶지 않다는 ‘은폐론’

   둘째로 당사자나 유족의 체면을 위해 덮어 두었으면 하는 ‘인정론’

   셋째로 친일을 막연하게 스캔들 정도로 생각하면서 비방거리로 삼으려는 대중적 경향 등을 꼽았다.

   어찌 보면 일반론적인 얘기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정곡을 찌른 분석으로 판단된다. 과거, 적어도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 대부분이 이런 입장이었던 게 사실이다. 역사 연구가 기본인 역사학계는 물론 관련을 맺고 있는 정치학·사회학계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언론계조차도 입을 다물었던 상황이었다. 모두 하나같이 죽으라고 독립운동사만 파고들었을 뿐이다.

   당초 그는 음악과 문학을 좋아했으나 음악과 문학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해서 역사연구, 즉 친일배족사 연구에 일생을 바쳤다.

   그가 친일 문제에 빠져들고 친일 문학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다른 분야 자료가 자꾸 나오자 친일 문제 전반 8개 분야, 나아가서 정신대, 생활사 분야까지도 연구 대상을 확대해 나가 전체 10개 분야로 넓혀나갔다. 그리하여 임종국 선생은 친일파 연구의 개척자,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1. 정운현,『임종국평전』, 시대의 창, 2006.11.24. pp.400-405.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29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36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38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36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52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39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317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701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58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290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56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296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84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284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67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44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72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22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63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50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38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