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황우석 박사의 놀라운 근황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30 02:39

 "만수르와 함께.." 최고 과학자에서 논문 조작으로 퇴출당했던 황우석 박사의 놀라운 근황

구민아 기자 님의 스토리
 • 11시간


“차라리 잘된 일일지도”

논문 조작으로 과학계에서 물러났던

황우석 박사의 근황

사진 = 황우석 (뉴스1, 연합뉴스)© 제공: 리포테라

과거 줄기세포의 대가로 불렸다가 논문 조작 논란으로 과학계에서 사라졌던 황우석 박사의 근황이 화제가 됐다.

황우석 박사는 서울대 수의대 교수로 1995년 세포 핵기술을 이용해 복제 송아지를 만들어냈다. 이후 1996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복제 양 ‘돌리’가 탄생하면서 그의 연구는 더욱 이목을 끌었다.

그는 척수장애인 모임에서 클론 강원래를 만나 “내가 강원래를 일으키지 못하면 노벨상 꿈나무들이 강원래를 반드시 일으킬 것”이라고 말하며 그를 일으키고 싶다는 염원을 드러내기도 했었다.

2004년에 동물 복제에서 나아가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 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한 그는 해당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사진 = 황우석 (연합뉴스)© 제공: 리포테라

생명윤리 학자 세라 찬 에든버러대 박사는 당시 상황을 회상하며 “그의 재생의학은 엄청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라며 “하나의 세포로 어떤 체세포든 만들 수 있다면, 간 같은 장기도 새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익명의 제보를 통해 그의 논문이 조작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는 과학계에서 사실상 퇴출당했다. 그의 논문 세포 사진이 조작됐다는 의혹과 미가공 데이터를 수정했다는 내부 고발자의 증언이 잇따랐고, 정부는 조사 결과 해당 논문의 11개 줄기세포 중 9개가 가짜로 밝혀졌다고 확인했다.

검찰 조사와 8년의 법정 공방을 거치며 그는 서울대 교수직에서 파면되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의 제1호 최고과학자 지위를 철회했다.

만수르 등에 업고 동물 복제 중

사진 = 황우석 다큐 (넷플릭스)© 제공: 리포테라

논문 조작 논란 이후 자취를 감췄던 그의 깜짝 근황이 공개돼 주목받았다. 그는 세계 최고 갑부로 등극했던 만수르 부총리의 초청으로 아랍 에미리트에서 동물 복제를 하고 있다.

만수르 부총리는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 알나얀 왕가의 왕족으로, 맨체스터 시티 FC의 구단주로도 국내에 잘 알려져 있다.

2016년 아랍 에미리트 공주의 죽은 반려견을 복제했던 그는 이를 계기로 중동과 연이 닿으며 만수르 부총리의 투자를 받아 아랍 에미리트의 수도인 아부다비에 생명공학 연구원을 설립했다.

동물 복제를 국가사업으로 행하는 아부다비는 그를 지원해 낙타, 반려견 등 동물 복제 사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황우석 (넷플릭스 캡처)© 제공: 리포테라

그는 중동에서 150마리가 넘는 낙타와 다른 동물 1000여 마리를 복제했다고 전해졌다. 그는 중동 왕가의 요청으로 낙타 11마리 복제에 성공해 그 보답으로 260억 원을 받기도 했다.

한편, 그는 종교와 윤리적 이유로 복제 기술을 비난하는 사람들에게 “클로닝(복제)은 그런 기술이 아니다. (클로닝으로 태어난) 동물들을 보면 과학 기술의 위대함과 자부심,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대단한 사람인 건 맞는 듯. 외국에서 승승장구하다니.”, “역량을 맘껏 발휘하시길”, “영화에서나 보던 클론 복제의 핵심 인물이 한국인이라니”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twitter facebook me2day 

시청자 게시판

2,426개(1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0802 2018.04.12
2205 국학박사 신상구, 한국 최초로 『한민족의 원대한 꿈 노벨상 수상 전략』 신상구 364 2024.06.30
>> 황우석 박사의 놀라운 근황 신상구 595 2024.06.30
2203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을 잊지말자 신상구 502 2024.06.30
2202 괴산의 마을풍수와 마을제당’ 학술대회, 오는 7월 3일 개최 사진 신상구 324 2024.06.29
2201 북송의 대문호 소동파 이야기 사진 신상구 377 2024.06.27
2200 일론 머스크의 ‘제로 투 원’ 정신 사진 신상구 567 2024.06.27
2199 청주고 출신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하계 다보스포럼' 공동의장 추대 사진 신상구 433 2024.06.26
2198 윤석열 대통령, 6·25한국전쟁 7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441 2024.06.26
2197 후손 확인 안돼 훈장 전수 못한 독립유공자 전국 7207명, 충청지역 5 사진 신상구 555 2024.06.26
2196 <특별기고> 한국전쟁 74주년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483 2024.06.25
2195 4년째 첫삽도 못뜬 산내평화공원 신상구 324 2024.06.25
2194 전미경 대전산내사건 유족 회장 전미경 씨, 유족 늙어가는데 평화공원 첫삽 사진 신상구 488 2024.06.25
2193 부끄러움을 모르는 세상 ​ 사진 신상구 446 2024.06.23
2192 <특별기고> 한국어 국제 위상과 해외 한글교육 현황과 과제 신상구 874 2024.06.22
2191 105세 김형석 교수가 고교 1학년 학생들에게 조언한 내용 신상구 719 2024.06.22
2190 이화여대에 초석 놓은 앨리스 아펜젤러 사진 신상구 581 2024.06.21
2189 이장우 대전시장 취임 2주년 주요성과 및 시정 방향 발표 사진 신상구 518 2024.06.20
2188 한국 국제경쟁력 20위 역대 최고, 독일과 일본 제쳤다 신상구 449 2024.06.20
2187 인간 김해경 회고 사진 신상구 857 2024.06.18
2186 한글문화도시 세종에 거는 기대 사진 신상구 519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