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암당 이유립과 부인 신매녀 여사 이야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1.02 02:57

                                                          한암당 이유립과 부인 신매녀 여사 이야기

      계연수가 살았다는 선천은 신의주 남쪽 서해안에 있는 평북의 군으로 삭주와는 80여km 떨어져 있다.

​      이기와   계연수는 이유립의 부친인  이관즙과 교류한 것으로 보인다.

​     계연수가 사망했을 때(1920) 이유립은 만 13세의 소년이었다.

​    이유립이 계연수에게 사사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으나 이유립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생전의 이유립은 계연수의 제자임을 자처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유립은 35세라는 늦은 나이에 21세인 삭주 출신의  신매녀(申梅女·86)씨와 결혼했다.

​    신매녀 할머니는 강화도  마니산에   단단학회(檀檀學會)’란 이름을 붙인 허름한 건물에서 살고 있는데,  유감스럽게도 그는 이유립씨에 대해 자세한 구술을 하지 못했다.

​   신매녀 할머니는 “그는 평생 책밖에 모르고 산 양반이었다.  월남할 때 나는 쌀을 졌는데, 그이는 책을 지고 나왔다”는 말로 설명을 마쳤다.

​    이유립은 네 살 때부터 한학을 공부했지만 신매녀 할머니는 겨우 한글을 깨우친 정도였다고 한다.

​    또 열네 살의 나이 차 때문에 남편을 어려워해 삭주에 살던 시절 남편을 찾아오는 사람들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했다.

​    물론 신매녀 할머니는 환단고기를 편찬해 이유립에게 전했다는 계연수가 누구인지도 기억하지 못했다.

​    하지만 남편과의 고단했던 살림살이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히 기억해냈다.

​    이유립·신매녀 부부는 남과 북에서 모두 1남5녀를 낳았다.

​    이북에 있을 때는 이유립 선생이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으로 먹고살았고, 이남에 내려온 다음에는 신 할머니가 온갖 궂은일을 한 덕에 입에 풀칠을 했다고 한다.

​    두 사람은 이유립씨가 41세, 신매녀씨가 27세이던 1948년쯤 월남하는데,  신씨는 그 이유를  “(토지개혁에 의해) 토지를 빼앗겼기 때문”이라고 했다.

​    부부는 황해도 해안을 통해 38선을 넘었는데, 이유립이 3월에 혼자서 38선을 넘고 신매녀씨는 아이들과 함께 5월에 38선을 넘었다고 한다.

​    그런데 3월에 38선을 넘은 남편이 다시 이북으로 넘어갔다가 붙잡혀 북한에서 1년여 동안 감옥살이를 했다.

​    그 사이 신씨는 아이들과 38선을 넘어가 남한의 수용소에 수용됐다가, 수용소에서 정해준 청주에서 살림을 차리게 됐다.

​    그때만 해도 남북 사이엔 편지 왕래가  가능했으므로 그는 삭주에 있는 친정에  ‘청주에 거처를 마련했다’는 편지를 보냈다.

​                                                                                         <참고문헌>

​   1.  이정훈,  "이유립의 부인 신매녀 : 한단고기 찾아서  20편", 동아일보, 2020.11.2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9 2018.04.12
2225 이문열 소설이 겪은 검열 수난 사진 신상구 667 2024.07.22
2224 신숙주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528 2024.07.21
2223 김형석의 100년 산책, 만일 내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신상구 475 2024.07.21
2222 유명 역사 강사 설민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표절 심경 고백 사진 신상구 585 2024.07.20
2221 김부식의 금 사대 현실론은 역사 퇴보였나 사진 신상구 657 2024.07.20
2220 제헌절이 부끄러운 국회,1748개 법안 중 가결 `1개` 사진 신상구 641 2024.07.18
2219 <특별기고> 제헌절 76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532 2024.07.18
2218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515 2024.07.17
2217 애국의 꽃으로 피어난 신앙, 조국을 가슴에 품다 사진 신상구 416 2024.07.16
2216 ‘고용 없는 성장’의 오해와 진실 신상구 622 2024.07.14
2215 폐지줍는 노인 1만4831명, 평균 78세, 월 77만 원 번다 신상구 566 2024.07.11
2214 인공지능의 미래 예측 난해 신상구 588 2024.07.07
2213 아름다운 것을 그렸더니 그게 조국이었다 사진 신상구 426 2024.07.05
2212 대한민국 3대 악성 사진 신상구 1115 2024.07.04
2211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사진 신상구 501 2024.07.04
2210 ‘최초의 한류’ 조선통신사 길 따라 ‘경요세계’ 정신 배우다 신상구 577 2024.07.03
2209 목은 이색의 충절과 문향 사진 신상구 633 2024.07.03
2208 한국 가계 빚 2246조, 10년 상승폭 선진국 중 1위 신상구 688 2024.07.02
2207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과 기회 사진 신상구 435 2024.07.02
2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업적 30가지 사진 신상구 550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