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5.09 03:04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   ‘연자루 앞 버들개지/ 버들개지 제비 새끼 석양에 비껴나네/ 제비는 꽃을 쫓고, 꽃은 제비를 쫓아/ 성안의 여러 집으로 흩어져 들어가네 (燕子樓前楊柳花(연자루전양류화)/ 楊花燕子夕陽斜(양화연자석양사)/ 燕逐飛花花逐燕(연축비화화축연)/ 城中散入萬人家(성중산입만인가))’.

      이 시는 조선 후기 ‘지재당 강담운(只在堂 姜澹雲)’의 시집 ‘지재당고’에 ‘금릉잡시’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34수 연작시 중 한 편이다. 시에 등장하는 ‘연자루’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으로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함께 영남의 3대 누각이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연화사와 동상동 칼국수 타운이 들어서 있다.


      조선시대 기녀 중 송도의 황진이, 부안의 이매창 등은 뛰어난 글 재주로 후대에까지 이름을 남기며 많이 알려져 있다. 김해에도 한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김해의 아름다운 풍경을 시로 노래하며 여성한문학의 맥을 이었던 기녀이자 시인이었던 ‘지재당 강담운’이 있다.

      지재당은 김해의 자연을 노래한 34수 금릉잡시를 썼다. ‘금릉’은 김해를 아름답게 이른 말이다. 금릉잡시에는 구지봉, 수로왕릉, 후릉(수로왕비릉), 파사석, 사충단, 연자루, 함허정, 만장대, 무척산, 분산, 불암, 영운동 등 김해의 문화유적지와 지명이 등장하며 19세기 당시의 풍경을 정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을 관광콘텐츠화하기로 했다.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우선, 다음 달 지재당의 시집 ‘지재당고’를 우리말로 번역한 ‘그대, 그리움을 아는가’의 저자 이성혜 교수를 초청해 김해문화관광해설사 대상 교육을 실시한다. 기녀 지재당의 삶과 금릉잡시에 묘사된 김해, 금릉잡시의 성취와 의미 등에 대한 지식을 불어넣어 새로운 문화관광해설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또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하는 새로운 도보 해설 관광프로그램 ‘금릉로드’ 도입을 추진한다. 1820년경 제작돼 전해지고 있는 김해 옛 지도(김해부내지도)의 길을 따라 걸으며 조선시대의 김해를 떠올릴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올 하반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금릉잡시에 등장하는 장소 중 현재 연화사와 동상시장은 조선시대 객사 후원지로서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비석 하나, 풀 하나에 이야기가 숨어 있으며 연화사에는 지재당의 이야기도 있다. 지재당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 김해 객사 후원의 연자루, 함허정, 분성대 등이기 때문이다.

      김해시는 역사적 장소와 진정성 있는 이야기로 관광자원을 창출하고 체험을 통해 관광객들이 재미와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광객들은 김해 원도심 길을 걸으며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김해의 문화 다양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은숙 김해시 관광과장은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자원을 김해의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김해 원도심의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   1. 이종구, "조선 송도에 황진이가 있다면, 김해엔 ‘지재당 강담운’이 있었다", 경남신문, 2023.3.2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397 2018.04.12
2185 숨은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 이야기 사진 신상구 667 2024.06.18
2184 서울대 관악캠퍼스 설립자 박정희 전 대통령 망각 너무한 것 아닌가 사진 신상구 842 2024.06.18
2183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기념관 세운다 사진 신상구 508 2024.06.18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716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687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447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561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457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1317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647 2024.06.13
2175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688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772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694 2024.06.11
2172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841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616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563 2024.06.11
2169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597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421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908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452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