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전국 최초 문화특구로 지정된 진도의 문화예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03 03:24

                                                                 전국 최초 문화특구로 지정된 진도의 문화예술 


   진도는 문화예술 향기가 가득한 섬이다. 일상에서 삶과 문화를 따로 떼어 놓고 말할 수 없어서다. 진도 아리랑과 씻김굿이 그렇고, 질펀한 육자배기와 들노래, 남종화가 진도의 정서를 나타낸다.

   진도는 전국 최초 문화 특구다. 진도가 문화의 고장임을 정부가 인증한 것이다. 주민들이 판소리 한가락은 뽑을 줄 알고, 어디를 가나 남종화(한국화) 한 점 걸려질 만큼 생활이 곧 문화인 것이다. 진도 문화특구의 주요 콘텐츠는 남종화의 본향인 운림산방이다. 남종화는 문인들이 즐겨 그린 산수화이다. 진도 의신면 첨찰산 자락에 자리잡은 운림산방은 소치 허련, 미산 허형, 남농 허건, 임전 허문, 오당 허진 등 세계 유일한 일가 직계 5대 화백을 키운 남종화의 성지이다. 이곳을 거점으로 전개된 허씨 가문의 예술은 진도가 이룩한 인문주의 예술을 절정으로 꽃피웠다.

    허씨 가문이 피운 한국화 화맥을 이은 진도 출신 중 200명이 대한민국미술대전(국전)에서 특선 작가로 선정됐다. 이 수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국전에서 특선 이상 수상 작가로 배출한 작가로는 최대 규모이다.

    두 번째는 미술관과 박물관이다. 진도에는 9개의 미술관과 박물관이 있다. 이곳에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만도 한국화 2000점을 비롯해 5000점이 넘는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화 996점보다 2배를 넘는 규모다. 국립한국화미술관을 건립해도 전혀 양과 질에서 손색이 없을 수준이다. 민속전시관은 9개로, 진도북놀이, 조도 닻배노래, 소포걸군농악 등을 전수하고 있다. 유무형 향토문화유산은 진도아리랑, 의신 대동놀이 등 무려 31개에 이른다.

    세 번째는 지난 2018년 개막한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다. 목포와 함께 펼쳐지는 국제수묵비엔날레의 메인 전시장인 운림산방 일대에서 묵향의 향기를 전한다. 올해 수묵비엔날레에서는 첨단 ICT 기술과 한국화가 결합된 '실감 콘텐츠 한국관'이 구현된다. 한국화와 미디어아트 기술과 접목해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VR, AR, MR 등 젊은 층의 체험과 관심을 유도할 것으로 본다.

    진도에서 마련한 공연 문화도 풍성하다. 지난 1993년에 창단된 진도군립민속예술단이 매주 토요일 무료 공연을 하고 있다. 국립남도국악원도 매주 토요일 '국악이 좋다'로 토요 상설 공연을 연다. 국악 꿈나무를 양성하는 진도 국악고등학교는 전국에서 지원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무형문화재는 씻김굿, 다시래기, 강강술래 등 9개 분야에서 전승자 59명(보존회원 322명)이 있다.

    문화적 투자도 중요한 자원이다. 진도군은 올해 문화예술진흥기금에 50억원을 추가 출연해 100억원을 조성할 목표다. 이 규모는 전남 도내 시군 문화예술진흥기금 중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올해 지역 예술활동에 본격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진도군은 전국에서 섬의 크기로 볼 때 제주도와 거제도에 이어 세 번째 큰 섬이다. 서울 여의도 면적과 비교해선 진도가 150배 크다. 미래는 면적보다도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예술자원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해 지역 경제를 주도할 것이다. 문화예술이 지역의 미래 먹거리가 된다는 얘기다.

    진도는 섬이지만 문화를 통해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남종화 산실 운림산방, 콘도 휴양시설 쏠비치 진도, 진도가 고향인 미스트롯 진의 송가인 집과 공원을 찾은 관광객이 427만명이었다. 숙박 분야 카드 매출로는 2019년과 비교해 127%가 증가했고, 네비게이션 진도 검색량도 406%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경제 통계로 보면 지난해 진도군 지역내 총생산(GRDP)이 1조1000억원 이상인데, 문화 기타서비스업분야가 1000억원 이상이었다.

    진도는 우리나라에서 전 지역이 한국화와 민속문화 자원 인프라와 접목한 곳이기에 국립 한국화 미술관 설립에 가장 적합한 지역이다. 진도의 문화자원은 가장 한국적인 원형질이기에 그 자체로서 문화상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듯이 남도문화의 원형질을 간직한 살아 숨쉬는 박물관인 진도에 부가가치를 위한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미래 문화체험의 수단으로 부상한 가상 증강현실 홀로그램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한 문화 디지털 콘텐츠 산업분야에 적극적 투자이다. 전세계인들에게 시공간에 구애없이 진도의 문화예술자원을 보고 체험할 창이 활짝 열리길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1. 윤영주, "진도에 국립 한국화미술관 건립을", 전남일보, 2021.4.29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07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61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25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73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82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6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37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8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3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4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20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63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86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21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12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7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4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32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6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31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7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