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UC 버클리대 카드 교수 최저임금 조사연구로 노벨경제학상 수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0.12 02:50
                                          UC 버클리대 카드 교수 최저임금 조사연구로 노벨경제학상 수상 

댓글
매일경제

11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 직후 줌으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데이비드 카드 UC버클리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도 생전에 작품을 팔아보지 못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연구성과가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낙담할 필요가 없습니다."

   202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카드 UC버클리 교수(64)의 말이다.

   카드 교수는 11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 직후 온라인으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나 자신도 이런 연구 분야에서 노벨경제학상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카드 교수는 고 앨런 크루거 프린스턴대 교수와 함께 1990년대초 최저임금에 대한 연구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학자다. 카드 교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내가 주장하는 것은) 최저임금을 올리자는 것이 아니다"며 "임금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해서 주목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드 교수는 "30여년이 흘러서 당시 연구 결과에 따라 인종간, 성별간 임금 격차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 교수는 "연구자들이 연구 결과가 주목받지 못한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카드 교수는 프린스턴대에서 강의를 하던 시절인 1992년 뉴저지와 펜실베이니아주 410개 패스트푸드점을 설문조사하며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연구에 대해 실험했다. 결론적으로 뉴저지주 패스트푸드점은 고용이 늘었다.

   카드 교수는 "프린스턴대가 있는 뉴저지주는 최저임금을 인상했지만 바로 옆 펜실베이니아주는 최저임금을 유지해 자연스럽게 연구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뉴저지주는 최저임금을 시간당 4.25달러에서 5.05달러로 올린 반면 펜실베이니아주는 4.25달러의 최저임금을 유지했다.

   카드 교수는 임금이 오르면 실업률이 오른다는 기존 경제학 이론과 달리 최저임금 상승이 항상 고용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이론을 정립하게 됐다.

   또 1980년대 쿠바 이민자들이 몰려온 플로리다 노동시장을 분석, 이민자들이 기존 노동자들의 임금 수준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는 이론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토박이 노동자들의 소득이 이민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코로나19 사태로 다시 최저임금 논란이 제기되며 카드 교수의 연구가 주목을 받게 됐다.

   노벨위원회는 이번 노벨경제학상 선정 과정에서 경제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자연과학에서처럼 실험을 통한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노벨위원회는 경제학 분야 경험적 연구 방법론을 완전히 새로 썼다고 평가했다.

   페터 프레데릭슨 스웨덴 왕립과학원 경제학분과 위원장은 "이들의 연구는 인과관계에 관한 질문에 대한 해답 제시 능력을 중대하게 증진했으며, 이는 우리 사회에 매우 큰 이득을 가져다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참고문헌>

  1. 박용범, "노벨경제학상 카드 교수 "최저임금 인상이 능사는 아냐", 매일경제신문, 2021.10.12일자. 


댓글


시청자 게시판

2,426개(13/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8 2018.04.12
2185 숨은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 이야기 사진 신상구 702 2024.06.18
2184 서울대 관악캠퍼스 설립자 박정희 전 대통령 망각 너무한 것 아닌가 사진 신상구 874 2024.06.18
2183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기념관 세운다 사진 신상구 532 2024.06.18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744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708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467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582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478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1369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670 2024.06.13
2175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709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791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715 2024.06.11
2172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877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637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594 2024.06.11
2169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624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448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941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472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