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 사람 한 사람이 우주의 주인이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4.12 14:43
 
                 오피니언 박석무의 실학산책

                       한 사람 한 사람이 우주의 주인이다

중앙일보

입력 

박석무 다산학자·우석대 석좌교수

박석무 다산학자·우석대 석좌교수

  지구 위에는 수십억 명의 인구가 지역별로 국가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수십억 인구 중에서 단 한 사람쯤이야 백사장의 모래알 하나처럼 무가치 무의미하게 여겨버릴 수 있으나, 따지고 보면 한 사람 한 사람이 바로 우주의 주인공이자 우주 전체일 수도 있다. 그렇게 인간 한 사람이 우주의 존재 이유고 우주 자체라는 것이다. 옛날의 책을 읽어 보면 인간 한 사람의 높은 가치를 이야기한 내용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고경(古經)에도 거론돼 있지만, 어진 이들인 율곡 이이나 다산 정약용도 사람의 가치를 거론했다.

다산, 목민심서 48권 저술한 뒤
“백성 하나에라도 도움 됐으면”
비록 천하를 얻을 수 있다 해도
단 한 명의 목숨 해쳐서는 안 돼

“백성 하나라도 혜택 보기를”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다산 정약용의 묘소. [사진 다산연구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다산 정약용의 묘소. [사진 다산연구소]

  다산은 『목민심서』 48권이라는 방대한 저술을 마치고, 그 책에 대한 설명을 ‘자찬묘지명’이라는 자서전 격인 글에다 해놓았다. “이 책을 목민관들에게 주어서 혹여 백성 ‘한 사람’이라도 혜택을 볼 수 있기를 바라는 바가 나의 뜻이다”고 말했다. ‘일민(一民)’이라도 그 책으로 인해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책을 저술한 보람으로 삼겠다면서 백성 한 사람의 위대한 가치를 언급했다.

  또 ‘시이자가계(示二子家誡)’라는 글에서 “군자가 책을 펴내 세상에 전하고자 하는 것은 단 한 사람이라도 그 진가를 알아주기를 바라서이다. 나머지 세상 사람들이 온통 욕해도 상관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책을 저술해 단 한 사람이라도 제대로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면 보람을 느낄 수 있다면서 ‘일인(一人)’의 귀중함을 다시 또 말했다. 사람 한 사람이 세상과 우주의 주인공이자 그 자체임을 분명하게 밝힌 것이다.

  맹자는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장에서 제자들과 토론하면서 “한 가지라도 불의를 행하고, 한 사람이라도 죄 없는 사람을 죽인다면 천하를 얻을 수 있을지라도 해서는 안 된다(行一不義 殺一不辜而得天下 皆不爲也)”고 했다. 인간이라면 해서는 안 될 일이 단 한 사람의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일이라고 한 것이다. 율곡은 이를 그대로 인용해 『격몽요결』이라는 책에서 “죄 없는 단 한 사람만 죽이면 천하를 얻을 수 있을지라도 그런 일은 절대로 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지녀야만 사람다운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맹자·율곡·다산은 한 사람의 존귀한 가치를 넉넉하게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仁)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공자의 후학들이 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개명한 시대에 벌어지는 전쟁

  단 한 사람의 생명이 그렇게 중요하다는 생각에 이르자, 이러한 개명(開明)한 시대에 뭇 생명이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해 버리는 전쟁을 목격하면서 무력한 한 인간의 아픔이 견디기 어렵다. 러시아·우크라이나·이스라엘 등에서 벌어지는 현대 전쟁을 TV로 목격하면서, 이런 세상이 인간들이 살아가는 세상인가를 놓고 비통함과 회의에 정신이 흔들린다. 우주 자체인 한 인간의 생명, 그런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보살펴 줄 막중한 책임이 바로 국가에 있다. 그런 국가가 전쟁을 막지 못하고, 오히려 전쟁을 일으켜 시체가 산더미처럼 쌓이게 하고 있으니, 이것이 어찌 인간이 할 일이겠는가.

  얼마 전 영화 ‘서울의 봄’을 관람했다. 국토를 방위할 국군들이 기본 책무를 던져버리고 쿠데타를 일으켜 반(反)쿠데타 군인들에게 무차별 발포해 수많은 생명이 죽어 가는 모습을 보아야 했다. 그들은 또 5·18에 광주로 내려가 민주주의를 하자고 외치는 수많은 양민을 학살했다. 우주인 생명을 그렇게도 무참히 학살했지만, 이들 신군부 세력 대부분은 인과응보도 지켜지지 않은 채 천수를 다했다. 이런 일이 현대에 있었던 우리의 역사였다.

                                        진리는 늦게라도 도착하는 기차

  그러나 길게 보면 하늘은 결코 눈을 감지 않는다. 인과응보도 늦을 수는 있어도 반드시 오고야 만다. 한 사람의 목숨, 전태일 열사, 박종철 열사, 이한열 열사 등 그들 우주의 무너짐에서 우리의 민주화는 앞당겨지지 않았는가. 해병대 채모 상병의 억울한 죽음, 그 우주의 무너짐 앞에 국가의 책임은 없다면서 일어나는 요즘의 실상을 보노라면 참으로 가관이 아닐 수 없다. 반드시 폭발하고야 말 화약고를 끝까지 숨겨보려고 하는 온갖 작태가 노출되면서 다시 한번 우주 자체인 한 사람의 생명은 참으로 귀중하다는 것을 깨닫지 않을 수 없다.

  다시 영화 ‘서울의 봄’으로 돌아가자. 반란군들과 반쿠데타 군인들과의 충돌에서 역시 옳은 군인들은 반쿠데타 군인들이었다. 반란군 지도자에게 반쿠데타 지도자가 외치던 목소리를 잊을 수 없다. “너는 대한민국의 군인도 아니고, 인간도 아니다”라고 외치던 목소리.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군인은 군인도 아니고 사람도 아니라는 외침은 무고한 사람 죽이는 일이 얼마나 큰 죄악인가를 상기시키는 역사에 길이 남을 외침이라고 여겨진다.

  진리는 늦게라도 끝내 도착하는 기차다. 한 인간의 가치를 부정한 그들에게 맹자·율곡·다산은 절대로 눈감지 않을 것이다.

  박석무 다산학자·우석대 석좌교수


시청자 게시판

2,426개(1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29 2018.04.12
2205 국학박사 신상구, 한국 최초로 『한민족의 원대한 꿈 노벨상 수상 전략』 신상구 447 2024.06.30
2204 황우석 박사의 놀라운 근황 신상구 761 2024.06.30
2203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을 잊지말자 신상구 689 2024.06.30
2202 괴산의 마을풍수와 마을제당’ 학술대회, 오는 7월 3일 개최 사진 신상구 394 2024.06.29
2201 북송의 대문호 소동파 이야기 사진 신상구 489 2024.06.27
2200 일론 머스크의 ‘제로 투 원’ 정신 사진 신상구 680 2024.06.27
2199 청주고 출신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하계 다보스포럼' 공동의장 추대 사진 신상구 512 2024.06.26
2198 윤석열 대통령, 6·25한국전쟁 7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520 2024.06.26
2197 후손 확인 안돼 훈장 전수 못한 독립유공자 전국 7207명, 충청지역 5 사진 신상구 676 2024.06.26
2196 <특별기고> 한국전쟁 74주년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562 2024.06.25
2195 4년째 첫삽도 못뜬 산내평화공원 신상구 398 2024.06.25
2194 전미경 대전산내사건 유족 회장 전미경 씨, 유족 늙어가는데 평화공원 첫삽 사진 신상구 562 2024.06.25
2193 부끄러움을 모르는 세상 ​ 사진 신상구 531 2024.06.23
2192 <특별기고> 한국어 국제 위상과 해외 한글교육 현황과 과제 신상구 962 2024.06.22
2191 105세 김형석 교수가 고교 1학년 학생들에게 조언한 내용 신상구 820 2024.06.22
2190 이화여대에 초석 놓은 앨리스 아펜젤러 사진 신상구 676 2024.06.21
2189 이장우 대전시장 취임 2주년 주요성과 및 시정 방향 발표 사진 신상구 688 2024.06.20
2188 한국 국제경쟁력 20위 역대 최고, 독일과 일본 제쳤다 신상구 542 2024.06.20
2187 인간 김해경 회고 사진 신상구 1036 2024.06.18
2186 한글문화도시 세종에 거는 기대 사진 신상구 592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