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면 과제와 기념식 실황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5.20 23:29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면 과제와 기념식 실황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시인, 향토사학자) 신상구

 

                                       1.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면 과제

  5·18광주민주화운동이란 1980년 5월 18부터 27일까지 광주와 전남 일원에서 일어난 민중시위에 대하여 전두환과 신군부 등에 의한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부당한 공권력 행사로 다수의 희생자와 피해자가 발생한 사건을 말한다.

                                        

                                                      5·18광주민주화운동 현장 사진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전두환 등 신군부 쿠데타세력이 민중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광주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폭력진압 하여 직접 사망자 193명, 후유증 사망자 376명, 행방불명자 65명, 부상자 3천139명, 구속 및 고문 피해자 1천589명을 발생시켜 광주 시민들은 지난 44년간 많은 트라우마를 안고 힘들게 살았다.

  그런데 고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은 아직까지 대부분 호화롭게 생활하면서 사과 한 마디 없이 사건을 은폐하거나 조작하여 역사를 왜곡하고 있어 공분을 사고 있다.

  불행중 다행이도 전남대 5·18연구소와 광주지역 시민단체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지난 44년간 수많은 노력을 해온 결과 이제는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이 저지른 반인륜적이고 반인도적인 극악무도한 범죄행위를 아무리 은폐하거나 조작해도 별로 소용이 없게 되었다.

  5·18광주민주화운동은 1987년 6·29선언과 2017년 촛불혁명의 기폭제가 되었고 세계 여러 나라의 민주화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5·18기념식 지정곡인 백기완·황석영 작사, 김종률 작곡 '임을 위한 행진곡'은 홍콩과 대만의 민주화운동 과정에서도 애창되고 있어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게다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나눔과 소통, 공동체 정신은 지금 국가의 복합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어 역사적 의의가 크다.

  5·18광주민주화운동은 1997년 5월 18일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고, 광주시는 5월 18일을 공휴일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

  2011년 5월 25일에는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록이 한국 현대사 관련 자료 중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되었다. 이 기록은 유례없는 대규모 자료라 총 9개의 주제로 분류되어 기록되었다.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앞으로 외신 기자와 나종태 사진작가가 목숨을 걸고 5·18광주민주화운동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과 영상, 전일빌딩 헬기사격 245개 흔적, 고 조비로 카토릭 신부의 청문회 증언, 생존 시민군들의 증언, 생존 게엄군의 양심고백, 북한군 개입설과 시민군의 광주교도소 공격 사건 조작 규명 등을 참고해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면, 가까운 장래에 그 진상이 만천하에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니 이제는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이 저지른 반인륜적이고 반인도적인 범죄 행위를 국민과 역사 앞에 하나도 남김없이 밝히고 용서를 구해야 하며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다. 그리고 5·18 행방불명자 소재를 파악하고, 시민군과 시민군의 편에 섰다가 피해를 입은 경찰공무원과 군인과 해직 기자를 찾아내 명예회복과 피해를 보상해 주어야만 5·18광주민주화운동 관련 유족들의 한이 풀리고, 왜곡된 사회정의와 역사가 바로 서게 될 것이다.

                                              2.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 기념식 실황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5·18민주영령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오월, 희망이 꽃피다'를 주제로 국민의례와 애국가 제창, 헌화·분향, 오월 영령에 대한 묵념,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순으로 엄수됐다.

  기념식장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와 5·18민주유공자, 유가족 등 2500여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윤 대통령과 참석자 모두가 일어나 오월의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에 기념사를 하고 있는 장면

 

  윤석열 대통령은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에 “오늘 대한민국은 광주의 피와 눈물 위에 서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1980년 5월 광주의 뜨거운 연대가 오늘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을 이룬 토대가 됐다고 강조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하고 그날의 아픔을 가슴에 묻고 묵묵히 오월의 정신을 이어온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가족에게 위로와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필자 대산 신상구 국학박사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 2호 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 종로구 재동지점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1994),『아우내 단오축제』(1998),『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2019),『한민족의 원대한 꿈 노벨상 수상전략』(2023), 『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6권.

  .주요 논문 :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등 129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천손민족중앙회본부 연수원장, 대덕문학회․백수문학회 회원, 동양일보 동양포럼 연구의원, 평화대사

 

시청자 게시판

2,426개(1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02852 2018.04.12
2165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사진 신상구 394 2024.06.08
2164 <특별기고> 제69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385 2024.06.06
2163 &lt;특집기고&gt; 2024년에 개교 100주년을 맞이 사진 신상구 761 2024.06.05
2162 익산 왕궁리유적 사진 신상구 589 2024.06.01
2161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사진 신상구 583 2024.06.01
2160 이성자 화백의 佛 아틀리에, 프랑스 문화유산 됐다 신상구 553 2024.05.31
2159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사진 신상구 538 2024.05.30
2158 1980년 5월 27일 광주민주화운동 최후의 날을 잊지 말자 신상구 751 2024.05.29
2157 신경림의 시가 가르쳐주는 것 사진 신상구 401 2024.05.28
2156 최영미 시인의 현대사 보물 고1 때 일기장 사진 신상구 548 2024.05.28
2155 대전무형유산전수교육관 사진 신상구 808 2024.05.28
2154 한동훈의 길, 루쉰의 길 사진 신상구 382 2024.05.26
2153 인문학의 위기와 외화내빈의 한국사회 사진 신상구 399 2024.05.25
2152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신상구 403 2024.05.24
2151 대전 밝히는 '오래된 미래' 근대건축물 사진 신상구 597 2024.05.22
>>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 사진 신상구 342 2024.05.20
2149 결단 미룬 채 변죽만, 효종·송시열의 북벌론 공조 사진 신상구 344 2024.05.19
2148 충청의 5.18 민주화 운동 사진 신상구 365 2024.05.18
2147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신상구 403 2024.05.18
2146 야외 법회 때 거는 초대형 부처 그림 괘불, 불교 대중화 이끌었죠 신상구 561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