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별을 캔버스로 끌고 온 화가 김환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9.01 16:47

                            별을 캔버스로 끌고 온 화가 김환기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DNA’전에 전시 중인 김환기의 작품 ‘19-Ⅵ-71#206’, 1971년 작, 캔버스에 유채, 254×203cm, 개인 소장. ⓒ(재)환기재단·환기미술관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종신수(終身囚). 그는 죽는 날까지 점을 찍었다. 밤하늘을 가득 채운 별들을 지상으로 끌고 왔다. 커다한 화면 위에 펼쳐지는 또 다른 우주, 장쾌했다. “내가 그리는 선, 하늘 끝에 갔을까. 내가 찍은 점, 저 총총히 빛나는 별만큼이나 했을까”라고 염려했던 화가. 그는 선보다는 점을 개성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점찍기로 일생을 마무리했다. 김환기(1913∼1974). 그는 미국 뉴욕 맨해튼 거처에서 매일같이 별을 그리워하면서, 고향의 친구를 생각하면서 점을 찍었다.

  ‘산울림’(1973년)을 보자. 직사각형 대형 캔버스는 푸른 점으로 가득 차 있다. 이른바 10만 개의 점이다. 헤아리기조차 어려운 점, 그 무수한 점들은 전면 회화 형식으로 무한대를 상징했다. 사선(斜線)으로 바탕을 이룬 점들, 그 점들이 이룩한 또 다른 선들, 거대한 율동미를 느끼게 한다. 사각형 안 또 다른 하얀 사각형의 띠. 내면의 사각형 안에는 방향을 달리한 또 다른 점들, 그에 따른 선들의 합창, 바로 리듬의 충만함으로 가득 채웠다. 잔잔한 울림. 어쩌면 절규? 뭔가 음미하게 한다. 정식 제목은 ‘19-Ⅱ-73 #307’이다. 1973년 2월 19일 제작한 작품으로 일련번호 307번째라는 의미다. 화가는 점 시리즈를 이렇듯 제작연도와 일련번호로 대신했다. 어쩌다 특별한 제목을 단 예외는 있다. 바로 ‘산울림’처럼.

  김환기의 부인 김향안 저서 ‘사람은 가고 예술은 남다’에 화가의 일기가 소개돼 있다. 마침 일기에 ‘산울림’ 제작 기록이 남아 있다. 1973년 3월 11일의 일기. “근 20일 만에 #307 끝내다. 이번 작품처럼 고된 적이 없다. 종일 안개 비 내리다.” 20일 가까운 작업, 그것도 고된 작업, 화가는 드디어 ‘산울림’을 완성했다. 그리고 며칠 뒤 회갑을 맞았다. 대작 완성 한 달도 지나지 않아 파블로 피카소가 죽었다. 이에 김환기는 “태양을 가지고 가버린 것 같아서 멍해진다. 세상이 적막해서 살맛이 없어진다. 심심해서 어찌 살꼬. 전무후무한 위대한 인간, 위대한 작가, 명복을 빌다”(1973년 4월 8일). 피카소를 숭배한 김환기에게 태양이 떨어졌다. 그래서 세상이 적막해졌다. 1년 뒤 김환기는 피카소를 따라 하늘로 올라갔다. 다만 피카소는 91세의 장수였지만 김환기는 겨우 61세였다. 종신형 죄수, 일편단심, 그리고 고된 작업, 화가는 외롭게 밤하늘의 무수한 별들을 지상으로 끌어내리다 아예 그 곁으로 올라갔다.

  “저렇게 많은 별들 중에서/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밤이 깊을수록/별은 밝음 속에서/사라지고/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이렇게 정다운/너 하나 나 하나는/어디서 무엇이 되어/다시 만나랴.”


  김환기는 김광섭의 시를 자신의 작품 뒤에 옮겨 적었다. 그 불후의 명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는 제1회(1970년) 한국미술대상전에서 대상을 받았다. 1963년 미국 이주 후 처음으로 조국의 친구들에게 보인 새로운 화풍의 작품이었다. 점 시리즈의 화려한 귀향이었다. 김향안의 증언에 의하면, 대작 한 점 완성하는 데 걸린 시간은 4주 정도이고, 1년에 10점 정도를 제작했다. 나는 1980년대 중반 뉴욕에서 주말마다 김향안 여사를 만나면서 ‘김환기 평전’ 작업을 진행하다 갑작스러운 귀국으로 완성하지 못한 부채를 지금도 가지고 있다. 나는 뉴욕에서 실크로드 오지로 옮겨 청춘을 소진시키려 했다. 그것의 단초, 바로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 이전에 나는 중국 대륙을 취재 여행할 수 있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배려도 있었다. 그때 나는 백두산에서 티베트까지 3개월간 대륙을 종횡무진 누비는 행운을 가졌다. 인생의 전환점은 그렇게 왔다.

김환기의 대표작 중 하나로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기증작인 ‘산울림 19-Ⅱ-73#307’, 1973년 작, 캔버스에 유채, 264×213cm. ⓒ(재)환기재단·환기미술관
   ‘산울림’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진행 중인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에서 볼 수 있다. 단연 빛나는 명작이다. 유족이 미술관에 기증 의사를 밝혔을 때, 나는 김환기의 점 시리즈 대작 하나만 있어도 행복하겠다고 대답했다. 미술관 작품 수집 예산 2, 3년어치를 합쳐야 겨우 김환기 대작 한 점을 구입할 수 있는 현실 때문이었다. 기증 작품 선정 과정에서 숫자는 늘어갔고, 명품 역시 쌓여갔다. 1488점! 김환기의 ‘산울림’도 포함되었다. 전시가 열리고 홍라희 여사는 정말 고심 끝에 결정한 작품이라고 밝혔다. 하기야 ‘산울림’을 비롯해 자택에 걸어놓았던 작품 여러 점이 포함되었으니, 그럴 만도 했겠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는 ‘DNA: 한국 미술 어제와 오늘’을 열고 있다. 이 전시는 한국미의 원형을 탐구하는 무거운 주제를 가지고 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 땅에서 이룩한 미의 결정체로 엮은 것이다. ‘베개처럼 묵직한 도록’은 전시 기획 의도를 짐작하게 한다. 이 전시에 김환기의 점 시리즈가 출품돼 있다. 특이한 점은 김환기와 분청사기를 함께 진열했다는 것. 그것도 ‘분청사기 인화문 자라병’(15세기·가나문화재단 소장). 아담한 규격과 품격 있는 자태, 정말 아름다운 도자기다. 그릇 표면을 가득 채운 무수한 점들, 그야말로 도장 찍듯 규칙적으로 점을 찍었다. 마치 김환기가 캔버스 위에 점을 찍은 것처럼 동어반복의 ‘울림’이었다. 김환기 작품에서 전통미를 발견하는 것은 너무 쉽다. 그는 유화 붓을 든 문인 화가였기 때문이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DNA’전에서 김환기 작품과 함께 전시중인 15세기 조선의 ‘분청사기 인화문 자라병’, 높이 11.7cm, 몸통 지름 20.8cm. 가나문화재단 소장
   별들을 화면으로 끌고 온 화가. 그래서 화가는 말했다. “나는 외롭지 않다. 나는 별들과 함께 있기에….”

                                                   <참고문헌>  

   1. 윤범모, "김환기, 별을 캔버스로 끌고 온 화가", 동아일보, 2021.8.31일자. A32면.


시청자 게시판

2,116개(11/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504 2018.04.12
1915 세종의 정치 배신한 세종의 인재들 사진 신상구 436 2022.06.29
1914 소정 정훈 선생 유품 개인 소장자 대전문학관에 기증해야 사진 신상구 401 2022.06.29
1913 <특별기고> 6·25한국전쟁 72주년을 추념하며 사진 신상구 459 2022.06.27
1912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30 2022.06.27
1911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400 2022.06.27
1910 한국 경제학 거목’ 조순 전 경제부총리 별세 신상구 322 2022.06.23
1909 2022년 6·25전쟁 72주년 논평 신상구 337 2022.06.23
1908 늙어가는 대한민국,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316 2022.06.21
1907 25세 때 불후의 미완성 교향곡 남긴 슈베르트 사진 신상구 302 2022.06.21
1906 증산도 ‘상생월드센터(SWC)’ 착공 대천제大天祭 거행 사진 신상구 332 2022.06.19
1905 조롱당한 선조와 그 장자 임해군의 악행 사진 신상구 728 2022.06.19
1904 한국 문학, 노벨 문학상 수상 인프라 수준 신상구 336 2022.06.18
1903 고대의 축제 사진 신상구 342 2022.06.18
1902 6·10 만세 운동 사진 신상구 434 2022.06.11
1901 경제, 존경받는 기업인이 많아져야 한다 사진 신상구 405 2022.06.08
1900 <특별기고> 6월 호국보훈의 달의 역사적 의의와 제67회 현충 사진 신상구 374 2022.06.08
1899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신상구 286 2022.06.07
1898 한암당 이유립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22 2022.06.05
1897 백가의 반란과 동성왕의 죽음 사진 신상구 481 2022.06.03
1896 연금개혁을 통한 복지의 지속가능성 확보 사진 신상구 339 20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