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2.19 03:33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야산 이달의 제자로 말년까지 왕성한 활동
                                        주역 관련 저서 10권 넘게 남겨...대중화 공헌


clip20230215183115

주역(周易)의 대중화를 이끈 대산(大山) 김석진 옹./연합


주역(周易)과 천부경의 대중화를 이끈 대산(大山) 김석진 선생이 1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8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김 옹은 19세에 주역에 입문했으며 야산 이달(1889∼1958) 선생의 문하에서 13년 동안 유학의 삼경(역경·시경·서경)을 배웠다.


  이달 선생은 당대 주역의 대가이자 빼어난 유학자로 역사학자 이이화(1937∼2020)의 부친이기도 하다.


  김 선생은 스승이 작고한 후 독학으로 주역을 파고들었으며 50대인 1980년대부터 약 30년 동안 전국 각지를 돌며 주역을 가르쳤다. 생계를 꾸리기 위해 한때 한약방을 운영하면서도 주역 연구를 포기하지 않는 결과였다.


  그는 미수(米壽·88세) 기념집 발간을 계기로 2015년 기자들을 만났을 때는 "주역은 세상이 변하는 것, 즉 이치를 알고 점을 쳐서 미래를 알려주는 것"이라며 "미래에 슬기롭게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이치를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일반인들도 주역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별세 소식을 알린 이찬구 한국홍역학회장은 "대산 선생의 제자로 공부한 이들이 약 1만 명, 1년 정도 공부해서 수료한 뒤 호를 받은 제자가 3000명에 달한다"며 "어려운 주역의 대중화에 공헌하신 분"이라고 말했다.


  고인은 주역을 현대인이 알기 쉽게 풀어낸 '대산 주역강의'를 비롯해 주역 관련 저서를 10권 넘게 남겼다.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고인은 2019년에 '새로 쓴 대산 주역강의'를 냈고, 지난달 언론 매체와 인터뷰할 정도로 왕성하게 활동했다.


  필자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박사과정에 재학하고 있을 때에 국학원에서 

대산 김석산 선생의 천부경 강연을 듣고 감명을 받은 바 있다. 


  유족으로는 아들 김한성·한명·한기 씨와 딸 김한숙 씨가 있다.


  장례는 고인이 설립한 한국홍역학회의 학회장으로 치러지며 주역 제자인 김주한 전 대법관이 장례위원장을 맡는다.


  발인은 17일 오전 8시, 장지는 세종시 소재 대전공원묘원이다.


                                                                        <참고문헌>

1. 황의종, "주역의 ‘큰산’ 대산 김석진 선생 별세...약 1만명 제자 배출",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투데이, 2023.2.15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2/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6357 2018.04.12
2205 국학박사 신상구, 한국 최초로 『한민족의 원대한 꿈 노벨상 수상 전략』 신상구 321 2024.06.30
2204 황우석 박사의 놀라운 근황 신상구 536 2024.06.30
2203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을 잊지말자 신상구 407 2024.06.30
2202 괴산의 마을풍수와 마을제당’ 학술대회, 오는 7월 3일 개최 사진 신상구 294 2024.06.29
2201 북송의 대문호 소동파 이야기 사진 신상구 308 2024.06.27
2200 일론 머스크의 ‘제로 투 원’ 정신 사진 신상구 517 2024.06.27
2199 청주고 출신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하계 다보스포럼' 공동의장 추대 사진 신상구 396 2024.06.26
2198 윤석열 대통령, 6·25한국전쟁 7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403 2024.06.26
2197 후손 확인 안돼 훈장 전수 못한 독립유공자 전국 7207명, 충청지역 5 사진 신상구 483 2024.06.26
2196 <특별기고> 한국전쟁 74주년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451 2024.06.25
2195 4년째 첫삽도 못뜬 산내평화공원 신상구 288 2024.06.25
2194 전미경 대전산내사건 유족 회장 전미경 씨, 유족 늙어가는데 평화공원 첫삽 사진 신상구 447 2024.06.25
2193 부끄러움을 모르는 세상 ​ 사진 신상구 394 2024.06.23
2192 <특별기고> 한국어 국제 위상과 해외 한글교육 현황과 과제 신상구 833 2024.06.22
2191 105세 김형석 교수가 고교 1학년 학생들에게 조언한 내용 신상구 666 2024.06.22
2190 이화여대에 초석 놓은 앨리스 아펜젤러 사진 신상구 523 2024.06.21
2189 이장우 대전시장 취임 2주년 주요성과 및 시정 방향 발표 사진 신상구 439 2024.06.20
2188 한국 국제경쟁력 20위 역대 최고, 독일과 일본 제쳤다 신상구 411 2024.06.20
2187 인간 김해경 회고 사진 신상구 762 2024.06.18
2186 한글문화도시 세종에 거는 기대 사진 신상구 485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