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특별기고> 제13회 의병의 날을 기념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6.01 03:21

          

                                                  <특별기고> 제13회 의병의 날을 기념하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문학평론가, 칼럼니스트) 대산 신상구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고, 2023년 6월 1일은 제13회 의병의 날이다. ‘의병의 날’은 의병의 역사적 가치를 일깨워 애국정신을 계승하고자 제정한 법정기념일로, 2008년 8월 의령군수 등 1만 5586명이 ‘호국의병의 날’ 기념일 제정을 국회에 청원, 2010년 2월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가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음력 4월 22일을 양력으로 환산해, ‘호국보훈의 달’ 첫째 날인 6월 1일로 선정하였다. 이후 2011년 제1회 의병의 날 기념식이 경남 의령에서 개최되었다.

  의병(義兵)이란 국가가 외침을 받아 위급할 때 국가의 명령이나 징발을 기다리지 않고 국민이 자발적으로 조직하는 자위군을 말한다. 의병의 전통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비롯되었으며, 고려·조선 시대를 거쳐 조선 말기에까지 이르렀다. 특히 조선 말기의 의병은 항일 독립군의 모태가 되었다.

  항일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인 백암(白岩) 박은식(朴殷植) 선생은 “의병은 우리 민족의 국수(國粹)요 국성(國性)이다.”라고 하면서 “나라는 멸할 수 있어도 의병은 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즉, 우리 한민족은 역대 항중·항몽·항청·항일의 투쟁 속에서 무력이 강한 국민성을 갖게 되었고, 이 때문에 어느 침략자로부터도 정복당하거나 굴복하여 동화되는 일이 없었다. 의병의 역사에서 가장 탁월한 활동을 보여준 것은 임진·병자 양란의 의병과 한말의 의병이었다.

  1592년 4월 14일 약 20만 명의 왜군이 조선을 침략하여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부산에서는 첨사 정발(鄭撥)이, 동래성에서는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이, 충주 탄금대에서는 신립(申砬) 장군이 배수의 진을 치고 왜군과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막아내지 못하였다. 왜군이 서울 근교에 육박하자 선조는 4월 29일 세자와 함께 의주로 피난하고, 임해군과 순화군 등 두 왕자를 함경도와 강원도로 보내 근왕병을 모집하게 하였다. 그러나 부산에 상륙한 지 18일만에 서울을 유린한 왜군은 그 해 6월에 평양과 함경도까지 유린하고 왕자를 포로로 잡았다. 그러자 전국 각지에서 자기 고장과 나라를 지키기 위해 수많은 의병들이 봉기했다. 

  임진왜란 때에 전국에서 많은 전과를 거두고 명성을 떨친 대표적인 의병장으로는 평안도의 조호익(曺好益) · 양덕록(楊德祿) · 휴정(休靜, 西山大師), 함경도의 정문부(鄭文孚), 경기도의 김천일(金千鎰) · 심대(沈岱) · 홍계남(洪季男), 충청도의 조헌(趙憲), 경상도의 곽재우(郭再祐) · 김면(金沔) · 정인홍(鄭仁弘) · 권응수(權應銖), 전라도의 고경명(高敬命), 황해도의 이정암(李廷馣), 강원도의 유정(惟政, 松雲大師) 등이다.

  충청도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의병으로는 제천의 의암(毅庵) 류인석(柳麟錫) ·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 청주의 청암(淸巖) 한봉수(韓鳳洙), 괴산의 일완(一阮) 홍범식(洪範植), 옥천의 중봉(重峰) 조헌(趙憲), 홍성의 지산(志山) 김복한(金福漢) · 퇴초자(退樵子) 민종식(閔宗植) ·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청양의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등을 들 수가 있다. 충청도 의병장 중에서 제13회 의병의 날을 맞이하여 가장 주목하는 의병은 중봉 조헌 의병장이다.

  중봉 조헌은 1544년 경기도 김포 출신의 사림으로 고려 말 홍건적을 격파하고 전사한 천주의 후손이다. 그는 율곡(栗谷) 이이(李珥) ․ 우계(牛溪) 성혼(成渾) ․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이 되어 명종(明宗) 22년인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합격하여 온성도호부 훈도 ․ 파주․홍주목 교수 ․ 전라도사․ 보은 현감 ․ 예조정랑 등을 역임했지만, 주로 교육직에 종사하였다. 보은현감에 재직할 시에는 당시 충청도에서 치민제일의 목민관의 모범으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그는 당시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기 위해 상소를 많이 올린 개혁론자로서 성리학적인 사림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성균관 재학 시절 왕실의 불교 신봉 관행을 비판하다가 사직 처분을 받은 적이 있었고, 시무의 폐단을 통렬히 비판하고, 일본과의 통교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다가 선조의 미움을 받기도 하였다.

1574년 성절사의 질정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당시의 문견을 바탕으로『동환봉사』를 지어 조선의 제도 개혁을 위한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중봉 조헌이 활약하던 16세기의 명종과 선조 집권 시기에는 사림 간에 훈척정치(勳戚政治)의 척결과 구현방법을 둘러싸고 동․서 붕당(朋黨)이 발생하여 서로 다투고 있었다. 실제로 동인은 서애(西涯) 류성룡(柳成龍)이, 서인은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주축이 되어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서로 반목하여 치열한 정치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중봉 조헌 선생은 율곡의 문인으로 정치개혁안을 제시하여 동인을 비판하고 민생안정의 양민론(養民論)에 입각한 사림정치의 구현을 주장하였다.

  그 때 불행히도 스승인 율곡 이이가 1584년에 타계하여 중봉 조헌 선생은 스승과 후원자를 동시에 잃고 말았다. 게다가 동인의 공세가 강화되는 바람에 입지가 흔들려 중봉 조헌 은 보은현감을 그만두고 충북 옥천으로 낙향했다. 그는 옥천에서 인생의 마지막 8년간 은둔생활을 하면서 서당인 후율정사(後栗精舍)와 이지당(二止堂)을 세우고 후학을 양성하며 율원구곡(栗原九曲)을 설정하고 율원구곡시를 창작하여 교육자로, 문인으로 활약하였다. 그리고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2-1571) , 율곡 이이를 계승하고자 노력하면서 우리 유학사에 있어 계왕계래(繼往開來)의 확고한 인식과 적극적인 의지를 표방하였다.

  중봉 조헌은 선견지명이 있어 1589년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과 1592년 임진왜란을 예견하고 대비책을 강구하여 상소했지만 선조는 통신부사 김성일(金誠一)의 왜국침입이 없을 것이라는 보고만을 믿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중봉 조헌은 청주․ 옥천 · 공주 · 홍성에서 의병을 모집해 승병장 영규(靈圭)와 함께 차령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청주성을 탈환하는가 하면, 금산공격을 강행하여 왜군에게 큰 타격을 가하고 끝내는 700의병과 함께 49세의 나이로 장렬히 순국함으로써 의병장으로도 청사에 길이 빛나고 있다.

  중봉 조헌은 1604년에 선무원종공신 1등으로 책록되고, 이후 영조 30년인 1754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20년(1883)에는 문묘에 배향되었다. 표충사, 우저서원 등에 제향되었고, 문집으로는『중봉집(重峯集)』이 있다.

  제13회 의병의 날 국가 기념행사는 행정안전부 주최와 예산굳 주관으로 2023년 6월 1일(목) 윤봉길 의사 사적지인 충의사 도중도 일원에서 ‘그날, 이후’라는 타이틀로 식전행사, 본행사, 부대행사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식전행사는 사당헌화 · 의병봉기 · 재현공연 순서로 진행되었고, 본행사는 개식선언 · 국민의례 · 환영사 · 축사 · 기념사 · 유공자표창 · 의병의 노래 합창 및 만세삼창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부대행사는 의병전시 및 체험활동 · 사생시 공모전 등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의병의 정신을 엄숙하게 기리는 기념식과 함께 장사익, 송가인의 공연 및 다양한 연령대가 함께 할 수 있는 체험행사가 펼쳐져 국민들의 많은 호응을 받았다.

지난 2010년부터 정부는 6월 1일을 법정기념일로 제정해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의병의 날 공식 기념행사는 전국 지자체 공모를 통해 선정되고 올해는 예산군이 개최지로 선정돼 행사를 진행한 것이다.

예산군은 예산윈드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를 개최하면서 의병의 날 기념행사 개최지 선정을 축하한 바 있으며, 공직자를 대상으로 의병 특강을 실시하여 예산 의병에 대해 재조명했다.

또한 5월 12일부터 22일까지 독립기념관 순회전시를 개최했고 5월 17일에는 ‘최태성’ 강사를 초빙해 관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예산 및 충남 의병의 시작점과 의병이 독립군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에 대한 강연을 실시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최재구 예산군수는 “이번 행사를 통해 홍주 의병의 발원지이자 종결지인 예산군 의병에 대한 역사성이 재조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청자 게시판

2,426개(1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251 2018.04.12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319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420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513 2024.02.24
2062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사진 신상구 288 2024.02.23
2061 한국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사진 신상구 475 2024.02.22
2060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사진 신상구 284 2024.02.20
2059 北 언어학 설계한 천재 언어학자 김수경 이야기 신상구 419 2024.02.16
2058 보문산서 발견 1천년 불상 어디에 사진 신상구 263 2024.02.16
2057 간디가 말한 망국의 7가지 징조. 우리 사회 혼란 병폐 모순과 일치 걱정 신상구 321 2024.02.13
2056 [한국의 과학 명가] 한국 첫 화학박사 고 이태규씨 일가 사진 신상구 454 2024.02.10
2055 1969년 한국인 첫 노벨상 후보 이태규 화학박사 신상구 500 2024.02.08
2054 대전 노숙인 54명 르포 사진 신상구 657 2024.02.04
2053 풍수학인 최창조 박사 타계 사진 신상구 240 2024.02.03
2052 청풍승평계 단원 이건용(李建龍) 의병 이야기 사진 신상구 298 2024.01.30
2051 국제뇌교육대학원대학교 국학과 정경희 교수의 민족사학 요체 사진 신상구 634 2024.01.29
2050 문화계 영원한 마당발 김종규 이사장의 교유기 신상구 743 2024.01.29
2049 '빛의 화가' 김인중 신부 "내 모든 예술은 어둠에서 빛으로&q 사진 신상구 560 2024.01.28
2048 청주 '향토유적 84호' 단군성전 화재 전소 신상구 503 2024.01.27
2047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홍대용의 천문학 사진 신상구 454 2024.01.25
2046 국학박사 신상구, 문학평론 제2집 목차 신상구 442 2024.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