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4.02 01:19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김주영 소설가가 객주문학관 3층 전시실에서 대하소설 ‘객주’의 육필 원고를 들어 보이고 있다.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집에 있는 날은 한 달에 열흘도 채 안 됐다. 극단적으로 작은 글씨는 짐을 줄이기 위한 묘수였다. 소설가 고(故) 이문구는 김주영의 노트를 보고 “이것은 그의 피다. 피 흘리는 김주영의 모세혈관”이라고 평했다. 작가의 치열함, 치밀함의 정수 그 자체라는 것이다. 연재가 끝난 해에 창작과비평사에서 ‘객주’를 9권의 책으로 묶어 냈다. 이후 2013년 마지막 10권을 내면서 연재를 시작한 지 34년 만에 마침표를 찍었다.

2014년 객주문학관이 개관한 이래 김주영은 고향 청송에 내려와 지낸다. 대부분 시간은 문학관 내 집필실 ‘여송헌’과 진보면 모처의 작업실에서 보낸다. 그는 “고향을 떠올리면 아픈 기억밖에 없다”고 했다. 물로 배를 채우는 날이 허다했고, 소풍 날에는 도시락통에 삶은 감자 한 알을 넣어갈 정도로 가난했다. 이날 점심, 인근 식당에서 기자와 갈치조림을 먹으면서도 그는 감자를 골라냈다. “그때 생각이 나서 못 먹습니다.” 하지만 장이 열리던 날을 떠올리면서는 눈을 반짝였다. “내 앞에 펼쳐진 진풍경에 매혹돼 장날마다 학교를 빠졌습니다. 그게 결국 ‘객주’의 시작이었던 셈입니다.”

◇우리말 갈래 노트와 저울추

21일 오후 경북 청송군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소설가의 ‘객주’ 육필원고와 전시물.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21일 오후 경북 청송군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소설가의 ‘객주’ 육필원고와 전시물.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21일 오후 경북 청송군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소설가의 ‘객주’ 육필원고와 전시물. /신현종 기자© 제공: 조선일보

“이 문학관에 오는 관람객들이 ‘옛날 거 많이 모아놨구나’ 이야기를 해요. 그럴 때 저도 ‘아, 내가 옛날 사람이구나’ 하는 느낌을 받지요.” 김주영은 이날 문학관에서 또 다른 ‘보물’을 공개했다. 소설 ‘객주’를 쓸 당시 참고하기 위해 그가 직접 정리한 ‘우리말 갈래 노트’들이다. ‘객주’는 그 시대의 말을 제대로 살린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작가 자신도 집필 당시 필요한 단어를 꼼꼼히 정리해 자기만의 우리말 갈래 사전을 만든 것이다.

말[馬]과 관련된 단어만 정리한 노트 한쪽만 봐도 생소한 말이 가득하다. “구마(마구간에 있는 말), 기재마(타기도 하고 짐도 싣는 말), 관전마태(고을에서 관마와 군마를 사육하는 사료로 쓰는 콩), 먹총이(검은 털과 흰 털이 섞여 난 말), 이도수아(청록 또는 홍록으로 땋은 두 가닥의 끈을 말 굴레의 장식으로 드리우는 것)….”

그는 과거 한 출판사로부터 ‘옛말이 너무 어려우니 쉬운 말로 고쳐서 다시 내자’는 제안도 받았지만 끝내 거절했다. “호텔에 가서 쓰든, 외국에 가든 경비를 다 대줄 테니 쉬운 말로 고쳐서 내면 아주 많이 팔릴 거라고…. 한동안 나도 그 유혹에 빠졌는데, 그 단어를 찾기 위해서 내가 얼마나 고생했나. 여기에 딱 맞는 말을 찾기 위해 숱한 밤을 새우지 않았나. 못 바꾸겠더라고.”

전국 각지를 떠돌며 모은 재래식 저울추 50여 점도 그의 애장품이다. “상인들한테 돈 주고 사기도 하고, 골동품점에서 사기도 했다”며 “어디서 어떻게 가져왔는지는 이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정말 흥미로운 물건입니다. 물건의 가치가 저울에 의해서 결정되거든요. 저울이 생기면서 규격화가 된 거지요.” 조선 후기 보부상 집단의 출현과 그 상업 활동을 소설로 담아낸 ‘객주’를 써낸 작가에게 보부상들이 써왔던 저울추는 ‘초기 자본주의의 씨앗’과도 같은 매혹적인 물건이라고 했다.

                                                                    <참고문헌>

   1. 황지윤, "노트 20권에 3mm 글씨로 까맣게 채운  소설<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조선일보, 2024.3.26일자. A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551 2018.04.12
2205 국학박사 신상구, 한국 최초로 『한민족의 원대한 꿈 노벨상 수상 전략』 신상구 434 2024.06.30
2204 황우석 박사의 놀라운 근황 신상구 724 2024.06.30
2203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을 잊지말자 신상구 652 2024.06.30
2202 괴산의 마을풍수와 마을제당’ 학술대회, 오는 7월 3일 개최 사진 신상구 376 2024.06.29
2201 북송의 대문호 소동파 이야기 사진 신상구 458 2024.06.27
2200 일론 머스크의 ‘제로 투 원’ 정신 사진 신상구 649 2024.06.27
2199 청주고 출신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하계 다보스포럼' 공동의장 추대 사진 신상구 496 2024.06.26
2198 윤석열 대통령, 6·25한국전쟁 7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504 2024.06.26
2197 후손 확인 안돼 훈장 전수 못한 독립유공자 전국 7207명, 충청지역 5 사진 신상구 652 2024.06.26
2196 <특별기고> 한국전쟁 74주년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541 2024.06.25
2195 4년째 첫삽도 못뜬 산내평화공원 신상구 383 2024.06.25
2194 전미경 대전산내사건 유족 회장 전미경 씨, 유족 늙어가는데 평화공원 첫삽 사진 신상구 547 2024.06.25
2193 부끄러움을 모르는 세상 ​ 사진 신상구 509 2024.06.23
2192 <특별기고> 한국어 국제 위상과 해외 한글교육 현황과 과제 신상구 948 2024.06.22
2191 105세 김형석 교수가 고교 1학년 학생들에게 조언한 내용 신상구 795 2024.06.22
2190 이화여대에 초석 놓은 앨리스 아펜젤러 사진 신상구 657 2024.06.21
2189 이장우 대전시장 취임 2주년 주요성과 및 시정 방향 발표 사진 신상구 656 2024.06.20
2188 한국 국제경쟁력 20위 역대 최고, 독일과 일본 제쳤다 신상구 525 2024.06.20
2187 인간 김해경 회고 사진 신상구 993 2024.06.18
2186 한글문화도시 세종에 거는 기대 사진 신상구 576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