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7.18 14:00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인촌사랑방, 제헌절 기념행사 개최
“자신 내세우기보다 공동목표 우선
인촌 고택서 제헌헌법 초안 만들어”
17일 제헌절을 맞아 서울 종로구 계동 인촌 김성수 선생 고택을 찾은 인촌사랑방 및 동우회 회원 60여 명이 1948년 제헌헌법 제정을 주도한 인촌 선생을 기리는 행사를 열고 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공동의 목표를 우선하는 인촌 김성수 선생(1891∼1955)의 리더십은 제헌헌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근대 시민의 형성과 대한민국’(2021년)의 저자 이승렬 박사(63)는 제헌절인 17일 서울 종로구 계동 인촌 선생 고택에서 제헌헌법 제정 과정에서 인촌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인촌사랑방 및 동우회 회원 등 60여 명은 제헌헌법(건국헌법) 초안이 사실상 탄생한 인촌 고택에 모여 인촌 선생을 기리는 행사를 가졌다.

   인촌 고택은 1948년 당시 내각책임제를 지지하던 한국민주당 인사들이 자주 모이던 곳이다. 한민당 당수였던 인촌 선생은 이곳에서 유진오 고려대 교수, 김준연 한민당 부당수 등과 논의해 민주공화제 헌법 초안을 마련했다.

   이 박사는 “헌법 제정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대통령중심제를 주장하며 내각제를 강하게 반대하는 가운데, 이를 중재한 분이 인촌 선생”이라며 “선생의 통합과 화합의 리더십이 대한민국 건국의 중요한 계기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엔 ‘102세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와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전 과학기술처 장관), 백완기 고려대 행정학과 명예교수 등도 참석했다. 김 명예교수는 “(인촌 선생이) 고하 송진우 선생을 초대 국무총리에 모시고 싶었는데 먼저 세상을 떠났다고 목메어 말씀한 적이 있다”며 “선생은 늘 유능한 사람을 찾아 자신보다 앞세우셨던 분”이라고 했다.
                                                <참고문헌>
  1. 조응형, "인촌 선생 통합 리더쉽,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동아일보, 2022.7.18일자. A26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11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4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03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1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6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47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2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15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00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5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0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45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3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3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94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86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4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14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70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2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38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