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6.27 10:47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강원도 횡성에 있는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자인 최명재 이사장이 26일 오전 향년 95세로 별세했다.

생전(1994년) 최명재 이사장
                                                                     생전(1994년) 최명재 이사장


민족사관고
                                                                             민족사관고  전경                                                                                              
   당시 상업은행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한 이후 택시 운전사로 전직했다가 1960년대에 직접 운수업(성진운수)을 일으켜 기업인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1970년대 중반에는 이란에 진출해 유럽과 중동에서 물류운송업을 번창시키기도 했다.

  고인은 이때 벌어들인 자금으로 낙농업에 뛰어들어 1987년 강원도 횡성에 파스퇴르유업을 창립했다.

   국내 처음으로 저온살균 우유를 도입한데 이어 국내 첫 미군납을 통해 품질을 인정받았고, 기존 유가공업체와 소위 '우유전쟁'을 벌인 끝에 출시 1년 만에 매출을 10배 신장시켰다.

   이후 고인은 오랜 숙원이던 학교 설립 추진에 나섰다.

   규제와 시행착오 끝에 1996년 파스퇴르유업 공장 옆 부지(약 127만2천여㎡)에 민족주체성 교육을 표방하는 민사고를 개교했다.

   학교측 관계자에 따르면 고인은 1970년대 영국 이튼 학교에서 넬슨 제독의 전승기념일 행사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두 가지를 결심했다고 한다.

민족사관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

[

   이튼 학교를 능가하는 세계적인 지도자 양성교육을 하겠다는 것과 충무공과 같은 선조의 얼을 고스란히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민족적 정체성을 가진 '토종 인재'를 만들어 내겠다는 것이었다.

   친일파 등 일제 치하를 경험했던 고인은 학생들에게 '조국과 학문을 위한 공부를 하고, 출세가 아니라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택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특히 고인은 파스퇴르를 운영하면서 번 수익금 대부분을 민사고 설립과 운영에 투입해 투자규모가 1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해 30여명만 선발, 기숙사를 포함한 모든 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면서 개교했던 민사고는 파스퇴르의 부도로 재정난에 부딪혔다.

   당시 교사들이 급여를 받지 않고 교육을 이어가고 학부모들이 자진해 기숙사비를 납부해 어려운 학교 운영을 이어갔으며 입학 정원을 150여명으로 늘려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사고가 2004년 파스퇴르유업에서 분리되고 국가의 재정 지원이 없다 보니까 귀족학교라는 오해도 받았지만,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는 도전적이고 실험적이던 민족주체성 교육을 높이 평가했다.

   고인은 민사고 설립 초기 자신이 직접 민사고 교장으로 취임해 교육을 이끌기도 했다.

학교 정문 앞 동상
                                                                                학교 정문 앞 동상


                                                                <참고문헌>  

   1. 이상학,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연합뉴스, 2022.6.2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4 2018.04.12
2165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사진 신상구 541 2024.06.08
2164 <특별기고> 제69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489 2024.06.06
2163 &lt;특집기고&gt; 2024년에 개교 100주년을 맞이 사진 신상구 904 2024.06.05
2162 익산 왕궁리유적 사진 신상구 715 2024.06.01
2161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사진 신상구 691 2024.06.01
2160 이성자 화백의 佛 아틀리에, 프랑스 문화유산 됐다 신상구 642 2024.05.31
2159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사진 신상구 632 2024.05.30
2158 1980년 5월 27일 광주민주화운동 최후의 날을 잊지 말자 신상구 923 2024.05.29
2157 신경림의 시가 가르쳐주는 것 사진 신상구 496 2024.05.28
2156 최영미 시인의 현대사 보물 고1 때 일기장 사진 신상구 650 2024.05.28
2155 대전무형유산전수교육관 사진 신상구 1024 2024.05.28
2154 한동훈의 길, 루쉰의 길 사진 신상구 496 2024.05.26
2153 인문학의 위기와 외화내빈의 한국사회 사진 신상구 506 2024.05.25
2152 한국 시단의 거인 신경림 별세 신상구 501 2024.05.24
2151 대전 밝히는 '오래된 미래' 근대건축물 사진 신상구 700 2024.05.22
2150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당 사진 신상구 425 2024.05.20
2149 결단 미룬 채 변죽만, 효종·송시열의 북벌론 공조 사진 신상구 433 2024.05.19
2148 충청의 5.18 민주화 운동 사진 신상구 462 2024.05.18
2147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신상구 488 2024.05.18
2146 야외 법회 때 거는 초대형 부처 그림 괘불, 불교 대중화 이끌었죠 신상구 672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