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시 3·8 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사업 계획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17 15:26

                                                                 대전시  3·8 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사업 계획                  


    충청권에서 유일하게 국가 기념일로 지정된 3·8 민주의거 정신을 기리는 기념관 건립 사업이 첫 발을 뗀다. 지난해 정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한데 이어 건립 예정부지 매입을 위한 행정 절차가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기념관을 채울 사료 부족 등 콘텐츠 마련은 향후 풀어야 할 과제로 손꼽히고 있다.

                                     첨부사진1

                                 대전시 중구 대사천 천변에서 쫓기고 있는 학생시위대 [사진=대전일보DB]


   2021년 3월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고등학교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3·8 민주의거는 대구 2·28 의거, 마산 3·15 의거와 함께 독재에 항거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역사적인 사건이었지만 그에 걸맞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시는 3·8 민주의거 역사적 재조명을 위해 지난 2000년부터 꾸준히 기념사업을 지원하며 기념관 건립을 위해 노력해왔다. 2019년 당시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기념관 건립을 약속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하며 기념관 건립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
    이에 시는 기념관 건립 부지 확보에 나섰다. 중구 선화동 일대 공유재산 관리계획 동의안이 오는 25일까지 열리는 시의회 임시회에서 다뤄질 예정이다.
   시가 내놓은 동의안을 보면 3·8 민주의거 기념관은 중구 선화동 일원에 지하1층-지상4층 규모로 상설·기획·디지털전시실 등이 들어서게 된다. 민주도서관(수장고), 다목적강당 등이 만들어지는 기념관의 총 건립 예산은 156억 원(국비 58억 원, 시비 98억 원)으로 추산된다. 오는 2023년 말까지 공사를 벌여 이듬해 기념일(3월 8일)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시의회로부터 공유재산 관리계획 동의를 얻으면 기본·실시설계용역 공모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3·8 민주의거가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민주화운동임에도 시민들의 낮은 관심으로 역사적 재평가가 온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기념관 건립 당위성을 내세우고 있다. 또 3·8 민주의거를 중심으로 중부권의 대표적인 민주기념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기념관의 뼈대를 만드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속을 채우는 작업은 더디다. 3·8 민주의거를 기억할 수 있는 대전만의 역사적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당시 의거에 참여했던 주역들이 70-80대 고령이라서 역사적 가치를 빛 낼 자료 찾기가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더욱이 국가기념일 지정 이전까지 수십 년의 세월이 흐른 탓에 오래 된 역사에 비해 기록이 적다는 점이 전시 소프트웨어 부족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시도 이런 상황에 공감하고 있다. 시는 일제 강점기 이후 국내 독립운동, 4·19 혁명, 유신정권(4공화국), 5·18 민주화운동 등 국내 민주화 운동 전반을 기념관에 담는다는 대안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마산시, 부산시, 광주시 등과 관련 협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대전시 한 관계자는 "기념관에 들어갈 콘텐츠를 두고 고민이 많은 게 사실"이라며 "3·8 민주의거 역사 고증과 아카이브 사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지역내 한 문화계 인사는 "큰 틀로 봐서 국내 민주화 콘텐츠도 기념관 건립 취지에 벗어나지는 않는다"며 "하지만 무엇보다 대전에서 시작된 3·8 민주의거 역사성을 담보하기 위해선 관련자 증언, 언론 보도 등을 취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참고문헌>

    1. 김용언, 대전시 3.8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사업", 대전일보, 2021.3.17일자. 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63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9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16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7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74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3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3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3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09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8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6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55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7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8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02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0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8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25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0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5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4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