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2.29 16:09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뉴욕-파리회의 등과 관련된 자료
독립기념관서 삼일절 특별 전시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가 미주 지역의 화교들을 대상으로 공채금을 모집하기 위해 1919년 8월 발행한 공포문. 독립기념관 제공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가 미주 지역의 화교들을 대상으로 공채금을 모집하기 위해 1919년 8월 발행한 공포문. 독립기념관 제공
  3·1절을 맞아 일제강점기 국제사회에 한국 독립을 호소한 문건들이 독립기념관에서 전시된다. 독립기념관(관장 한시준)은 밝은누리관에서 제105주년 삼일절을 맞아 특별자료를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3·1 독립선언을 전후로 열린 제2차 뉴욕 소약국동맹회의와 파리평화회의 등과 관련된 문건 12점이다. 한국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각종 외교활동 실상을 보여주는 자료들이다. 독립기념관은 “전시품은 학계에는 소개됐지만 국내에선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자료들”이라고 말했다.

  1918년 12월 작성된 ‘뉴욕 소약국동맹회의 전단지’는 식민 지배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한국 독립 문제를 파리평화회의 안건으로 제출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 파리평화회의 자료 중 ‘비망록’과 ‘청원서’도 일제 식민 지배의 부당함을 알리고, 독립에 대한 한국인의 열망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됐다. 파리평화회의에 임시정부 대표로 파견된 김규식은 두 문건의 내용을 요약해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에서 김규식은 “일본의 대륙 침략이 궁극적으로는 태평양을 지배하려는 데 있다”며 태평양전쟁을 경고했다.

   이 밖에 한국친우회의 ‘설립 공포문 및 설립목적 4개항’ 자료는 미국 사회에 한국의 실정을 알리고, 독립을 위한 지원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1. 사지원, "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동아일보, 2024.2.29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81 2018.04.12
2165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사진 신상구 572 2024.06.08
2164 <특별기고> 제69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511 2024.06.06
2163 &lt;특집기고&gt; 2024년에 개교 100주년을 맞이 사진 신상구 931 2024.06.05
2162 익산 왕궁리유적 사진 신상구 733 2024.06.01
2161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사진 신상구 710 2024.06.01
2160 이성자 화백의 佛 아틀리에, 프랑스 문화유산 됐다 신상구 660 2024.05.31
2159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사진 신상구 653 2024.05.30
2158 1980년 5월 27일 광주민주화운동 최후의 날을 잊지 말자 신상구 954 2024.05.29
2157 신경림의 시가 가르쳐주는 것 사진 신상구 516 2024.05.28
2156 최영미 시인의 현대사 보물 고1 때 일기장 사진 신상구 672 2024.05.28
2155 대전무형유산전수교육관 사진 신상구 1069 2024.05.28
2154 한동훈의 길, 루쉰의 길 사진 신상구 516 2024.05.26
2153 인문학의 위기와 외화내빈의 한국사회 사진 신상구 530 2024.05.25
2152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신상구 529 2024.05.24
2151 대전 밝히는 '오래된 미래' 근대건축물 사진 신상구 721 2024.05.22
2150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 사진 신상구 445 2024.05.20
2149 결단 미룬 채 변죽만, 효종·송시열의 북벌론 공조 사진 신상구 459 2024.05.19
2148 충청의 5.18 민주화 운동 사진 신상구 481 2024.05.18
2147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신상구 506 2024.05.18
2146 야외 법회 때 거는 초대형 부처 그림 괘불, 불교 대중화 이끌었죠 신상구 697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