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0 14:45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1948년 월남 후 등단, 시집 18권출간    전후 황폐한 담은 '꽃의 반향' 호평    일본 등 세계에 한국시 알리기 힘써  이중섭과 우정, 은바기 그림 지켜내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통을 이어온 것으로 평가받는 김광림 시인이 9일 9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고인은 생전 18권의 시집을 출간했고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다. [사진 한국시인협회]
   “꽃은 꺾인 대로 화병에 담아 채우면 / 금시 향기로워 오는 / 목숨인데 / 사람은 한번 꺾어지면 / 그만 아닌가 (중략) 사람도 그만 향기로울 데만 있으면 / 담아질, 꺾이어도 좋은 / 꽃이 아닌가” (1959년 ‘사상계’에 발표한 시 ‘꽃의 반항’)  
  일상의 기쁨과 슬픔, 삶과 죽음의 의미를 성찰적인 시어로 노래했던 문단의 원로 김광림(본명 김충남) 시인이 9일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9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48년 단신으로 월남했다. 홀로 시를 습작하던 중 청록파 시인 박두진의 권유로 ‘연합신문’을 통해 시 ‘문풍지’로 등단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육군 소위로 참전하기도 했던 그는 전후인 1959년 첫 시집 『상심하는 접목』을 펴냈다. 


  1961년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김종삼, 김요섭 시인과 함께 문예지 <<현대시>> 창간 동인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2009년 청마문학상을 수상한 『허탈하고플 때』까지 총 18권의 시집을 출간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시는 정지용·김기림에서 시작해 김광섭·박남수 등으로 이어져 온 한국 시의 모더니즘 전통을 잇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필명 ‘광림’은 존경하던 시인인 김광균의 ‘광(光)’과 김기림의 ‘림(林)’을 따서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9년 발표한 그의 시 ‘꽃의 반항’은 꽃과 인간의 속성을 대비시키며 전쟁 후의 황폐한 내면을 담아낸 작품으로 호평받았다. 이후 그의 시들은 일상에서 느낀 다양한 감정을 해학과 풍자에 담아 대중들에게 다가갔다. 1989년 출간된 시집 『말의 사막에서』에 실린 ‘덤’에선 “나이 예순이면 / 살 만큼은 살았다 아니다 / 살아야 할 만큼은 살았다 / 이보다 덜 살면 요절이고 / 더 살면 덤이 된다 / 이제부터 나는 덤으로 산다(후략)”며 나이 드는 예술가의 회한과 다짐을 노래하기도 했다.             화가 이중섭(1916~56)과의 인연도 널리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은 해방 직후인 1947년 원산에서 만나, 화가가 작고한 1956년까지 우정을 이어갔다. 이중섭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은박지 그림’은 김광림 시인에 의해 탄생했고, 세상에 살아남았다. 그는 장교로 복무하던 시절 외출을 나올 때마다 이중섭의 요청으로 보급품 박스 속에 있던 양담배 은박지를 모아 전해줬다고 한다. 이후 예술 활동에 회의를 품은 이중섭이 “내 그림은 다 가짜”라며 모두 불살라버리라고 부탁했지만, 그는 잘 보관했다가 이후 이중섭과 같이 머물던 소설가 최태응을 통해 돌려줬다. 그는 2006년 펴낸 『진짜와 가짜의 틈새에서-화가 이중섭 생각』이란 책에 이런 두 사람의 인연을 기록하기도 했다.

   1992~94년 제28대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낼 땐 일본·대만 등의 시인들과 교류하며 한국시를 세계에 알리는 데 힘썼다. 1990년 세계시인대회 당시 일본의 유명 시인 시라이시 가즈코(白石かずこ)가 ‘오늘의 율리시스’라는 시를 낭독하자, 김 시인은 “나는 북에서 온 한국의 율리시스”라고 답했다. 이 일화가 알려지며 ‘한국의 율리시스’란 애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9년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2001년 국가유공자증서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 아들 김상수(바움커뮤니케이션 회장)·상일(조각가)·상호(대만 과기대 학장 겸 대만 현대시인협회장)씨, 딸 김상미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은 11일 오전 10시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776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295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178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200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253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372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303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246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239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172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356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194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334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203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564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194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307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326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378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192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227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