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일 굴욕외교는 독립운동 선열들의 뜻을 거스르는 것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10 03:04

                       대일 굴욕외교는 독립운동 선열들의 뜻을 거스르는 것
   김원웅 광복회장(사진)이 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8독립선언 기념행사에서 “일본은 유독 한국에 대해서만 뻔뻔스러운 태도로 사과와 배상을 거부하고 있다”고 했다. 1919년 3·1운동의 도화선이 된 2·8독립선언 102주년을 맞아 도쿄 재일본한국YMCA에서 열린 기념식에 김 회장은 직접 참석하지 않고 서면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는 시시때때로 ‘한일 관계의 기본은 1965년 체결된 청구권협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일제 강점의 불법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협정문에는 일제가 자행한 반인류 범죄에 대한 진실 규명, 사과 및 배상에 대해 한 구절의 내용도 실려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일본은 그동안 역대 친일 정권들과의 야합적인 외교에만 익숙해 왔을 뿐 눈부시게 깨어난 한국인들의 역사 정의 실천 의지를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의 고압적인 태도에 굴복하고 외교를 구걸하는 굴욕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은 독립운동 선열들의 뜻을 거스르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참석자들은 대체로 한일 관계 개선을 강조했다. 김용길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 공사는 강창일 주일 대사의 기념사를 대독했다. 기념사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며 “정부는 상호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양국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대화와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여건이 재일본대한민국민단장도 기념사에서 “남북 관계와 한일 관계는 출구가 보이지 않는 어려운 상태”라며 “재일 동포뿐만 아니라 한일 양국의 차세대가 새로운 시대를 이뤄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참고문헌>

   1. 박형준, "일 정부에 굴복해 외교 구걸하는 건 굴욕", 동아일보, 2021.2.9일자. A5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9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67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28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75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8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7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4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32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5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6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22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66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88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26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15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501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7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33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8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35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50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