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도산서당과 농운정사 보물 지정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1 03:34

                                                                              도산서당과 농운정사 보물 지정                                


조선일보

지난 7일 경북 안동시 도산서원에서 퇴계 이황 선생의 14대손 이태원(왼쪽) 별유사와 15대손 이동신 별유사가 농운정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소박한 건축 미학이 전통 유교 문화의 정수를 잘 표현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농운정사와 도산서당은 최근 문화재청에서 보물로 신규 지정됐다. /김동환 기자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도산서원(陶山書院).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명소다. 조선시대 대표 유학자이자 ‘동방의 주자’로 불린 퇴계(退溪) 이황(1501~1570)은 이곳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삶의 마지막 10년을 인재 양성과 저술에 쏟았다. 제자들은 농운정사(隴雲精舍)에 머물며 스승의 학문 세계를 따랐다. 문화재청은 최근 도산서당과 농운정사를 각각 보물 2105호, 2106호로 지정했다. 향교와 서원이 보물로 지정된 적은 있지만, 서당이 목록에 오른 건 처음이다.
   지난 7일 도산서원을 찾았다. 소나무와 어우러진 흙길을 따라 고즈넉한 풍광이 펼쳐졌다. 안동호가 바로 지척. 퇴계 선생이 이름 지었다는 낙동강변 천연대(天淵臺)도 보였다.
                                                             1. 퇴계의 학문이 태동한 곳
   “퇴계의 학문과 영남 유림이 태동한 곳이 바로 여기 도산서당과 농운정사 아입니꺼.”
   퇴계 15대손(孫) 이동신(63) 별유사(別有司·서원 운영을 총괄하는 직책)가 말했다. 그는 “유림의 숙원이 마침내 이뤄졌다”며 “도산서당이 있었기에 도산서원이 존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원 출입문을 지나 오른쪽에 도산서당이 있다. 이곳에 터 잡은 퇴계가 1561년 완성한 배움의 공간이다. 16세기를 대표하는 서당 건축이자, 이후에도 ‘선비 건축’의 모델로 평가받는 곳이다. 28.9㎡(약 9평) 아담한 크기로, 3칸짜리(방·마루·부엌) 초기 서당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퇴계 생전의 건물 모습이 거의 달라지지 않고 유지돼 있다”며 “간결한 실내 구성이 선비의 일상을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선일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경북 안동 도산서원.


    서당은 학자나 관리가 낙향해 학문을 공부하거나 후학을 키우기 위해 세운 교육기관이다. 서원은 교육 기능에 더해 대학자나 선현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이 있다는 점에서 서당과 구별된다. 서당을 세운 뛰어난 학자가 세상을 떠난 뒤 제자들이 스승을 기리는 사당을 지을 때 비로소 서원이 완성된다. 도산서원도 퇴계 사후 4년 뒤인 1574년에 지어졌다.
    도산서원이 품은 또 다른 보물인 농운정사를 향했다. 쓰임새에 따라 갖가지 모양과 크기로 소박하게 만든 창문이 눈에 띄었다. 도산서당과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농운정사는 퇴계에게 배움을 청한 전국의 제자들이 오랜 기간 공부하며 머무르던 공간이다. 요즘으로 치면 학교 기숙사인 셈. ‘징비록’을 쓴 서애(西厓) 유성룡(1542~1607), 학봉(鶴峰) 김성일(1538~1593) 등 조선 중기 국난을 극복하고 유학을 부흥시킨 많은 학자가 이곳을 거쳤다.
    이천우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은 “도산서당과 농운정사는 퇴계 선생이 유학자로서의 철학을 건축물에 녹여낸 귀중한 문화재”라며 “소박한 건축 미학이 유교 문화를 잘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상일 안동시 문화유산과장은 “사적 문화재에서 보물로 지정되면 문화재적 가치와 위상이 함께 올라간다”고 말했다.
    도산서원이 품은 보물은 이 외에도 2개가 더 있다. 1963년 전교당(典敎堂)과 상덕사(尙德祠)가 각각 보물 210호와 211호로 지정됐다. 전교당은 유생들 교육이 이뤄지던 공간으로, 조선 최고 명필 한석봉이 썼다는 현판 글씨로 유명하다. 상덕사는 퇴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2. 유림과 서원의 본고장 경북은 ‘보물 창고’
    경북은 유림과 서원의 본고장이다. 조선 중종 37년(1542년)에 세워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꼽히는 소수서원(1542년)이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다. 지난해 말 문화재청은 강릉향교 명륜당(明倫堂), 순천향교 대성전(大成殿), 충북 옥천의 이지당(二止堂) 등 전국 향교 문화재 14건과 서원과 서당 각 3건 등 총 20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이 중 8곳(40%)이 경북 지역 서원과 향교였다. 새로 보물로 지정된 안동 병산서원(屛山書院) 만대루(晩對樓)는 서애 유성룡을 모신 서원의 누각 건물이다. 벽체 없이 전체를 개방해 자연의 경치를 서원 내부로 끌어들이는 ‘시각적 틀’로 평가받는다. 한국적 미학의 정수를 체험할 수 있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국가지정문화재가 오롯이 모인 경북 지역은 말 그대로 ‘보물 창고’”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이 밝힌 전국 보물 현황에 따르면 서울(716건)을 제외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경북이 가장 많은 보물(364건)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문헌>
    1. 권광순, "퇴계 숨결 살아있는 ‘도산서당’ ‘농운정사’ 보물 됐다", 조선일보, 2021.1.29일자. A14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854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31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484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51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49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37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10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498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484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397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593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21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64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04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80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72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53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01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59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06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27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