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등록된 충청권 독립유공자 2021명 중 2021년 현재 생존자는 2명에 불과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4 12:55

                                                등록된 충청권 독립유공자 2021명 중 2021년 현재 생존자는 2명에 불과

   광복 76주년을 맞아 조국 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충청권 애국지사들의 재조명이 시급하다. 그중에서도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의 애국지사들을 발굴하고, 그들의 정신을 널리 알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선조들에 대한 기록·보전·계승의 작업과 함께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2021년 8월 12일 대전지방보훈청에 따르면 충청에 본적을 둔 독립유공자는 모두 2021명이다. '충절의 고향' 답게 경상도(3649명)와 전라도(2372명), 평안도(2242명) 다음으로 많은 숫자로, 선조들은 오직 조국 독립을 위해 피와 땀을 분연히 바쳤다.

   알려지지 않았을 뿐 이들 외에도 독립운동에 나선 지역의 애국지사들은 많다. 문제는 이들의 구국활동이 크게 조명받지 못한다는 점이다. 후손들을 통해 전해지는 수준에 그친다는 게 광복회 등 독립운동 계승 단체들의 설명이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독립운동가들의 출신지를 보면 대다수 충청이다. 3·1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으로 참여한 만해 한용운 선생(홍성), 혈혈단신으로 일본 군정 수뇌부에게 폭탄을 던진 윤봉길 의사(예산), 만세운동에 앞장선 유관순 열사(천안), 민족 정체성을 일깨운 신채호 선생(대전), 동학 3대 교주로 만세운동을 계획한 손병희 선생(청주) 등이 대표적이다.

   출신지는 다르나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생존 애국지사들을 중심으로 관심이 일기도 했지만, 세월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잊혀지고 있다.

   대전에선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던 정완진 애국지사가 역사를 이어오며 주목받았으나 지난 4월 별세했다. 그는 대구상업학교 재학 당시 항일결사조직 '태극단'에 가입해 독립운동에 나섰다.

   2016년 대전에서 거주하다 별세한 조일문 애국지사는 중국 난징 중앙대학에 다닐 때 비밀결사단체인 '한족동맹'을 조직해 항일운동에 앞장선 인물이다.

   같은 해 광복군으로 활동한 조동빈 애국지사는 자신이 거주하는 천안 한 아파트에서 투신해 주위를 안타깝게 한 뒤 기억 속에서 잊히고 있다. 충남 공주 출신인 정낙진 애국지사도 대전에서 지내다 2015년 별세한 후 관심에서 멀어진 상황이다.

   이제 충청에서 생존 중인 애국지사는 충남 금산 출신의 이일남 지사와 충북 진천에 계신 오상근 애국지사 둘 뿐이다. 더 늦기 전에 주목받지 못한 애국지사들의 구국활동을 재조명하고, 이들의 정신을 계승할 방안을 찾아야 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윤석경 광복회 대전지부장은 "생존 자체로 의미가 깊은 지역의 애국지사분들이 몇 년 사이 세상을 뜨고 계시다"며 "우리에겐 이분들 뿐만 아니라 지역 출신 애국지사들의 피와 땀이 서린 활동을 널리 알리고, 계승해야 할 책임이 있는 만큼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송익준, "[8·15 광복 76주년] 잊혀가는 충청 애국지사, '재조명' 시급", 중도일보, 2021.8.13일자. 4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5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55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23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71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79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5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36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7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2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2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9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61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84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20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10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5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3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29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5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9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6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