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1 10:39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보문산 동굴1
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일제강점기 지하 군사시설에 대한 조사를 벌인 연구자들이 6월 7일 대전 보문산 인공동굴을 탐사하고 있다.  (사진=보민글로벌 제공)

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일제강점기 지하 군사시설을 발굴하고 조사한 연구자들이 6월 7일 대전 보문산 동굴을 탐사한 뒤 군사적 목적의 굴착과 해방 후 민간신앙 장소로써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보문산 여러 동굴이 군산에서 확인된 일제의 진지형 지하 군사시설과 유사한 형태이면서 후대에 불상을 가져다 놓는 등 민간신앙과 결합한 독특한 사례로 보인다는 것이다.

군산대학교 박물관 조인진 학예연구사와 이호윤 서울기독대학교 교수, 보민글로벌 부설연구소 이동권 연구소장과 노경찬 책임연구원, 장한길로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편집위원은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보문산 일원에서 동굴 탐사를 벌였다. 이들은 최근까지 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일제 지하 군사시설을 연구해 논문을 발표하고, 지하에 레이더파를 송출해 반사되는 파형으로 입구가 매몰된 동굴을 찾아내는 물리적 조사를 수행했다. 군산대는 2022년 교정 내 역사문화유적들을 연결하는 '미룡역사길'을 기획하는 중에 인공동굴 7개를 발견하고, 조사를 확대해 군산시 일원에서 1944~1945년 사이 일본군이 파놓은 지하 군사시설 30개를 찾았다. 일제 때 항구와 비행장, 철도가 운영된 군산은 조선의 물산이 일본으로 반출되는 현장이었다. 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1944년 10월 필리핀에 상륙한 미군이 제주도와 더불어 군산 앞바다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한 일본군은 조선인을 동원해 지하에 지휘본부와 통신부대, 전투훈련장 등의 동굴을 조성케 하고 군사적 요충지로 삼았다. 조인진 학예연구사 등이 집필한 '태평양전쟁기 군산 지하군사시설 현황 연구' 논문에 따르면, 군산에서 발견된 30개의 인공동굴은 서해안으로 상륙하는 미군을 저지하기 위해 내륙을 방어하는 병풍 형태로 위치해 있으며, 어른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동원되었다고 밝혔다. 군산에서는 일제 인공동굴이 훗날 6·25전쟁 때 민간인 학살장소로 악용된 역사까지 더해지면서 학술연구와 물리탐사까지 이뤄졌고, 설계도 없는 이들 지하 시설물의 제원과 특징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일부는 일반인에게 개방했다.



군산 지하군사시설 위치도
군산의 지하군사시설 위치도. (출처=태평양전쟁기 군산 지하군사시설 현황연구 논문)

이날 보문산 인공동굴 탐사는 눈으로 관찰해 군산의 지하 군사시설물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전 호동 동굴에서는 군인들이 동굴에 숨은 후 다가오는 상대를 기습하는 진지 형태를 띄고 군산시 옥구읍 일원의 시설물과 유사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대전아쿠아리움의 옛 충무시설은 전국에서도 대단히 큰 규모의 지하동굴이면서, 이를 누가 어떤 목적으로 만들었는지 규명한다면 보문산 일원 여러 인공동굴에 대한 의문점도 함께 풀릴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동굴 안에 불상이나 촛불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보아 보문산 특유의 민간신앙으로 쓰임을 한 역사도 함께 조사될 때 의미가 확장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동구 신상동에서 발견된 인공동굴 3개 중 1개는 군사적 목적보다는 생강 보관용 농업 저장소에 가깝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조인진 군산대학교 학예연구사는 "군산에서도 종합적인 조사가 이뤄지면서 당초 알고 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일제강점기 지하시설물을 찾을 수 있었고, 물리탐사를 병행해 군사적 목적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라며 "대전에서도 보문산 고유의 민간신앙과 결합해 인공동굴을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지역사회 차원의 전수조사를 통해 위치와 제원을 파악하는 게 우선 과제로 보인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보문산 동굴2_edited

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일제강점기 지하 군사시설에 대한 조사를 벌인 연구자들이 6월 7일 대전 보문산 인공동굴을 탐사하고 있다. (사진=보민글로벌 제공)                                                                                                                                                                                                                   
                                                                          <참고문헌>


    1.임병안,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중도일보, 2024.6.10일자. 3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시청자 게시판

2,426개(1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6160 2018.04.12
2185 숨은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 이야기 사진 신상구 492 2024.06.18
2184 서울대 관악캠퍼스 설립자 박정희 전 대통령 망각 너무한 것 아닌가 사진 신상구 662 2024.06.18
2183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기념관 세운다 사진 신상구 410 2024.06.18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577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561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342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460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348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1008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523 2024.06.13
2175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572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659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546 2024.06.11
>>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570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527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454 2024.06.11
2169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491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317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641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336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