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3.02 10:55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가난했던 보리고개 시절 우리 국민이 가장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실컷 쌀밥을 먹었으면 하는 염원이었을 게다. 지금도 식량사정이 좋지 않은 북한 주민들에겐 '하얀 쌀밥에 고기국'이 간절한 소망인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 어머니들은 아침밥을 지을 때만 쌀을 사용했다. 깡 보리 위에 살짝 쌀을 올려놓고 도시락과 연세 많은 어른들의 밥을 푸고 나면 나머지 식구들은 쌀밥 구경하기가 힘들었다.

  내 고향 서산은 곡창지대라서 쌀이 풍부했지만 가난한 주민들의 삶은 마찬가지였다. 겨울 철 하얀 눈이 오면 대부분 어머니들은 '저 눈이 쌀이었으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탄식했던 것을 기억한다.

  지금은 쌀이 칼로리가 높은 탄수화물이어서 날씬한 몸매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외면하는 풍조가 생겼으니 금석지감이 있다. 쌀이 남아돌아가 전국의 쌀 창고마다 골치를 앓은 적이 있었다.

  삼사십년 전만 하더라도 쌀로 밀주를 만들어 먹다 걸리면 벌금을 물어야 했다. 새참용으로 쓸 가양주도 마음대로 만들어 먹지 못했다. 밀주 단속반이 시퍼런 눈을 뜨고 농가를 급습하는 일도 있었다.

   술독에 쌀밥과 누룩을 섞어 넣고 아랫목에 놓으면 보글보글 가스가 올라오면서 향긋한 술 냄새가 죽인다. 꿀꺽 침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으니 어찌하랴.

   술이 아직 안됐는데 몰래 용수를 박고 살짝 떠먹으면 입에 쩍쩍 달라붙는 맛이 최고다. '엄니 술 다 됐어유~. '아이고 승질도 급혀~ 하루 더 둬야 혀~' 지금은 옛 분들이 모두 이 세상을 떠났으니 모두 그리운 추억이 되고 말았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쌀 종주국은 중국이며 양자강 상류에서 출토된 볍씨가 최고라는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쌀 종주국은 한국이었으며 이는 청주시 소로리에서 출토 된 볍씨가 가장 오래 된 것이라는 연구결과 세계에서 공인 됐다는 지식을 얻었다.

   소로리볍씨는 중국 보다 훨씬 오래인 1만 2~3천년전의 탄소측정이 나왔다. 양자강 볍씨보다 2천여년이나 오래 된 것이라고 한다. 이를 소개한 한국 관광공사 유트뷰를 보니 재미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우리 한국의 벼농사 역사가 세계 최고라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매일 쌀밥을 지어 먹으면서도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청주 소로리는 바로 미호쳔 유역이며 세종시와 가장 가까운 곳이다. 이 곳을 흐르는 미호천은 세종시를 관통하여 대평리에서 공주 금강에 합류한다.

   소로리 볍씨는 이미 한국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쌀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한다. 대전 괴정동에서 출토 된 청동기에서 농사를 짓는 그림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가 현재 살고 있는 갑천 일대에서도 수 천년 조상들이 쌀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한다.

   얼마 전 한 신문을 보니 한국인의 IQ가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한다. 이웃인 일본, 중국인들보다 뛰어나다. 5천년 역사동안 이 민족의 숱한 외침을 당하면서 민족성을 지켜온 것도 이런 우수한 DNA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여 우리가 세계 속에서 가장 우수한 민족으로 설수 있도록 했다. 지금 세계 여러 나라가 한글을 모국어로 쓰려고 배운다.

   미국, 영국, 프랑스, 아프리카, 동남아 청년들이 BTS의 한국 노래를 따라 부른다. 가난했던 한국, 쌀밥을 그리워했던 대한민국이 이제 선진국 대열에 섰다. 많은 분야의 지표가 일본을 앞지르고 있다. 오늘따라 뿌듯한 심정이며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게 느껴진다. 
                                                                 <참고문헌>

   1. 한평용,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중도일보, 2023.2.19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85675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356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233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250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303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440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379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290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277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228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396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241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379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238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632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234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355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362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425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232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280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