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7.18 14:00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인촌사랑방, 제헌절 기념행사 개최
“자신 내세우기보다 공동목표 우선
인촌 고택서 제헌헌법 초안 만들어”
17일 제헌절을 맞아 서울 종로구 계동 인촌 김성수 선생 고택을 찾은 인촌사랑방 및 동우회 회원 60여 명이 1948년 제헌헌법 제정을 주도한 인촌 선생을 기리는 행사를 열고 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공동의 목표를 우선하는 인촌 김성수 선생(1891∼1955)의 리더십은 제헌헌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근대 시민의 형성과 대한민국’(2021년)의 저자 이승렬 박사(63)는 제헌절인 17일 서울 종로구 계동 인촌 선생 고택에서 제헌헌법 제정 과정에서 인촌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인촌사랑방 및 동우회 회원 등 60여 명은 제헌헌법(건국헌법) 초안이 사실상 탄생한 인촌 고택에 모여 인촌 선생을 기리는 행사를 가졌다.

   인촌 고택은 1948년 당시 내각책임제를 지지하던 한국민주당 인사들이 자주 모이던 곳이다. 한민당 당수였던 인촌 선생은 이곳에서 유진오 고려대 교수, 김준연 한민당 부당수 등과 논의해 민주공화제 헌법 초안을 마련했다.

   이 박사는 “헌법 제정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대통령중심제를 주장하며 내각제를 강하게 반대하는 가운데, 이를 중재한 분이 인촌 선생”이라며 “선생의 통합과 화합의 리더십이 대한민국 건국의 중요한 계기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엔 ‘102세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와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전 과학기술처 장관), 백완기 고려대 행정학과 명예교수 등도 참석했다. 김 명예교수는 “(인촌 선생이) 고하 송진우 선생을 초대 국무총리에 모시고 싶었는데 먼저 세상을 떠났다고 목메어 말씀한 적이 있다”며 “선생은 늘 유능한 사람을 찾아 자신보다 앞세우셨던 분”이라고 했다.
                                                <참고문헌>
  1. 조응형, "인촌 선생 통합 리더쉽,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동아일보, 2022.7.18일자. A26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888 2018.04.12
2165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사진 신상구 517 2024.06.08
2164 <특별기고> 제69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476 2024.06.06
2163 &lt;특집기고&gt; 2024년에 개교 100주년을 맞이 사진 신상구 888 2024.06.05
2162 익산 왕궁리유적 사진 신상구 696 2024.06.01
2161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사진 신상구 680 2024.06.01
2160 이성자 화백의 佛 아틀리에, 프랑스 문화유산 됐다 신상구 631 2024.05.31
2159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사진 신상구 621 2024.05.30
2158 1980년 5월 27일 광주민주화운동 최후의 날을 잊지 말자 신상구 896 2024.05.29
2157 신경림의 시가 가르쳐주는 것 사진 신상구 483 2024.05.28
2156 최영미 시인의 현대사 보물 고1 때 일기장 사진 신상구 635 2024.05.28
2155 대전무형유산전수교육관 사진 신상구 995 2024.05.28
2154 한동훈의 길, 루쉰의 길 사진 신상구 479 2024.05.26
2153 인문학의 위기와 외화내빈의 한국사회 사진 신상구 489 2024.05.25
2152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신상구 490 2024.05.24
2151 대전 밝히는 '오래된 미래' 근대건축물 사진 신상구 685 2024.05.22
2150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 사진 신상구 416 2024.05.20
2149 결단 미룬 채 변죽만, 효종·송시열의 북벌론 공조 사진 신상구 423 2024.05.19
2148 충청의 5.18 민주화 운동 사진 신상구 450 2024.05.18
2147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신상구 476 2024.05.18
2146 야외 법회 때 거는 초대형 부처 그림 괘불, 불교 대중화 이끌었죠 신상구 658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