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2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5.06 13:01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2부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김민기와 학전에 관한 최초의 다큐멘터리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의 인터뷰이로 나선 가요계의 살아있는 전설 송창식이 김민기의 노래를 듣고 충격을 받은 사연을 공개한다.

    'SBS 스페셜-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연출 이동원, 고혜린/구성 김명정, 이승미)는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탄생시킨 대한민국 문화예술의 못자리 학전과 철저히 무대 뒤의 삶을 지향하며 방송 출연을 자제해온 학전 대표 김민기의 이야기를 담은 최초의 다큐멘터리로, 김민기를 위해 기꺼이 카메라 앞에 나선 유명인사 100여명의 인터뷰가 담기는 유일무이한 프로젝트로 세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 특히 33년 만에 아쉬운 폐관을 맞이한 학전의 문화적 가치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를 위해 헌신한 연출가 김민기의 삶을 돌아보며 뭉클한 울림을 선사한 1부 방송이 전국 시청률 3.4%(닐슨코리아 기준)로 동시간대 지상파 1위를 기록하며, 방송의 여운이 '학전 기억하기'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오는 28일 방송되는 2부에서는 전설적인 음악가 김민기의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이 가운데 송창식, 조영남, 박학기, 나윤선, 장필순, 강산에, 윤도현, 정재일 등 현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악가들이 '뮤지션들의 뮤지션' 김민기의 음악과 삶을 증언한다.

     인터뷰에 나선 수많은 뮤지션들은 그 당시 학전에서 공연을 하는 것이 영광스러운 일이었다고 밝힌다. 이중 윤도현은 "학전에서의 공연 전날은 들떠서 잠도 거의 못 잤을 정도다. 여지껏 노래한 것 중에 제일 크게 불렀다. 학전에서 지금의 YB가 자라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해 90년대 초 가수들에게 있어 학전의 의미를 되짚는 한편, 이들의 구심점이 된 김민기의 영향력을 전한다. 김민기 선생님은 내 음악적인 아버지"라고 존경심을 드러낸다. 나아가 명실공히 '포크음악의 신'으로 통하는 송창식은 "김민기가 첫 만남 때 '친구'라는 곡을 들고 와서 나에게 한 번 불러 달라고 했었다. 곡이 굉장히 세련 됐더라. '나보다 곡 잘 쓰는 사람이 많네' 생각했다"라면서 "김민기는 천부적인 재질이 있었다. 

     그런가 하면 이날 방송에서는 김민기와 조용필의 역사적인 만남 비하인드 스토리를 최초로 공개한다. 두 사람은 '땅 위에는 조용필, 땅 밑에는 김민기'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당시 대한민국 음악계에서 거대한 양대 산맥을 이루던 거장. 두 사람의 만남을 주선한 장본인인 음악평론가 강헌은 "두 분이 이전까지 스친 적도 없는 인연이었다. 조용필 선배님께 '김민기를 아느냐'고 물었더니 '내가 왜 모르냐'면서 '존경한다'더라"라고 전하며, 두 거장이 처음으로 마주 앉아 술잔을 기울이던 밤의 일화를 허심탄회하게 공개한다.

   SBS 스페셜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는 총 3부작으로, 2부는 지난 4월 28일 일요일 밤 11시 5분에 방송되었다. 

                                                                                                                   <참고문헌>

   1. 서병기,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2부, 김민기X조용필 두 거장의 역사적 술자리 만남 비화", 헤랄드경제,  2024.4.2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604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51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17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9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7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4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32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5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0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0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7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57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9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9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04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2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1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27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1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6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5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