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속(巫俗)의 허와 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8.17 10:15


                                           무속(巫俗)의 허와 실

 

   무속은 간단하지 않다. 1만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원시 종교이다. 무속에는 3대 기능이 있다. 첫째 예언, 둘째 치병(治病), 셋째 안심(安心) 기능이다. 따지고 보면 이 3가지 기능은 제도권 종교의 역할과도 겹쳐지는 부분이다.

   무속과 제도권 종교는 그 기본 골격이 같다는 말이다.

   우선 안심 기능을 보자. 프로이드와 카를 융의 후예들이 이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무속에 가지 않고 심리상담소로 가게 되었지만 일부 한국 사람은 무속에 가야지 속이 시원해진다.

   20년 전쯤 우면산 아래에 사진점쟁이라고 하는 유명한 점쟁이가 있었는데, 여기로 점을 치러 가면 특징이 열댓명의 고객들을 한 방에 몰아 넣고 오픈 방식으로 점을 치는 행태였다.

방에 같이 앉아서 그 사람의 점괘, 즉 내밀한 사생활의 문제들을 모두 들을 수 있다는 게 민망하기도 하였다.

   ‘너 신랑은 바람을 피워야 사업이 잘돼, 열 여자도 부족해. 그러니까 너무 안달복달하지 마!’

‘당신은 몸에서 구린내가 나네. 혹시 정화조 사업 하는 사람이여?’

   ‘지금은 아들이 백수이지만 40대 중반이 되면 문서를 만져서 크게 돈을 벌게 돼. 좀 참고 기다려!’ 등등.

   점집에 앉아서 이런 점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나름대로 심리 치료가 된다. 다른 사람 고민도 나랑 비슷하구나! 하는 깨달음이다.

   치병의 사례를 보면 러시아의 라스푸틴(1869~1916)이 있다. 193㎝ 장신이었다. 러시아 황제의 아들 로마노프 황태자의 난치병을 고쳐 주어서 황실의 전폭적인 신임을 얻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무속이 가지고 있던 치병 능력을 현대화된 종합병원이 대체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예언 기능이 문제이다. 인공지능 AI가 아무리 딥 러닝을 돌려 보아도 인간의 운명을 예측할 수 없다.

   AI의 천적은 무당이다. 운명에 대한 욕구, 즉 운욕(運欲)은 여전히 시장에서 끊임없이 요구하는 강력한 수요이다. 시장의 수요가 있는 한 공급은 이루어진다. ‘미친X 널뛰는 팔자’인 사업가와 정치인은 강력한 수요자이다.

   물론 무당의 점괘가 다 맞는 것은 아니고 틀릴 때도 많다. 유능한 주식 전문가를 시장에서 가려내는 것처럼, 용한 점쟁이도 그 승률을 시장에서 가려낸다.

   무속의 문제점 사적 욕망에 치중한다는 점이다. 공심(公心)이 희박하다.

   ‘영발(靈發)’의 파워를 사리사욕을 채우는 수단으로만 이용하면 천벌을 받는다.

   권력과 가까운 무당이 공심이 없고 이권 챙기는 데 몰두하면 위험해진다.

                                                       <참고문헌>

   1. 조용헌, "무속의 허와 실", 조선일보, 2022.8.16일자. A25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5 2018.04.12
2165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사진 신상구 572 2024.06.08
2164 <특별기고> 제69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510 2024.06.06
2163 &lt;특집기고&gt; 2024년에 개교 100주년을 맞이 사진 신상구 931 2024.06.05
2162 익산 왕궁리유적 사진 신상구 732 2024.06.01
2161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사진 신상구 710 2024.06.01
2160 이성자 화백의 佛 아틀리에, 프랑스 문화유산 됐다 신상구 660 2024.05.31
2159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사진 신상구 652 2024.05.30
2158 1980년 5월 27일 광주민주화운동 최후의 날을 잊지 말자 신상구 953 2024.05.29
2157 신경림의 시가 가르쳐주는 것 사진 신상구 516 2024.05.28
2156 최영미 시인의 현대사 보물 고1 때 일기장 사진 신상구 672 2024.05.28
2155 대전무형유산전수교육관 사진 신상구 1069 2024.05.28
2154 한동훈의 길, 루쉰의 길 사진 신상구 516 2024.05.26
2153 인문학의 위기와 외화내빈의 한국사회 사진 신상구 530 2024.05.25
2152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신상구 529 2024.05.24
2151 대전 밝히는 '오래된 미래' 근대건축물 사진 신상구 721 2024.05.22
2150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 사진 신상구 444 2024.05.20
2149 결단 미룬 채 변죽만, 효종·송시열의 북벌론 공조 사진 신상구 459 2024.05.19
2148 충청의 5.18 민주화 운동 사진 신상구 480 2024.05.18
2147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신상구 506 2024.05.18
2146 야외 법회 때 거는 초대형 부처 그림 괘불, 불교 대중화 이끌었죠 신상구 697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