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당과 유생의 대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8 02:42

                                                                      무당과 유생의 대결


   중국 산둥(山東)성 취푸(曲阜)의 공자(孔子) 묘에는 면류관을 쓰고 용포를 입은, 화려한 제왕의 모습을 한 공자의 신상이 있다. 일본 도쿄(東京) 유시마성당(湯島聖堂) 등 공자를 모신 사당도 신사처럼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그러나 한국 곳곳에 퍼져 있는 공자와 유학자들을 모시는 사당에는 그들의 이름을 새긴 위패만 놓여 있을 뿐이다. 500년 역사 유교의 나라 조선왕조를 거친 한국에서 공자와 유자들이 이렇게 ‘푸대접’받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
   비교종교학자 한승훈의 새 책 ‘무당과 유생의 대결’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이다. 저자는 송나라의 신유교로 무장한 조선의 지배층이 마치 서구 종교개혁을 이끈 프로테스탄트처럼 유교화라는 강력한 종교개혁을 밀어붙였다고 말한다. 이전의 유교가 국가 제도와 의례 체계에 머물렀다면 신유교는 불교와 도교의 영역이었던 우주론과 수양론까지 모두 대체하려는 시도로 나타났다. 조선의 설계자 격인 정도전의 ‘불씨잡변’이 신호탄이었다.
   문화 전반을 유교화하려는 조선의 종교개혁은 유교의 종주국인 중국보다도 더 급진적인 양상을 띠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아이코노클래즘(iconoclasm), 즉 ‘형상에 대한 파괴’다. 16세기 들어 유생들은 불상을 파괴하고, 신당을 불태우고, 신상을 부숴 내다 버렸다. 성상 파괴는 공자상 철거에까지 이르렀다.
   이런 움직임은 조선왕조가 문을 닫을 때까지 이어져, 적어도 수도 한양에서는 사람들이 거대한 신상에 절하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그러나 조선의 종교전쟁이 유자들의 일방적 승리로 끝난 것은 아니다. 한양 도성을 한 발짝만 나가도 유교의 영향력은 급속히 약해졌다. 도성 출입을 금하는 법제를 비웃기라도 하듯 궁궐 안까지 들어가 활동한 무당도 여럿 있었다.
   저자는 “망자(亡者)의 영과 죽음의 세계에 대한 접근권에서는 무당의 우세가 유지됐다”며 “결국 민속종교 무대에서 조선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유교화를 완수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1. 오남석, "불상 신당 파괴했던 조선 유교...망자의 영역 무속의 힘은 넘지 못해", 문화일보, 2021.2.5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93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1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00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59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63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45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18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11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495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3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06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40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1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1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90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83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2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11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66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19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35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