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주교대 부설초 단군상 철거 논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15 12:43

                                                                         공주교대 부설초 단군상 철거 논란
        
   특정 종교단체가 공주교대부설초 교정에 설치된 단군상에 대해 '우상숭배'라는 이유를 들어 철거를 주장한데 이어 학교 측까지 여기에 편승하자 국학운동시민연합은 물론 일부 시민들까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건용 기자

   한동안 잠잠했던 단군상 철거를 둘러싼 논란이 최근 공주지역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지난 1999년과 2000년 한국기독교총연합회를 비롯한 개신교 단체들의 적극적인 반대운동으로 단군상 건립이 홍역을 앓는 등 사회문제로까지 비화됐었다.

   이후에도 일부 개신교 단체들의 까탈은 계속됐다. 조찬기도회 등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철거운동을 펼쳐 전국 곳곳에 설치된 많은 단군상들이 자취를 감췄다

   머리가 잘려나가는 등의 훼손 사건도 잇따라 발생. 끊이지 않는 논란 속에 단군상은 갈수록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최근 충남 공주시에서도 단군상 철거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1월 19일 관내 학교 교정에 건립된 단군상을 철거해 달라는 민원이 공주교육청과 해당 학교에 제기된 것.

   공주교육청은 국유재산이 아니라는 이유로 공을 각 학교에 돌렸고, 공주교대부설초등학교는 발 빠르게 움직였다. 민원이 제기된 지 10여일 만인 2월 초 설문조사를 벌어 철거를 결정했다.

   2월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교직원과 학부모들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여 71.42%가 단군상 철거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나오자 단군상을 설치한 대전국학운동시민연합에 철거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공주교대부설초가 실시한 설문조사에는 모두 203명이 응했고, ‘사진 속 단군상 존폐여부에 대한 생각은 무엇입니까’란 물음에 철거 찬성 145명, 철거 반대 53명, 기타 5명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측은 설문조사를 근거로 철거를 요청했으나, 대전국학운동시민연합 측은 완강한 거부 의사를 밝혔다.

   대전국학운동시민연합은 회신을 통해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사회 전반의 총체적인 혼란 극복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한민족의 중심가치와 구심을 바로 세우고, 아울러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정신과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갖도록 하기 위해 고조선을 세운 한민족의 국조 단군의 조각상인 ‘통일기원 국조 단군상’을 제작해 전국의 초중등학교 및 공공장소에 기증했다”고 밝혔다.

   특히 “단군상은 전국 국학운동시민연합 30만 회원은 물론 국민들의 소중한 성금을 모아 기증한 것으로, 1999년 당시 교장의 요청에 의해 건립됐으며 일방의 결정에 따라 무단으로 이설하거나 철거하지 않겠다는 구두 합의가 있었다”면서 “지난 21년 간 홍익인간 정신을 알리는 훌륭한 교육자료로 활용해 온 만큼 앞으로도 어린 학생들의 역사관 정립에 잘 활용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박상리 대전국학운동시민연합회장은 “일부 기독교 단체의 편협한 종교관은 큰 문제로, 민족문화를 우상으로 간주해 단군상 철거에 조직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주장한 뒤 “동북공정과 임나일본부설 등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이 계속되는 마당에 우리민족의 뿌리인 단군을 부정하는 단군상 철거 논란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공주 중동에 거주하는 이 모(54)씨는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이 개천절로 매년 경축행사를 열고 있고, 각종 교과서를 통해 단군의 역사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지구 반대편인 과테말라 교과서에까지 단군신화가 수록된 것으로 안다”며 “그리스 로마신화는 그토록 떠받들면서 한민족의 시원(始原)인 고조선과 단군신화에 대해서는 왜 그렇게 부정하고 깎아내리는지 참으로 낯설고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이 씨는 이어 “언제부터 학교행정이 그토록 발 빠르게 움직이고 대처했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민원이 제기됐다고는 하지만, 번개 불에 콩 구워먹듯이 움직인 건 종교적인 이유 등 또 다른 힘이 작용한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이상도 공주교대부설초 교장은 “교육가족들이 단군상 철거를 원하는데다 교육적으로도 큰 의미도 없다고 본다. 특히 최근 지구온난화 등을 감안할 때 조형물보다는 꽃이나 식물들을 식재하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다만 단군상 건립 단체의 완강한 거부로 난감한 상황으로, 정부가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면 지금과 같은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주 태봉초의 경우 단군상 철거 논란이 빚어졌지만, 편견 없는 역사교육에 임해달라는 국학운동시민연합의 설득 끝에 철회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참고문헌>
     1. 이건용, "공주서 또다시 불붙은 ‘단군상’ 철거 논란", 금강일보, 2015.3.15일자. 15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11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1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00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0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63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45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18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11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497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3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07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41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1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1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91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83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2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11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67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0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36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