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연세대 철학과 김형석 명예교수의 행복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2 03:46

                                                                      연세대 철학과 김형석 명예교수의 행복론

  

   김형석(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2021년에 102세가 됐습니다. 다들 ‘100세 시대’라지만, 지금 100세를 넘긴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지금껏 살아보니 알겠더군요. 아무리 행복해지고 싶어도 행복해지기 힘든 사람들이 있습니다.

   크게 보면 두 부류입니다. 우선 정신적 가치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물질적 가치가 행복을 가져다주진 않으니까요. 가령 복권에 당첨된 사람이 있어요. 그 사람이 과연 행복하게 살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정신적 가치를 모르는 사람이 많은 물건을 가지게 되면 오히려 불행해지고 말더군요.

   돈이나 권력, 혹은 명예를 좇는 사람은 행복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왜 그럴까요. 거기에는 ‘만족’이 없습니다. 돈과 권력, 명예욕은 기본적으로 소유욕입니다. 그건 가지면 가질수록 더 목이 마릅니다. 가지면 가질수록 더 배가 고픕니다. 그래서 항상 허기진 채로 살아가야 합니다. 행복하려면 꼭 필요한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그건 ‘만족’입니다.”

    ‘만족’을 알려면 어떡해야 합니까. 정신적 가치가 있는 사람은 만족을 압니다. 그런 사람들이 행복한 삶을 살더군요. 정신적 가치를 모르는 사람이 명예나 권력이나 재산을 거머쥘 때도 있습니다. 그런데 결국 불행해지더군요. 명예와 권력, 재산으로 인해 오히려 불행해지고 말더군요. 지금 우리 주위에도 그러한 사람들은 많이 있습니다.

    이기주의자들은 절대로 행복할 수가 없습니다. 이기주의자들은 나 자신을 챙기고, 내 이익을 챙깁니다. 그걸 위해 삽니다. 왜냐고요? 그래야 내가 행복해지니까요. 그런데 김형석 교수는 이기주의와 행복은 공존할 수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이기주의자는 자신만을 위해 삽니다. 그래서 인격을 못 가집니다. 인격이 뭔가요. 그건 인간관계에서 나오는 선한 가치입니다. 이기주의자는 그걸 갖추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인격의 크기가 결국 자기 그릇의 크기입니다. 그 그릇에 행복을 담는 겁니다. 이기주의자는 그릇이 작기에 담을 수 있는 행복도 작을 수밖에 없습니다.

    김형석 교수가 연세대 교수로 갈 때는 몹시 가난했어요. 고생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월급이 오르거나 보너스가 나오면 무척 좋아했어요. 동료 교수들도 다들 좋아했습니다. 그런데 그때도 등록금을 내지 못해 고생하는 제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스승이라는 사람이 자기 월급 올랐다고 좋아한 겁니다. 그건 교육자의 도리가 아니지요. 그 생각을 하면 지금도 미안하고 부끄럽습니다. 행복하질 않습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행복은 공동체 의식이지, 단독자인 나만을 위한 게 행복이 아니더군요.

    ‘100세 시대’라고 합니다. 다들 100세 인생을 기대합니다. 김형석 교수가 연세대 교수로 처음 갈 때 30대 중반이었어요. 그때는 환갑이 되고 정년이 되면 내 인생이 끝날 줄 알았습니다. 당시에는 인생을 두 단계로 봤어요. 30세까지는 교육을 받고, 나머지 30년은 직장에서 일한다. 그럼 인생이 끝난다. 막상 살아보니 그게 아니었어요. 가장 일을 많이 하고, 행복한 건 60세부터였어요. 내가 살아보니까 그랬습니다. 글도 더 잘 쓰게 되고, 사상도 올라가게 되고, 존경도 받게 되더군요. 사과나무를 키우면 제일 소중한 시기가 언제일까요. 열매 맺을 때입니다. 그게 60세부터입니다. 나는 늘 말합니다. 인생의 사회적 가치는 60부터 온다.

    60을 넘어 90까지는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사회적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그럼 90 이후에는 어떻게 되느냐. 되는 사람도 있고, 안 되는 사람도 있더군요. 주로 건강 때문입니다. 의사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혈압, 당뇨, 치매는 주로 60세 이후에 찾아옵니다. 그걸 60, 70, 80세가 돼서 관리하려고 하니까 힘이 듭니다. 그러니까 50세부터 잘 관리하면 됩니다. 그럼 90까지는 다 간다고 합니다. 90세까지는 행복하고 보람있게 살 수 있습니다. 의술이 발전하니까 40~50년 후에는 100세까지도 다들 행복하게 살 수 있겠지요.

    김형석 교수는 102세인데도 지팡이를 짚지 않습니다. 100세 넘는 연세에도 정신력과 기억력, 사고력과 판단력이 놀랍습니다. 유연하고 열린 사고 역시 젊은이들 못지않습니다. ‘100세의 건강’ 못지 않게 ‘100세의 정신’도 궁금하더군요.

    100세까지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려면 항상 공부를 해야 합니다. 뭐든지 배워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정신이 늙어버립니다. 사람들은 몸이 늙으면 정신이 따라서 늙는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아닙니다. 자기 노력에 따라 정신은 늙지 않습니다. 그때는 몸이 정신을 따라옵니다.

    김형석 교수는 강연차 지방에 갈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럼 거기서 지방 유지들을 만납니다. 장관 지낸 사람, 교수 지낸 사람들도 만납니다. 이야기를 해보면 다들 나보다 정신이 늙어 있습니다. 왜 그럴까. 가만히 생각해 봤습니다. 결국 장관직 끝내고, 정년퇴직하고 일도 안 하고 공부도 안 하기 때문이라는 걸 알겠더군요. 일과 공부를 안 하면 몸도 마음도 빨리 늙습니다.

    공부가 따로 있나요. 독서 하는 거죠. 취미 활동하는 거고요. 취미도 일 가운데 하나입니다. 100년을 살아보니 알겠더군요. 일하는 사람이 건강하고, 노는 사람은 건강하지 못합니다. 운동은 건강을 위해서 있고, 건강은 일을 위해서 있습니다. 내 친구 중에 누가 가장 건강하냐. 같은 나이에 일이나 독서를 제일 많이 하는 사람이 가장 건강합니다.

                                                                                          <참고문헌>

    1. 백성호, “김형석, 100년 살아보니 알겠다, 절대 행복할수 없는 두 부류", 중앙일보, 2021.2.1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76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9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16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8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74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3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3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24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09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8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6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55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8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8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03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90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0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26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0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5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44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