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이동녕 선생 선양 사업 지지부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1 13:39

                                    

                                         이동녕 선생 선양 사업 지지부진


                                                                     서훈 1등급 상향 불발,  기념관 협소 추모각 부재., 위상 걸맞게 활성화 절실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지났지만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초대 의장을 지낸 이동녕 선생의 선양사업은 지지부진함을 면치 못하고 있다. 임정 주석 등을 역임, 일생을 조국 독립에 헌신한 이동녕 선생의 서훈 등급 상향은 불발됐고 기념관은 협소하며 추모각도 부재한 실정이다.

    3·1운동 100주년과 임정 수립 100주년인 지난 2019년 천안 태생의 이동녕 선생 서훈 등급 상향 요구가 빗발쳤다. 천안시의회와 충남시·군의장협의회가 '석오 이동녕 선생 서훈 등급 상향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청와대 국민청원도 제기됐다. 앞서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의 서훈은 기존 3등급에서 2019년 2월 1등급으로 격상됐다. 이동녕 선생의 서훈은 각계 요청에도 여전히 2등급에 머물러 있다.

    이동녕 선생은 기념관도 협소하다. 고향인 천안시 목천면 동리에 2012년 개관한 단층의 석오이동녕기념관은 건축면적 349.17㎡이다. 병천면 유관순 열사 사적지 내 유관순열사기념관은 규모가 542.7㎡이다. 석오이동녕기념관 규모가 유관순열사기념관의 64% 수준이다. 천안시는 유관순열사기념관 증축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지상 2층 규모의 672.84㎡ 증축공간은 교육실을 구비해 학교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내년 준공 목표인 기념관 증축사업에는 국비와 시비 등 총 28억 1500만 원을 투입한다.

    이동녕기념관은 교육실이 없다. 유관순 열사 사적지는 추모각도 있지만 이동녕 선생 생가지는 부재하다. 유관순 열사와 달리 이동녕 선생은 표준영정도 없다.

    천안시문화도서관사업소는 이동녕 선생 추모각과 교육관 건립, 기념광장 조성 등을 추진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지난 4월 석오이동녕기념관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구상했지만 1회 추경에 용역비 2000만 원을 확보 못해 무산됐다. 협소한 규모로 관람객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전시 구성도 힘든 여건에 코로나19까지 겹쳐 이동녕기념관 방문객은 2015년 1만 830명에서 2020년 2502명으로 뚝 떨어졌다. 올해도 7월까지 방문객은 1137명 뿐이다. 반면 같은 기간 유관순열사기념관은 3만여 명이 찾았다.

    석오이동녕선생선양회의 염남훈 공동대표는 "선생의 공훈과 위상에 비해 선양사업이 미비하다"며 "미래세대들이 이동녕 선생을 더 많이 알 수 있도록 교과서에 등재 소개하고 1등급으로 서훈 상향도 관철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념관 확장, 교육관과 추모각 건립도 필요하다고 덧붙혔다.

    시 관계자는 "기념관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내년 본 예산 편성을 추진 중"이라며 "이동녕 선생의 서훈 1등급 상향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은 없다"고 말했다.

    이동녕 선생은 1869년 천안시 목천읍 동리에서 출생했다. 임시의정원 초대의장으로 국호, 임시헌법, 민주공화정부수립을 선포했고 국무총리, 국무위원 등의 중책을 맡아 임시정부를 실질적으로 이끌었다. 윤평호 기자
                                                                                     <참고문헌>
   1. 윤평호, "이동녕선생 선양 사업 활성화 필요", 대전일보, 2021.8.11일자. 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89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42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42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39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56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41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322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707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64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296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60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302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87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288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70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48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75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23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64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53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41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