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3.14 04:11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자연과학교육원(원장 김태선)이 7()부터 16()까지 8박 10일간의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 프로젝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는 지난 7전국에서 유일하게 진행된 충북 노벨 100인 100 창의과학페어로 선발된 학생 20명과 교사가 팀을 이루어 노벨상의 본고장인 스웨덴과 영국을 방문하는 프로그램이다.

   ▲해외 우수 대학 탐방 및 한인 학생 간담회 ▲과학연구기관 및 과학박물관 탐방 전문가 특강 현지 학교 학생과의 교류 팀 프로젝트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노벨 생리학의학상 선정 기관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상이 수여되는 스톡홀름시청 콘서트홀블루홀’, 노벨상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노벨 박물관’, 현대물리학의 고향으로 노벨상의 요람인 캐번디시 연구소’ 방문을 통해 학생들의 노벨상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을 높일 예정이다.

   또영국 과학기술시설위원회 내 Diamond 방사광가속기 특강 및 견학을 통해 2028년 운영 될 충북 오창 방사광가속기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 아니라 학생들이 미래에 방사광가속기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스웨덴 스톡홀름의 왕립공과대학 특강 및 재학생 간담회, 현지 초고등학교 및 국립과학기술박물관에서 팀별 프로젝트가 운영되며, 영국에서는 케임브리지대학옥스퍼드대학대영박물관자연사박물관학박물관 방문을 통해 충북 노벨과학 리더로 견문을 넓힐 예정이다.

   김태선 자연과학교육원장은 타 시도와 차별된 충북만의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 프로젝트 운영을 통해 충북형 노벨 프로젝트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앞으로도 더욱 노력할 예정이며충북 학생들이 노벨상에 한발 더 나아가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충북 노벨과학 리더들! 노벨상의 본고장으로 떠나다!", 음성신문, 2023.9.7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07209 2018.04.12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704 2024.03.14
>>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503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491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513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472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654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411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464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579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507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428 2024.03.04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935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438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1005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832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356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32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689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394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760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