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민족문제연구소 천안지부, 조병옥 동상 철거 주장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28 16:34

                                                                   민족문제연구소 천안지부, 조병옥 동상 철거 주장

▲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 기념 공원 내에 있는 '그날의 함성' 조형물 가운데 조병옥 박사로 추정되는 인물의 동상. 민족문제연구소 천안지회 제공 
     천안 병천면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 기념 공원’에 있는 ‘그날의 함성’ 조형물 가운데 조병옥 박사로 추정되는 동상을 조속히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족문제연구소 천안지회(이하 천안지회)는 25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석 조병옥은 1919년 4.1 만세운동 당시 미국에서 유학 중이었으며 제주 4.3항쟁 당시 경무부장으로 제주도민 약 3만 명을 학살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앞서 시는 2009년 10월 ‘3·1 운동 90주년’을 맞아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 기념 공원을 조성했다. 공원은 일본 헌병 주재소 부지와 ‘1919년 4.1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 당시 시위 군중이 헌병의 총에 맞아 순국한 장소를 보존, 역사 체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조성됐다.

     이곳에는 횃불을 든 유관순 열사 동상을 비롯해 10명의 인물을 표현한 ‘그날의 함성’ 조형물이 있다. 천안지회는 이 조형물 맨 뒷줄 왼편의 동상이 조병옥 박사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최기섭 지회장은 “이와 관련해 천안시는 ‘특정인을 표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지만 이 동상을 제작했던 작가로부터 조병옥임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당초 ‘그날의 함성’ 계획에는 가방을 멘 학생 동상을 세우려고 했는데 당시 천안박물관 학예사가 사진을 갖고와 교체를 요구, 응할 수밖에 없었다는 답변을 작가로부터 들었다고 최 지회장은 설명했다.  

     천안지회는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국가 권력의 폭력으로 무고한 양민을 학살하고 빨갱이라는 이념의 잣대를 씌워 제주도를 피로 억압한 경무부장 조병옥을 천안을 빛낸 인물로 홍보 책자 등에 홍보하고 독립만세 기념공원에 버젓이
상을 건립한 천안시는 70만 제주도민에게 사과하고 제대로 된 동상을 설치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조병옥 동상의 조속한 철거 후 김구응 의사(義士, 1887년 7월 27일~1919년 4월 1일)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동상을 설치하라고 요구했다. 김구응 의사는 실질적으로 4.1 아우내 만세 운동을 주도했으며 당일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앞장서다 일경의 총검에 그 자리에서 순국했다.

     천안지회는 또 △철거한 조병옥 동상의 사후처리를 논의하고 철거 사유를 명기할 것 △동상 철거 및 교체에 대한 기본 계획을 확정하고 조속한 시행 등을 천안시에 촉구했다.

     한편 천안시는 2021년 본예산으로 ‘그날의 함성’ 동상 일부 철거 및 교체를 위한 예산 5000만 원을 확보한 상태다.
                                                                                        <참고문헌>
    1. 이재범, “양민 학살 조병옥 동상, 천안 독립만세 기념공원서 빼라”, 충청투데이, 2021.2.25일자. 1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3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55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22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71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78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5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36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7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2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2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9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61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83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20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10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5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3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29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4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8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6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