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가야 금관의 비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03 10:12


가야 금관의 비밀


머리에 쓰는 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분과 권위를 상징하는 역할을 했으며 멀리서도 재질과 형태 등으로 신분을 곧 바로 알았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발견 된 우리나라 금관은 총 8개인데 그 중에서 6개는 신라 금관이라 합니다. 그런데 이 모두가 5.6세기 때 신라고분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일제 강점기인 1921년 발굴 된 금관총, 금령촌, 서봉촌, 천마천, 황남대총에서 금관이 나왔고 2점은 가야시대 금관이랍니다. 그런데 가야금관은 하나는 호암 미술관에 하나는 일본 도쿄박물관에 있다고 합니다.

고구려는 순금금관은 없고 청동에 금을 입힌 금동관만 있고, 백제는 ' 검은 비단에 금꽃으로장식했다' 는 금관 관련 기록만 있었는데, 1971년 공주 무령왕릉에서 얇은 금판을 오려 만든 금관 장식이 출토 되었다고 합니다.

신라시대 금관은 머리에 두르는 테두리에 가지 달린 나무를 형상화한 한자의 ' 출 ' 자 모양과 사슴뿔 모양의 세움장식이 붙어있고 또 테두리 아래엔 긴 드림 장식이 귀걸이처럼 늘어뜨려 있습니다.

가장 먼저 발굴 된 금관총 금관은 높이가 44.4cm ( 드림포함 ) 입니다.

신라금관에 비해 호암 미술관에 있는 가야금관은 높이 11.5, 밑지름 20.7cm 로 크기가 훨씬 작고 머리에 두른 띠 위에는 꽃모양 장식 4개가 붙어있는데 신라 금관보다 자연미가 더 있다고 합니다. 또한 미술관는 이 금관과 함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는 원형 . 반구형 등 금제 장식과 귀걸이, 반지등도 함께 보관해 있다 합니다.

1960년 도굴꾼이 경찰에 잡혀 대가야 때 조성된 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도굴 해 장물업자에 의해 이병철 회장님에게 갔다고 이야기했지만 학자들은 가야의 기술이 이런 기물을 만든지 못한다고 생각되어 신라초기 금관이라고 주장한 사람들도 많았지만, 1977년 계명대 박물관이 지산동 고분군 중 45호 고분을 발굴하면서 자연히 가야금관이라고 밝혀졌습니다.

이유는 호암 미술관에 가지고 있는 부속품 귀걸이와 45호에서 나온 귀걸이가 쌍둥이처럼 닮아 있어 45호에서 도굴 된것이라고 추정하였다고 합니다.

금관이 나온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가야연맹의 하나인 대가야 지배층이 묻힌 무덤군이며 현재까지 무덤이 700여기가 확인 되었습니다. 그리고 높은 구릉위에 커다란 고분군이 밀집해 있는 것이 아마도 대가야의 전성기를 보여 주며, 45호 고분은 봉토 지름이 23m에 달하고. 순장인이 14명의 흔적이 있답니다. 45호 바로 옆 44호는 37명의 순장의 흔적이 있는데, 대부분 순장자들은 노예나 하인들이라고 하니 지금 생각하면 끔직하고 미개한 사람들이라 생각하지만 그 시대에는 사후세계도 분명 존재한다는 '계세사상' 을 믿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45호 고분의 주인은 임금이나 왕비가 아닐까 추정하네요.

신라는 6세기 초 거대한 고분과 순장문화가 사라졌지만 가야는 여전히 종전장례 풍습을 고수하다가 500년 넘게 번창하던 가야는 562년에 신라에 멸망했다 합니다.

신라에 멸망한 이유는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결과라고 하니 지금이나 옛날이나 우두머리가 영리하고 총명해야겠다는 결론이 납니다.

만들어진 국가와 상관없이 금관은 나무와 꽃장식으로 되어 있는데, 그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갖고 있는 수목숭배 사상과 관련있고 사람은 죽으면 나무가 하늘로 올라가는 길이라고 생각했답니다.

단군신화에서 환웅이 하늘에서 지상에 내려올때 '신단수' 나무 아래 인것도 그렇고 마을어귀 나무앞에 돌무덤 쌓아 비는 ' 서낭당' 역시 같은 맥락입니다.

서양의 크리스마스 트리도 나무가 나쁜 기운을 물리쳐 주는 신비한 힘이 있다는 믿음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참고문헌>

1. 이병호, "순장자 14명과 함께 묻힌 금관...대가야의 최전성기 상징", 조선일보, 2021.12.2일자. A2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7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67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28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75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8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7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4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31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5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6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22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66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88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26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15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501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7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33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8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34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50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