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행사 개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9.08 13:51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행사 개최


   일제강점기 농촌 계몽운동의 선구자이며 소설 `상록수'의 작가인 심훈 선생의 제85주기 추모제가 7일 당진시 심훈기념관 필경사 일원에서 개최됐다.
7일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추도사 모습)
7일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추도사 모습)
   심훈 선생을 기리는 헌화와 추모사 낭독에 이어 심훈 문학 토크 등으로 꾸며진 심훈 문학제 행사와 2021년 심훈문학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7일 필경사에서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모습
7일 필경사에서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모습

   심훈문학상은 일제강점기에 발표된 소설 ‘상록수’를 통해 농촌계몽을 주도했던 심훈 선생의 정신을 기리고 그의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제정됐으며, 순수 창작 공모전으로 신인 작가의 등용문 역할을 하며 이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7일 필경사에서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모습
7일 필경사에서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모습
   올해 심훈문학상은 심훈문학대상과 심훈문학상 두 가지 부문으로 발표됐는데, 문예지 중 엄정한 심사를 통해 제7회 심훈문학대상 수상작으로 장강명 작가의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이 대상으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게 됐다.
심훈문학대상 수상 모습
심훈문학대상 수상 모습

    또한 신진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25회 심훈문학상은 김수영・문미순(소설 부문 공동 수상), 김도경(시 부문)이 각각 선정되며 작가로서의 새로운 발돋움을 하게 됐다.

   한편 심훈문학대상의 역대 수상자로는 조정래(2014, 1회), 고 은(2015, 2회), 바오닌(2016, 3회), 임권택, 남정현(2016, 특별상 공동수상), 신경림, 이근배(2017, 4회 공동수상), 황석영(2018, 5회), 김중혁(2019, 6회), 정지아, 장류진(2020, 7회 공동수상) 등 국내 굴지의 작가로 심훈 선생과 당진시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참고문헌>

     1.  최형순, "당진시, 7일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제' 개최" , 충청뉴스, 2021.9.7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91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1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499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59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62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45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18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11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495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3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06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39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1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1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90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83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2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11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66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19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35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