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6.27 10:47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강원도 횡성에 있는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자인 최명재 이사장이 26일 오전 향년 95세로 별세했다.

생전(1994년) 최명재 이사장
                                                                     생전(1994년) 최명재 이사장


민족사관고
                                                                             민족사관고  전경                                                                                              
   당시 상업은행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한 이후 택시 운전사로 전직했다가 1960년대에 직접 운수업(성진운수)을 일으켜 기업인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1970년대 중반에는 이란에 진출해 유럽과 중동에서 물류운송업을 번창시키기도 했다.

  고인은 이때 벌어들인 자금으로 낙농업에 뛰어들어 1987년 강원도 횡성에 파스퇴르유업을 창립했다.

   국내 처음으로 저온살균 우유를 도입한데 이어 국내 첫 미군납을 통해 품질을 인정받았고, 기존 유가공업체와 소위 '우유전쟁'을 벌인 끝에 출시 1년 만에 매출을 10배 신장시켰다.

   이후 고인은 오랜 숙원이던 학교 설립 추진에 나섰다.

   규제와 시행착오 끝에 1996년 파스퇴르유업 공장 옆 부지(약 127만2천여㎡)에 민족주체성 교육을 표방하는 민사고를 개교했다.

   학교측 관계자에 따르면 고인은 1970년대 영국 이튼 학교에서 넬슨 제독의 전승기념일 행사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두 가지를 결심했다고 한다.

민족사관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

[

   이튼 학교를 능가하는 세계적인 지도자 양성교육을 하겠다는 것과 충무공과 같은 선조의 얼을 고스란히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민족적 정체성을 가진 '토종 인재'를 만들어 내겠다는 것이었다.

   친일파 등 일제 치하를 경험했던 고인은 학생들에게 '조국과 학문을 위한 공부를 하고, 출세가 아니라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택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특히 고인은 파스퇴르를 운영하면서 번 수익금 대부분을 민사고 설립과 운영에 투입해 투자규모가 1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해 30여명만 선발, 기숙사를 포함한 모든 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면서 개교했던 민사고는 파스퇴르의 부도로 재정난에 부딪혔다.

   당시 교사들이 급여를 받지 않고 교육을 이어가고 학부모들이 자진해 기숙사비를 납부해 어려운 학교 운영을 이어갔으며 입학 정원을 150여명으로 늘려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사고가 2004년 파스퇴르유업에서 분리되고 국가의 재정 지원이 없다 보니까 귀족학교라는 오해도 받았지만,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는 도전적이고 실험적이던 민족주체성 교육을 높이 평가했다.

   고인은 민사고 설립 초기 자신이 직접 민사고 교장으로 취임해 교육을 이끌기도 했다.

학교 정문 앞 동상
                                                                                학교 정문 앞 동상


                                                                <참고문헌>  

   1. 이상학,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연합뉴스, 2022.6.2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8515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04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459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34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1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16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585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478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467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381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571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489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47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385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58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43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35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581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37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385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05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