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운산 조평휘 화백, 제19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30 15:23

    한 때 대전 미술계의 한국화가 조평휘 화백의 영향을 받거나 받지 않은 작품으로 나누는 것이 쉬울 만큼 조 화백이 지역 미술계에 끼친 영향은 막대하다.

지역 한국화의 살아있는 대부로 꼽히는 조평휘 화백이 제19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됐다. 심사위원들은 전통적인 회화 정신을 바탕으로 파격적인 대작을 제작해 온 조 화백을 높이 평가했다.

미수(88세)를 넘어 백수를 바라 보고 있는 조 화백은 작품에 대한 열정만큼은 청춘이다. 그의 작업실에 가면 한쪽 벽면을 꽉 채우는 한지에 빼곡히 웅장한 산수가 그려져 있다. 여전히 붓을 드는 이유에 대해 조 화백은 당연하다는 듯이 "작가는 죽을 때까지 작업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조화백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4.19 혁명, 5.18민주화운동 등 우리나라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겪으며 작품활동에 매진해왔다. 황해도에서 태어난 그는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다. 한국전쟁 당시 인천으로 피난을 와 공업고등학교에 들어갔지만, 미술에 대한 애정을 잠재우기 어려웠다. 때마침 나라에서 예체능계열 교사들이 부족해 서울대학교에 중등교원양성소를 만들었고 조 화백은 그때부터 교직에 입문하게 됐다.

졸업 후 초등학교 교사로 1년 정도 있다 미술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 홍익대 동양화과로 편입했다. 당시 자퇴하는 이들이 많다보니 동양화과 학생이 조 화백이 유일했다. 조화백은 당시 교수로 재직했던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대가인 천경자, 이상범에게 공통적으로 사사받은 단 한 명의 제자였다.

홍익대를 졸업한 후 당시 미술계에서 유행했던 엥포르멜 운동(형태를 부정하고 미술가의 즉흥적인 행위와 격정적인 표현을 중시한 유럽의 추상미술) 영향을 받아 조 화백도 추상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그러다 1976년 대전으로 내려와 목원대에서 교수 생활을 하게 되면서 그는 작품은 전환점을 맞았다. 당시 허허벌판 시골이었던 대전의 자연을 작품으로 담게 그는 계룡산을 그리며 전통주의 산수화가로서 활동하게 된다. 조 화백의 호인 '운산'도 자신이 즐겨 그리는 산에서 땄다.

조 화백은 산수화의 열기가 식었던 1990년대에도 산수화를 꾸준히 그려 '운산산수'라는 자신만의 산수화 양식을 정립했다.

동향화 뿐만 아니라 서양화, 추상회화도 배웠던 그는 자연의 모습 그대로 그리는 '실경산수화'보단 자연의 모습을 추상적으로 자신의 머릿속에서 재구성해 그리기 시작했다. 격정적인 표현을 중시한 엥포르멜처럼 조 화백 또한 이성이 비집고 들어올 틈 없이 순간의 감정을 실어서 작품을 그린다. 그는 "산수화는 그대로 모방해 그리는 것이 아닌 철학을 담는 도구"이라고 말한다.

조 화백의 인생관은 자연주의다. 그는 "인생은 자연에 맡기고 순리대로 사는 것이 제일 좋다"고 말한다. 하지만 작품에 있어서는 계획적이고 치밀하다. 동양화는 서양화처럼 덧칠하지 않는다. 일필은 붓에 먹을 다시 먹이지 않고 단번에 그리는 것으로 동양화에서 가장 중요한 붓놀림이다. 그렇게 되기 위해 수묵화는 훈련하는 기간이 많이 필요하다. 조 화백은 60년간 갈고 닦아왔다.

이제는 산수화가 주류가 아님에도 지금까지 산수화를 놓지 않는 이유에 대해 조화백은 "화가는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야 인정 받는다"고 말한다. 모든 작가들이 자기만의 작품 세계를 만드려고 애 쓰지만 자신만의 철학을 담아 열심히 그리면 자연히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조 화백의 지금도 산수화와 삶에 대한 의미의 답을 찾아가고 있다. 그는 한국화를 전공하는 후배 작가들에게 "힘들다고 도중에 그만두면 의미가 없다"며 "모든지 시작했으면 끝까지 해야 한다"고 전했다.
                                                                  <참고문헌>
   1. 정바름, "그림 향한 열정은 아직 청춘, 자신만의 세계 담아야", 중도일보, 2021.8.27일자. 9aus. 


시청자 게시판

2,112개(11/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68 2018.04.12
1911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385 2022.06.27
1910 한국 경제학 거목’ 조순 전 경제부총리 별세 신상구 318 2022.06.23
1909 2022년 6·25전쟁 72주년 논평 신상구 330 2022.06.23
1908 늙어가는 대한민국,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312 2022.06.21
1907 25세 때 불후의 미완성 교향곡 남긴 슈베르트 사진 신상구 296 2022.06.21
1906 증산도 ‘상생월드센터(SWC)’ 착공 대천제大天祭 거행 사진 신상구 324 2022.06.19
1905 조롱당한 선조와 그 장자 임해군의 악행 사진 신상구 699 2022.06.19
1904 한국 문학, 노벨 문학상 수상 인프라 수준 신상구 327 2022.06.18
1903 고대의 축제 사진 신상구 329 2022.06.18
1902 6·10 만세 운동 사진 신상구 416 2022.06.11
1901 경제, 존경받는 기업인이 많아져야 한다 사진 신상구 398 2022.06.08
1900 <특별기고> 6월 호국보훈의 달의 역사적 의의와 제67회 현충 사진 신상구 366 2022.06.08
1899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신상구 280 2022.06.07
1898 한암당 이유립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15 2022.06.05
1897 백가의 반란과 동성왕의 죽음 사진 신상구 457 2022.06.03
1896 연금개혁을 통한 복지의 지속가능성 확보 사진 신상구 332 2022.06.02
1895 30년간 천착했던 모네의 수련, 용산에 피다 사진 신상구 377 2022.06.01
1894 부여 ‘신동엽문학관’ 문학 성지로 자리매김 신상구 345 2022.06.01
1893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 줍시다 [1] 신상구 309 2022.05.28
1892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사진 신상구 316 202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