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5.09 03:04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   ‘연자루 앞 버들개지/ 버들개지 제비 새끼 석양에 비껴나네/ 제비는 꽃을 쫓고, 꽃은 제비를 쫓아/ 성안의 여러 집으로 흩어져 들어가네 (燕子樓前楊柳花(연자루전양류화)/ 楊花燕子夕陽斜(양화연자석양사)/ 燕逐飛花花逐燕(연축비화화축연)/ 城中散入萬人家(성중산입만인가))’.

      이 시는 조선 후기 ‘지재당 강담운(只在堂 姜澹雲)’의 시집 ‘지재당고’에 ‘금릉잡시’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34수 연작시 중 한 편이다. 시에 등장하는 ‘연자루’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으로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함께 영남의 3대 누각이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연화사와 동상동 칼국수 타운이 들어서 있다.


      조선시대 기녀 중 송도의 황진이, 부안의 이매창 등은 뛰어난 글 재주로 후대에까지 이름을 남기며 많이 알려져 있다. 김해에도 한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김해의 아름다운 풍경을 시로 노래하며 여성한문학의 맥을 이었던 기녀이자 시인이었던 ‘지재당 강담운’이 있다.

      지재당은 김해의 자연을 노래한 34수 금릉잡시를 썼다. ‘금릉’은 김해를 아름답게 이른 말이다. 금릉잡시에는 구지봉, 수로왕릉, 후릉(수로왕비릉), 파사석, 사충단, 연자루, 함허정, 만장대, 무척산, 분산, 불암, 영운동 등 김해의 문화유적지와 지명이 등장하며 19세기 당시의 풍경을 정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을 관광콘텐츠화하기로 했다.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우선, 다음 달 지재당의 시집 ‘지재당고’를 우리말로 번역한 ‘그대, 그리움을 아는가’의 저자 이성혜 교수를 초청해 김해문화관광해설사 대상 교육을 실시한다. 기녀 지재당의 삶과 금릉잡시에 묘사된 김해, 금릉잡시의 성취와 의미 등에 대한 지식을 불어넣어 새로운 문화관광해설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또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하는 새로운 도보 해설 관광프로그램 ‘금릉로드’ 도입을 추진한다. 1820년경 제작돼 전해지고 있는 김해 옛 지도(김해부내지도)의 길을 따라 걸으며 조선시대의 김해를 떠올릴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올 하반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금릉잡시에 등장하는 장소 중 현재 연화사와 동상시장은 조선시대 객사 후원지로서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비석 하나, 풀 하나에 이야기가 숨어 있으며 연화사에는 지재당의 이야기도 있다. 지재당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 김해 객사 후원의 연자루, 함허정, 분성대 등이기 때문이다.

      김해시는 역사적 장소와 진정성 있는 이야기로 관광자원을 창출하고 체험을 통해 관광객들이 재미와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광객들은 김해 원도심 길을 걸으며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김해의 문화 다양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은숙 김해시 관광과장은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자원을 김해의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김해 원도심의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   1. 이종구, "조선 송도에 황진이가 있다면, 김해엔 ‘지재당 강담운’이 있었다", 경남신문, 2023.3.2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34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34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492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53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5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40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13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04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489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399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00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34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66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07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83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75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57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04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62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13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30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