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0 12:34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함평 신덕 1호분 왜인 아닌 지역수장 무덤 가능성 높아”
30년 미공개 발굴조사 결과 이달 말 발표
발굴 조사가 진행 중이던 전남 함평 ‘신덕 1호분’ 전경(왼쪽 사진). 위는 둥글고 아래는 각이 진 열쇠고리 모양은 전형적인 전방후원분 형태다. 이곳에서 출토된 금동관(오른쪽 사진)은 다각형의 구획과 꽃무늬가 조합된 양식 등으로 미뤄 볼 때 백제 공인이 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리구슬, 쇠비늘갑옷 등과 더불어 무덤 주인이 지역 수장 신분임을 보여준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임나일본부설에 이용될 우려로 인해 30년간 공개되지 않은 삼국시대 ‘신덕 1호분’ 발굴조사 결과가 이달 말 발표된다. 동아일보가 미리 입수한 발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고분 출토 유물에서는 백제와 왜(倭)의 문화가 혼재된 양상이 확인됐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 한일 고고학자들은 20, 30대 남성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의 주인이 지역 수장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한반도에 진출한 왜인이 묻혔을 것으로 보는 임나일본부설의 시각과 배치되는 것이다.

   1991년 3월 도굴 흔적이 발견돼 첫 조사가 이뤄진 신덕 1호분은 일본의 고대 무덤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쇠구멍 모양의 전형적인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앞은 네모지고 뒤는 둥근 봉분을 가진 무덤)’이다. 신덕 1호분은 이런 봉분 모양 탓에 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하지만 조사 결과 부장 유물들에 백제와 왜 문화가 혼합돼 있어 이들과 교류한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이 무덤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 무덤 주인은 20, 30대 남성

                                         신덕 1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국립광주박물관이 일본 연구자들까지 참여시킨 신덕 1호분 발굴조사 보고서를 전격 발간키로 한 건 6세기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고고학 증거들이 최근 발견된 데 따른 것이다. 임나일본부설의 한계가 명확해졌다는 얘기다. 앞서 박물관은 이 무덤을 1991년부터 2000년까지 네 차례 조사했지만 당시에는 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김낙중 전북대 교수(고고학)는 “6세기 전엽 영산강 유역의 현지 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이 밝혀져 임나일본부설에 의해 왜곡 해석될 여지가 줄었다. 신덕 1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에 일본 학자들까지 참여시킨 건 국내 학계의 자신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말했다.


무덤 안에서 나온 ‘쇠비늘갑옷’. 가죽 끈으로 엮기 위해 뚫은 구멍이 나있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신덕 1호분에서는 무덤 주인의 높은 신분을 보여주는 금동관, 금동신발, 연리문 구슬, 중층 유리구슬, 큰칼, 비늘갑옷, 투구, 말띠꾸미개 등의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됐다. 무덤에서 출토된 치아 6점의 크기와 마모 정도를 분석한 결과 20대 후반~30대 중반의 남성이 묻힌 것으로 추정됐다.                                                                                                <참고문헌>                                                     1. 김상운, " 30년 만에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동아일보, 2021.8.10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014개(11/101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33210 2018.04.12
1813 풍도의 포성 사진 신상구 204 2022.01.21
1812 공산주의는 왜 실패했나 사진 신상구 178 2022.01.21
1811 베이컨 ‘뉴 아틀란티스’ 신상구 232 2022.01.19
1810 한국어 수출 현황 신상구 174 2022.01.19
1809 동료들에게 신뢰를 얻는 5가지 방법 신상구 279 2022.01.17
1808 2022년 한국경제의 당면 과제와 해결 방안 신상구 260 2022.01.17
1807 창덕궁 후원 옥류천 계곡 산수와 정자를 배경으로 벌어졌던 유상곡수연 사진 신상구 215 2022.01.16
1806 격변에 맞선 ‘오디세우스 생존법’ 사진 신상구 176 2022.01.15
1805 교화경인'삼일신고'의 선도사상 실체 신상구 174 2022.01.14
1804 모험적이고 도전적인 인생을 살았던 헤밍웨이 사진 신상구 184 2022.01.14
1803 동서양의 십이지 동물 사진 신상구 321 2022.01.13
1802 중국과 티베트·위구르 갈등 신상구 216 2022.01.13
1801 티쿤 올람과 홍익인간사상 신상구 221 2022.01.12
1800 천마총과 황남대총 발굴-국보 191호 신라 금관 출토 사진 신상구 166 2022.01.12
1799 인공지능, 편리하지만 해곃해야 할 난제 많아 사진 신상구 171 2022.01.11
1798 임금도 볼 수가 없었던 조선왕조실록 신상구 207 2022.01.07
1797 뉴욕에 전시된 한국 초현실주의 미술작품 해설 사진 신상구 255 2022.01.06
1796 진시황릉과 병마용갱 사진 신상구 306 2022.01.05
1795 운명의 청일전쟁 전조 사진 신상구 183 2022.01.05
1794 천재의 시대를 맞은 한국 청년들에게 신상구 183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