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주대, 충청남도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 사업'추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2.15 13:28

  충남 금산군 남일면 신동리에 위치한 사기소(士基所)'마을은 원래 사기소(沙器所)마을 이었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식으로 마을 이름이 바뀌었다. 이 마을은 조선시대 때 사기그릇을 굽던 장소여서 '사기소(沙器所)'로 명명됐는데 지명유래와 관계없는 일본식 지명으로 변해버린 것이다. 또한 아산시 송악면의 '복구(伏九)'는 원래 거북바위가 있어 복구리(伏龜里)라 했는데 구한말-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지명이 왜곡된 것으로 밝혀졌다.

  충남도가 사기소 마을처럼 일제 강점기부터 왜곡돼 사용하는 일본식 지명 등을 발굴, 우리 지명으로 복원하는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14일 역사·지리·국어 등 분야별 전문가 및 시군 지명업무 담당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일제강점기 시대 만들어진 일본식 지명의 조사정비를 통해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충남 지명의 전통성과 역사성을 정립하기 위한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3개 시군(아산시, 금산군, 서천군)의 자연·인공지명 6043건 중 한자 왜곡·단순화 등 일본식 의심지명 141건 및 도시개발 등으로 변화된 지역 또는 같은 지명이 반복 제정된 폐기·중복지명 381건을 조사했다. 특히 아직까지 지명이 고시되지 않은 미고시 지명 3889건에 대한 지명유래 전량을 조사하는 등 지명정비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조사를 위해 일제강점기 전후 문헌조사와 함께 이장, 지역원로 인터뷰 등 현지조사를 마쳤으며, 자문검토위원회와 시군 주민 의견 청취를 거쳐 지역 전통과 역사성을 반영, 시군·도·국가 지명위원회를 통해 정비대상 지명 등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도는 내년부터 보령·논산·계룡·부여·청양·홍성군을 중심으로 1만 647건의 지명을 조사해 일본식 지명 등을 파악·정비할 계획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지명은 지역 간, 주민 간 갈등을 초래할 수 있어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하는 만큼, 시군과 협업이 중요하다"며 "내년에도 지역내 일본식 지명을 찾아내 우리 지명으로 복구하는 작업을 계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충남 공주대학교(총장 원성수) 산학협력단(단장 임경호)이 지난 6일 충청남도에서 지원하는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에 국어교육과 이광호(교수) 교수가 선정돼, 향후 3년간 지원금 약 1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 이번 선정된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은 일제강점기 시대 만들어진 일본식 지명의 조사정비를 통해, 일제 잔재 청산 및 충청남도 지명 연구에 있어 전통성과 역사성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 연구는 일차적 조사가 아닌 다차원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객관적인 지명 정상화를 추진해 ▲지명의 유래 ▲고지도 및 고문헌의 표기지명 ▲실제 발음 등 역사적 자료의 실증으로 도내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 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광호 교수는 “공주대가 지역 거점 대학으로서 대학과 지역사회의 상생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 전통성 및 역사성을 정립하는 중심 연구기관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참고문헌>

   1. 류석만, "공주대, 충청남도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 사업' 추진", 충청투데이,  2020..4.7일자. 16면.    

   2. 은현탁, "일제강점기, 마을 이름까지 일본식으로 바꿨다 : 아산, 금산, 서천에서 일본식 의심지명 141건 조사", 대전일보, 2020.12.15일자. 5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11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44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03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61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6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47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2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15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00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05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10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45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73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13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094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486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64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14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70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22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38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