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려하게 개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5.18 04:59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슬로건으로 화려하게 개최


   5·18 42주년 행진
© 제공: 연합뉴스5·18 42주년 행진

(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대한민국 민주주의 투쟁의 역사가 담긴 광주 금남로에서 5·18 민주화운동 제42주년 전야제가 17일 열렸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축소됐던 행사들이 3년 만에 전면 부활했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020년에는 전야제가 처음으로 취소됐고 지난해에는 방역수칙에 따라 참석 인원을 99명으로 제한해 소규모로 치렀다.

  5·18 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는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슬로건으로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다.

  금남로 거리에는 전야제에 앞서 이날 낮부터 오월시민난장이 펼쳐졌다.

  버스킹(거리 공연)과 민중미술 체험 등을 통해 정의 구현과 대동 정신으로 대표되는 오월 정신을 알렸다.

  5·18 희생자 유족인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은 42년 전처럼 시민들을 위해 주먹밥을 만들어 나눴다.

  전국에서 모인 오월풍물단도 망월동묘역, 조선대, 전남대 정문, 금남로 등 주요 사적지를 행진하며 오월 영령을 추모했다.

  이어 1980년 5월 18일 계엄령 선포에 맞서 전남대 정문에서 시작된 가두 행진 투쟁을 재현하는 '민주시민 가두행진'이 수창초등학교에서부터 전야제 무대가 마련된 5·18 민주광장까지 진행됐다.

5·18 42주년 전야제
© 제공: 연합뉴스5·18 42주년 전야제

   전야제는 1∼3부로 나뉘어 각각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주제로 현대무용, 아카펠라, 마당극, 민중가요, 밴드, 국악 퓨전 연주 등이 펼쳐졌다.

   또, 5월 항쟁을 형상화한 민족미술인협회 작가들이 미디어아트 작품이 무대 위 화면을 수놓았다.

  1부에서는 극단, 무용단, 아카펠라그룹 등이 함께 1980년 민족 민주화 대성회, 시민궐기대회 등 역사적 투쟁을 재현했다.

  2부에서는 2016년 9월부터 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을 위해 투쟁 중인 오월 어머니 15명이 무대에 나와 5·18 정신을 지키기 위해 투쟁한 애환을 노래로 승화했다.

  3부는 어린이합창단과 밴드 공연 등으로 채워졌으며 오월풍물단의 대동 마당 공연으로 마무리됐다.

  이날 오후 5·18민주광장에서 집회를 열었던 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경석 대표가 무대에 올라 "장애인들의 이동할 권리조차 보장하지 않는 대한민국이 비문명적인 사회 아닌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갈라치기·혐오 정치를 막아달라"며 장애인 이동권과 교육권 보장을 촉구하기도 했다.

'오월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
© 제공: 연합뉴스'오월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

   전야제에는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였던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과 민주당 이형석 국회의원,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 무소속 민형배 국회의원, 민주당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국민의힘 주기환 광주시장 후보,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등 여·야 인사들이 참석했다.

   행사위는 이날 전야제에 5천여명의 시민이 함께한 것으로 추산했다.

5·18 행사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못했던 시민 참여 행사를 내실 있게 준비해 시민들이 5·18 정신을 가까이서 느끼고 열사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억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제42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오는 18일 오전 10시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다.

                                                  <참고문헌>

   1. 장아름, "3년 만에 광주 금남로 가득 채운 함성…5·18 42주년 전야제(종합)", 연합뉴스, 2022.5.1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7121 2018.04.12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663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464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453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471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414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619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78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427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536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466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390 2024.03.04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868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395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925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761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327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93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663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362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714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