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0 14:45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1948년 월남 후 등단, 시집 18권출간    전후 황폐한 담은 '꽃의 반향' 호평    일본 등 세계에 한국시 알리기 힘써  이중섭과 우정, 은바기 그림 지켜내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통을 이어온 것으로 평가받는 김광림 시인이 9일 9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고인은 생전 18권의 시집을 출간했고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다. [사진 한국시인협회]
   “꽃은 꺾인 대로 화병에 담아 채우면 / 금시 향기로워 오는 / 목숨인데 / 사람은 한번 꺾어지면 / 그만 아닌가 (중략) 사람도 그만 향기로울 데만 있으면 / 담아질, 꺾이어도 좋은 / 꽃이 아닌가” (1959년 ‘사상계’에 발표한 시 ‘꽃의 반항’)  
  일상의 기쁨과 슬픔, 삶과 죽음의 의미를 성찰적인 시어로 노래했던 문단의 원로 김광림(본명 김충남) 시인이 9일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9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48년 단신으로 월남했다. 홀로 시를 습작하던 중 청록파 시인 박두진의 권유로 ‘연합신문’을 통해 시 ‘문풍지’로 등단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육군 소위로 참전하기도 했던 그는 전후인 1959년 첫 시집 『상심하는 접목』을 펴냈다. 


  1961년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김종삼, 김요섭 시인과 함께 문예지 <<현대시>> 창간 동인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2009년 청마문학상을 수상한 『허탈하고플 때』까지 총 18권의 시집을 출간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시는 정지용·김기림에서 시작해 김광섭·박남수 등으로 이어져 온 한국 시의 모더니즘 전통을 잇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필명 ‘광림’은 존경하던 시인인 김광균의 ‘광(光)’과 김기림의 ‘림(林)’을 따서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9년 발표한 그의 시 ‘꽃의 반항’은 꽃과 인간의 속성을 대비시키며 전쟁 후의 황폐한 내면을 담아낸 작품으로 호평받았다. 이후 그의 시들은 일상에서 느낀 다양한 감정을 해학과 풍자에 담아 대중들에게 다가갔다. 1989년 출간된 시집 『말의 사막에서』에 실린 ‘덤’에선 “나이 예순이면 / 살 만큼은 살았다 아니다 / 살아야 할 만큼은 살았다 / 이보다 덜 살면 요절이고 / 더 살면 덤이 된다 / 이제부터 나는 덤으로 산다(후략)”며 나이 드는 예술가의 회한과 다짐을 노래하기도 했다.             화가 이중섭(1916~56)과의 인연도 널리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은 해방 직후인 1947년 원산에서 만나, 화가가 작고한 1956년까지 우정을 이어갔다. 이중섭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은박지 그림’은 김광림 시인에 의해 탄생했고, 세상에 살아남았다. 그는 장교로 복무하던 시절 외출을 나올 때마다 이중섭의 요청으로 보급품 박스 속에 있던 양담배 은박지를 모아 전해줬다고 한다. 이후 예술 활동에 회의를 품은 이중섭이 “내 그림은 다 가짜”라며 모두 불살라버리라고 부탁했지만, 그는 잘 보관했다가 이후 이중섭과 같이 머물던 소설가 최태응을 통해 돌려줬다. 그는 2006년 펴낸 『진짜와 가짜의 틈새에서-화가 이중섭 생각』이란 책에 이런 두 사람의 인연을 기록하기도 했다.

   1992~94년 제28대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낼 땐 일본·대만 등의 시인들과 교류하며 한국시를 세계에 알리는 데 힘썼다. 1990년 세계시인대회 당시 일본의 유명 시인 시라이시 가즈코(白石かずこ)가 ‘오늘의 율리시스’라는 시를 낭독하자, 김 시인은 “나는 북에서 온 한국의 율리시스”라고 답했다. 이 일화가 알려지며 ‘한국의 율리시스’란 애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9년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2001년 국가유공자증서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 아들 김상수(바움커뮤니케이션 회장)·상일(조각가)·상호(대만 과기대 학장 겸 대만 현대시인협회장)씨, 딸 김상미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은 11일 오전 10시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426개(1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6315 2018.04.12
2185 숨은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 이야기 사진 신상구 495 2024.06.18
2184 서울대 관악캠퍼스 설립자 박정희 전 대통령 망각 너무한 것 아닌가 사진 신상구 666 2024.06.18
2183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기념관 세운다 사진 신상구 410 2024.06.18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578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563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344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460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349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1016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527 2024.06.13
2175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572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660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552 2024.06.11
2172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578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529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456 2024.06.11
>>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494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318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644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337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