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5월 가정의 달에 꼭 기억해야 할 문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07 04:16

                                                                      5월 가정의 달에 꼭 기억해야 할 문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시인, 문학평론가, 칼럼니스트) 大山 辛相龜

 

   1. 증자(曾子) : 효자자 백행지선(孝慈者 百行之先) - 부모에게 효도하고 자식을 사랑하는 것은 온갖 행실에 앞선다.

   2. 채근담 : 부자자효(父慈子孝) - 부모는 자애로운 마음으로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

   3. 명심보감 : 자효쌍친락 가화만사성(子孝雙親樂 家和萬事成) - 부모에게 효도하고 자식을 사랑하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

   4. 공자 정명론(正名論) :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한다.

   5. 대한민국 브랜드 : 東方禮儀之國

   6. 공자 논어 : 부모를 섬김에, 부모님의 잘못을 말씀드릴 때는 부드럽고 완곡하게 말하고, 들은 후 내말을 받아드리지 않더라도 공경하며 부모님의 뜻에 거슬려서는 안 된다. 힘들어도 원망하지 말아야 한다.(事父母, 幾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勞而不怨)”라고 했다. 부모의 뜻을 거스르지 않는 것(물론 잘못된 일이 아닌)이 효라는 것이다.

   7. 반포지효(反哺之孝)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8. 일효(一孝)는 백행지본(百行之本)이요, 다복(多福)의 근간(根幹)이다.

   9. 조선전기 세종조의 학자이고 한문소설의 효시인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창작하셨으며 생육신(生六臣)의 한 분이신 매월당 김시습(梅月堂 金時習) 선생께서는 “이 세상 3,000여가지의 죄목(罪目)중 가장 큰 죄인은 불효자이고, 가장 크게 성공한 사람은 효자라는 칭호를 받는 자이다” 라고 말씀하셨다.

  10. 공자님께서는 ‘효에는 3가지가 있다(효유삼 : 孝有三)’고 하셨다. 즉 대효존친(大孝尊親), 기차불욕(其次不辱), 기하능양(其下能養)이라고 하신 것이다. 풀어 설명하자면 효 중에 제일 큰 효는 자손에 의하여 부모님이 많은 분들로부터 존경받으며, 그로 인하여 항상 기쁘게 지내도록 해드리는 것이요, 그 다음은 부모님을 욕(辱)되지 않게 자식의 도리를 다해야 함에 있다. 마지막 효는 바로 봉양(奉養)이라는 것이다.

  11. 조선시대의 법전인 경국대전에도 불효는 큰 죄로 인정했다.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8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8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14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6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74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2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29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2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09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8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5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55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7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8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02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0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7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25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0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5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2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