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2.27 02:58

▲ ①심훈의 사진. ②본지 1962년 7월 25일 자에 실린 충남 당진 부곡리의 ‘상록학원’ 창설 모습. 심훈의 소설 ‘상록수’가 나온 지 30여 년 만에 작품의 배경이었던 당진에서 ‘상록학원’이란 이름의 야학당이 만들어졌어요. ③본지 1929년 6월 13일 자에 당시 본지 기자였던 심훈이 게재한 자작시(自作詩) ‘야구’. 조선총독부의 검열 때문에 두 군데에 X자 표시가 돼 있어요. ④소설 ‘상록수’의 표지. ⑤‘상록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이었던 최용신. ⑥최용신이 경기 수원군 반월면 샘골에 만들었던 ‘샘골 강습소’의 낙성식(落成式·건축물의 완공을 축하하는 의식) 장면. /조선일보DB·한국민족문화대백과·안산시·연합뉴스

경기 안산시는 1930년대 농촌계몽운동의 선구자이자 여성 독립운동가인 최용신(1909~1935) 선생과 관련한 근현대 역사유물 자료를 공개 구매한다고 밝혔어요. 최용신은 심훈(1901~1936) 소설 '상록수'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로 알려져 있죠. 안산시에 있는 행정구역인 '상록구'의 지명은 바로 심훈의 '상록수'에서 딴 것입니다. 심훈은 어떤 인물이었을까요?

"삼각산이 춤추고 한강물이 용솟음칠 그날"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며는/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주기만 하량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의 인경(통행금지를 알리거나 해제하기 위해 치던 종)을 머리로 드리받아 울리오리다.' 심훈이 1930년에 써서 1932년 문예지 '신생'에 발표한 시 '그날이 오면'의 일부예요.

시 어디에도 화자가 기다리는 날인 '그날'이 어떤 날인지 직접 밝히지는 않았지만 그걸 알아차리지 못할 독자는 없었습니다. 그것은 일제 치하 수많은 조선 사람이 그리던 조국 광복의 날이었어요. 당시 갓 서른을 넘은 청년이 이런 시를 발표했다는 것은 대단히 큰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었습니다. 심훈은 이 시를 포함해 100여 편의 시를 모아 출판하려 했으나 일제의 검열로 막혔고, 그가 죽고 광복이 된 뒤인 1949년 '그날이 오면'이란 제목의 시집이 출간됐습니다.

불과 35년의 짧은 생애 동안 심훈의 활약은 다방면에 걸쳐 있었습니다. 그는 시인이자 소설가였고, 신문기자였으며, 영화감독이자 배우이자 각본가였으며 영화평론가였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독립운동가였습니다. 어쩌면 일제 치하 지식인으로서 해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직업을 거쳤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고강도 항일 작품들, 그리고 일제의 탄압

경기도 과천군 하북면 흑석리(현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서 태어난 심훈의 본명은 심대섭이었어요.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 3학년이었던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뒤 검거돼 8개월 동안 수감 생활을 했습니다. 이때 어린 심훈은 "콩밥을 먹는다고 끼니 때마다 눈물겨워하지 마십시오"라며 오히려 모친을 위로하는 당찬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출옥한 뒤 중국 유학을 떠났다가 1923년 귀국해 연극·영화계에서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신극 연구 단체인 극문회를 만들었고 영화 '장한몽'에 배우로 출연했습니다. 영화 '먼동이 틀 때'의 각본을 쓰고 감독을 맡기도 했죠.

그것은 결코 목적 없는 활동이 아니었습니다. 심훈은 1927년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이 땅에서 나고 또 살아온 고로 우리 조선의 현실을 조금이라도 나타내어야 할 사명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식민지 예술인으로서의 사명을 뚜렷이 자각한 데서 나온 것이었습니다. 영화 '먼동이 틀 때'의 원래 제목은 '어둠에서 어둠으로'였지만, 총독부가 검열하며 시비를 걸었다고 합니다. "어둠이 뭐 어째? 이거 식민지 조선의 처지를 빗댄 거 아니냐!" 그래서 제목이 바뀌었다는 거예요.

동아일보 기자로도 일했던 심훈은 1928년부터 1931년까지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기사와 작품을 통해 '조선의 현실을 나타내야 한다'는 다짐을 실천했습니다. 해방과 독립의 염원을 절절하게 표현한 시 '그날이 오면'을 쓴 1930년은 바로 심훈이 조선일보 기자로 일하던 시기였습니다. 그는 소설도 썼습니다. 조선일보에 1931년 연재한 '동방의 애인'과 1932년 연재한 '불사조'였죠. 그러나 두 작품 모두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되는 일을 겪었습니다.

심훈의 작품들은 매우 강한 항일 의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1927년의 시 '박군의 얼굴'은 감옥에서 병을 얻은 뒤 풀려난 친구의 초췌한 몰골을 보고 충격을 받아 쓴 것인데, 시의 마지막은 "눈은 눈을 빼어서 (갚고)/ 이는 이를 뽑아서 (갚아)주마!/ 너와 같이 모든 (한)을 잊을 때까지―/ 우리들의 심장의 (고동)이 (끊칠 때)까지"였습니다. 그러나 발표될 당시 일제의 검열로 인해 괄호 안의 말들은 '×'로 가려져 지면에 나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제도 약한 족속이라고 부를 터이냐!"

심훈이 작품을 통해 항일 정신만을 표출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소파 방정환의 어린이 운동에 동참하는가 하면, 조선 청년들이 조선의 현실에 눈을 떠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1930년 1월에 쓴 칼럼 '새해의 선언'에선 "동무여! 진흙구렁에 틀어박힌 머리를 쳐들고 우리의 현실을 응시하자" "이 땅의 흙냄새를 맡고 자란 젊은이는 조선 사람이 마땅히 걸어야 할 그 길을 줄기차게 걸어만 가면 그만이다"고 주장했습니다.

신문사를 그만두고 충남 당진으로 내려가 집필한 심훈의 대표작이 장편소설 '상록수'입니다. 농촌계몽운동을 소재로 한 이 소설은 그가 조선일보 재직 시절 신문사 주도로 전국적으로 펼쳐졌던 문자보급운동의 경험이 깊이 들어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그는 조선이 문맹과 가난에서 벗어나 자립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했습니다.

그는 '상록수'를 영화로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1936년 갑작스러운 장티푸스로 요절(젊은 나이에 죽음)하고 말았습니다. 그의 장례식에서 낭송된 시는 얼마 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1위와 3위를 한 손기정·남승룡 선수를 위해 쓴 '오오, 조선의 남아여!'였습니다. 그 마지막 구절은 이것이었습니다. "인제도 인제도 너희들은 우리를/ 약한 족속이라고 부를 터이냐!"

['상록수' 여주인공의 모델 최용신]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여자 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인 최용신은 함경남도 덕원 출신 농촌운동가였습니다. 협성여자신학교(현 감리교신학대) 재학 중 농촌계몽운동에 투신해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샘골(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농촌교육을 시작했죠. 문맹 퇴치를 위한 한글 강습뿐 아니라 산술·보건, 기술, 애국심을 가르치는 계몽 운동을 적극적으로 벌였습니다.

1928년 4월 1일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 '교문에서 농촌에'에서 최용신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중등교육을 받은 우리가 화려한 도시 생활만 동경하고 안일의 생활만 꿈꾸어야 옳을 것인가? 농촌으로 돌아가 문맹 퇴치에 노력해야 옳을 것인가? 거듭 말하나니 우리는 손을 서로 잡고 농촌으로 달려가자." 최용신은 안타깝게도 병을 얻어 2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1964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그를 기념하는 '용신봉사상'을 제정해 해마다 시상식을 열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1. 유석재/안영, "詩로, 영화로, 기사로… 일제에 저항했어요", 조선일보, 2023.2.23일자. A27면.



시청자 게시판

2,320개(15/11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56401 2018.04.12
2039 일본이 한국보다 25대 1로 노벨과학상을 많이 받은 진짜 이유 신상구 688 2023.11.27
2038 <특별기고> 제84회 순국선열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국내외 기 사진 신상구 416 2023.11.18
2037 모바일 오늘 오전 방영하는 현대문명의 대전환 오자 [1] 안창현 779 2023.09.21
2036 홍범도 흉상 철거 국방부 문서, 어느 시대 문서인지 탄식 사진 신상구 605 2023.09.20
2035 홍범도 장군의 절규 신상구 329 2023.09.02
2034 홍범도, 육사 롤모델 될 수 있나 사진 신상구 448 2023.09.02
2033 윤석열 정권이 생각하는 홍범도의 '죄목' 살펴보니 사진 신상구 828 2023.08.30
2032 경술국치일 113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394 2023.08.29
2031 광복회장, 국방부에 “당신들은 독립영웅이 귀찮나” 공개서한 신상구 316 2023.08.29
2030 <특별기고>옥봉 이숙원의 생애와 업적을 추모하고 관광자원화해야 사진 신상구 359 2023.08.26
2029 <특별기고> 8·15 광복 7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353 2023.08.16
2028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이화여대서 열려 사진 신상구 306 2023.08.16
2027 충북 옥천 출신의 김규흥은 상해임시정부를 파괴하는 밀정이었다 신상구 285 2023.08.09
2026 시기 김부용과 김이양 대감 묘 찾기 사진 신상구 411 2023.08.07
2025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화 하자 사진 신상구 243 2023.08.06
2024 천안 봉서초 단군상 무단철거 규탄 사진 신상구 359 2023.08.06
2023 <특별기고> 제헌절 75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286 2023.07.18
2022 단군(檀君)은 신화 아닌 대한민국 국조 (國祖) ​ 사진 신상구 337 2023.07.13
2021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사진 신상구 344 2023.07.04
2020 국조 단군을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689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