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6.13 16:00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 사진/ 태안읍성 복원 조감도.


    태안군이 관내 주요 역사자원인 태안읍성,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신두리해안사구를 종합적으로 정비해 역사 관광기반 마련에 두 팔 걷고 나섰다.

    2021년 6월 9일 군에 따르면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 종합정비사업을 비롯해 태안읍성 복원사업과 마애삼존불입상 보존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해 체계적으로 역사자원을 보전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군은 내년부터 2031년까지 천연기념물 제431호인 신두리 해안사구의 종합정비사업에 총 290억 9천만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지난 3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한우방목 및 소똥구리 복원 용역을 비롯해 토사제거 공사, 목책정비 공사, 외래식물제거 공사, 탐방출입로정비 공사, 모니터링 용역 등 올해엔 7억 1600만 원을 들여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단기, 중기, 장기 사업으로 나눠 총 6개 부문 11개 계획 45개 단위 사업으로 추진돼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해안사구인 신두리 해안사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신두리 해안사구는 이색적인 경치로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사진 명소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태안의 관광명소 중 하나다.

   또한 군은 600년의 역사를 지닌 충청남도기념물 제195호인 태안읍성 복원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417년에 축조된 태안읍성은 조선 초기 읍성 축성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지난 4월에는 태안읍성에서 문지, 옹성, 해자, 수로 등이 확인되고 각종 유물이 출토돼 큰 관심을 끈 바 있다.

   군은 지난달 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 발굴조사를 완료했으며 총 43억9천만 원을 투입하는 태안읍성 복원공사를 금년 하반기에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7월까지 관계전문가 자문을 통한 복원범위 설정 및 기본․실시설계도서 작성을 마치고 오는 8월 충청남도 문화재위원회에 현상변경허가를 신청. 국보 제307호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의 보존에도 적극 추진 한다.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은 우리나라 마애불상의 초기 예시로 일반적인 삼존불상과 달리 2구의 불입상과 1구의 보살입상이 한 조를 이루는 특이한 형식을 보이는 삼국시대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상으로 유명하다.

   군은 지난해 2월 마애삼존불입상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3월 문화재청 심의를 거쳤으며 현재 자동 정밀계측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거동특성 분석의 내용을 담은 모니터링 용역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오는 8월 보존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고 학술심포지엄 개최 등 마애삼존불 보존관리방안 연구용역을 착수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태안의 풍부한 역사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찾고 싶은 역사 관광지로 만들어 가겠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다양한 역사문화 자원을 보존함과 동시에 최신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김정한,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대전투데이, 2021.6.10일자. 10


시청자 게시판

2,426개(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4 2018.04.12
2405 한반도 공룡 발자국 신상구 433 2024.11.20
2404 대전국제사진축제 신상구 237 2024.11.20
2403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신상구 235 2024.11.19
2402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신상구 249 2024.11.18
2401 조선 독립만세 외친 이들 위해 기도하고 기록했던 美선교사 신상구 238 2024.11.18
2400 증언으로 재구성한 종량제 30년 신상구 316 2024.11.17
2399 조선시대 과거제도 신상구 699 2024.11.17
2398 배재학당과 벧엘 예베당을 세운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57 2024.11.17
2397 벼슬 멀리한 장인, 연암이 과거 포기하자 오히려 기뻐해 신상구 288 2024.11.17
239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신상구 254 2024.11.15
2395 원불교 명상법 신상구 295 2024.11.14
2394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신상구 283 2024.11.14
2393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신상구 283 2024.11.13
2392 휴머노이드 로봇 신상구 265 2024.11.13
2391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신상구 242 2024.11.12
2390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70 2024.11.12
2389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신상구 220 2024.11.11
2388 성심당 경영학 사진 신상구 261 2024.11.10
2387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신상구 249 2024.11.10
2386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신상구 237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