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3 02:11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민병찬
민병찬 국립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도산 안창호는 1878년(고종 15년) 11월 9일 대동강 하류 도롱섬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가난한 선비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칠리 봉상도가 그의 출생지이다.

도산은 한말의 애국 지사들 가운데서도 확고한 자기의 사상과 신념을 가지고 항일투쟁을 전개해 나갔던 유일한 인물이다. 나라를 잃은 슬픔과 분노에 맨주먹을 불끈 쥐며 감정적으로 일어나는 애국 지사들도 많았으나 도산은 그러한 감정적인 대응뿐 아니라 독립운동의 방법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세워 꾸준히 실천하며 민족을 위한 비전을 제시한 지도자였다. 도산이 가졌던 사상은 남의 이론이나 지식에서 따온 것이 아니고 도산이 직접 독립운동과 투쟁의 삶을 통해서 몸소 창조해 낸 것이라는 데 더 의의가 있다. 도산은 건전한 인격은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첫째로 사(思)·언(言)·행(行)에 있어서 남의 본보기가 될 만한 건실한 도덕적 품성을 가져야 한다. 건전한 인격은 먼저 덕성을 지녀야 한다. 인격적 덕성을 함양하기 위해서 도산은 무실(務實), 역행(力行), 충의(忠義), 용감(勇敢)의 4대 정신을 강조했다.

참되기를 힘쓰고 진실되기를 힘쓰자, 실질에 힘쓰자는 뜻이다. 무실의 반대는 거짓이다. 거짓말하지 말자, 속이지 말자 즉 정직하기를 힘쓰자는 뜻이다. 또 무실의 실(實)은 실천·실행·실용·진실·실질의 `실(實)'로써 진리탐구에 힘쓴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무(務)'는 힘을 쓴다는 뜻으로, 진실을 알고 이를 실천하자, 저마다 참된 것을 힘쓰고 참된 사람이 되자는 것이다.

둘째로 건전한 인격은 한 가지 이상의 전문 지식과 생산 기능을 가진 생산적 직업인이라야 한다. 도산은 특히 이것을 강조했다.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기술자를 장(匠)이라고 하여 생산 기능을 멸시하는 폐습이 있었다. 그래서 놀고 먹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이런 불로(不勞)의 악습에서 민족의 번영과 부강을 바랄 수는 없다. 도산은 일하는 것은 즉 민족의 번영을 위하는 애국행위라 하여 이를 늘 장려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산은 건전한 인격의 내용으로서 튼튼한 신체를 강조했다. 도산은 언제나 4대 정신과 3대 육을 역설했다. '3대 육' 이란 덕육(德育)·체육(體育)·지육(智育)인데, 그는 지육보다도 덕육과 체육을 앞세웠다. 덕이 없는 지(知)는 악의 힘이 되고 건강 없는 자의 지(知)는 불평밖에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도산은 이 같은 세 가지 요소를 두루 갖춘 인재를 수만 명 기를 수 있다면 우리는 일제의 탄압 밑에서라도 자주독립국가가 되어 민족의 영원한 번영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도산은 흥사단을 비롯한 여러 수양단체를 조직하고 교육활동을 활발히 펼침으로써 그 신념을 실천에 옮겼다.

도산은 한국인의 민족성의 병폐는 거짓과 공리공론이라고 분석하였다. 그는 허위는 모든 악의 근원이라 하여 우리의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거짓을 없애고 진실하게 행할 때, 민족의 번영과 부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실천과 실행이 없이 말로만 떠드는 `공리공론' 의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였다. 공론가는 모든 책임을 남에게 돌린다. 저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남보고만 잘하라 하고 또 남에게 왜 잘못했느냐고 시비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족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 정신을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잘 되고 못되고가 다 나에게 달렸다고 느끼는 강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나라 일을 자기 일처럼 걱정하며 앞장 설 때, 우리 민족이 독립국가로서 설 수 있는 기반이 세워진다는 것이다.

도산은 이러한 자기의 사상이 민족 경륜의 철학이라고 굳게 믿고, 죽는 날까지 몸소 부르짖고 실천했었다. `무실 역행주의' 를 실천하여 각자가 자아 혁신과 인격 혁명을 이루어 서로 단결하고 서로 사랑하는 공부를 해서 저마다 진실되고 부지런하고 (무실역행) 신의 있고 용감한 국민이 되려는 (충의용감) 도덕 혁명과 민족 개조 운동이 없이는 우리 민족의 번영과 행복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의 구국의 이론은 이를 진실되게 행동으로 옮긴 그의 숭고한 생애를 통해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민병찬,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중도일보, 2024.6.12일자. 1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7599 2018.04.12
2185 숨은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 이야기 사진 신상구 502 2024.06.18
2184 서울대 관악캠퍼스 설립자 박정희 전 대통령 망각 너무한 것 아닌가 사진 신상구 670 2024.06.18
2183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기념관 세운다 사진 신상구 412 2024.06.18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584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566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352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462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350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1026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529 2024.06.13
>>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573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664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561 2024.06.11
2172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586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532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459 2024.06.11
2169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498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318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657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338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