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농 김가진 서예전 ‘백운서경’ 전시 기자 간담회에서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개성 박연폭포 암벽에 새긴 김가진의 성명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농 김가진 서예전 ‘백운서경’ 전시 기자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7.24 08:54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농 김가진 서예전 ‘백운서경’ 전시 기자 간담회에서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개성 박연폭포 암벽에 새긴 김가진의 성명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동농 김가진(1846~1922)은 항일독립운동단체 조선민족대동단을 조직했고, 상하이 임시정부의 고민으로 항일투쟁을 했던 독립운동가였다. 대한제국의 대신으로 74세의 노구를 이끌고 상하이로 망명했다. 아들(김의한), 며느리(정정화), 손자(김자동)까지 3대가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그동안 김가진은 독립운동가로서 알려졌지만 당대 명필로도 이름을 날렸다.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서예가로서 그의 면모를 재조명하는 서예전 ‘백운서경(白雲書境)’이 열린다. 김가진의 최초 서예전으로, 기획과 총감독을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맡았다.

23일 예술의전당에서 전시 개막을 기념해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유 전 청장은 “김가진의 서예전으로 꾸며졌지만 김가진이라는 근대의 위인을 세상에 널리 올바로 알리자는 뜻도 있다”고 말헸다.

김가진은 어릴때부터 서예에 심취해 한국과 중국의 역대 명서가들의 글씨를 두루 학습했다. 50대 후반 송나라 미불, 명나라 동기창, 조선의 원교 이광사 서풍을 토대로 자신만의 ‘동농체’ 행서·초서 서풍을 완성한다. 유 전 청장은 “당시는 추사체나 중국의 하소기, 유용 같은 청나라 서풍이 유행하던 시기였지만 그는 이를 따르지 않았고 ‘글씨의 생동감과 활력, 자연스러움’을 중시했다”고 소개했다.

23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농 김가진 서예전 ‘백운서경’ 전시 기자 간담회에서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창덕궁에 그가 쓴 글씨가 다수 걸려있으며, 독립문의 편액 글씨도 김가진이 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독립문 글씨를 쓴 사람이 이완용이라는 설도 있지만 유 전 청장은 “필법 등으로 볼 때 김가진이 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시에선 창덕궁 편액을 비롯해 유명 사찰의 현판과 간찰, 직접 지은 한시 등 200여 편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전시명 백운서경(白雲書境)은 백운동 골짜기에 백운장(白雲莊)이라는 집을 짓고 스스로 백운동주인(白雲洞主人)이라고 한 일화에서 따왔다. 백운동 골짜기 암벽에는 김가진이 쓴 ‘백운동천(白雲洞天)’ 글씨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김가진이 쓴 ‘백운동천’ 암각 글씨. 지금의 서울 자하문 터널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경향신문
창덕궁 관람정 편액. 동농문화재단 제공© 경향신문
김가진이 충정공 민영환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만장. 동농문화재단 제공© 경향신문
                                                     <참고문헌>
  1. 이영경,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유홍준 “김가진이라는 근대 위인 바로 알리고자”, 경향신문, 2024.7.24일자.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농 김가진 서예전 ‘백운서경’ 전시 기자 간담회에서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개성 박연폭포 암벽에 새긴 김가진의 성명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동농 김가진(1846~1922)은 항일독립운동단체 조선민족대동단을 조직했고, 상하이 임시정부의 고민으로 항일투쟁을 했던 독립운동가였다. 대한제국의 대신으로 74세의 노구를 이끌고 상하이로 망명했다. 아들(김의한), 며느리(정정화), 손자(김자동)까지 3대가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그동안 김가진은 독립운동가로서 알려졌지만 당대 명필로도 이름을 날렸다.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서예가로서 그의 면모를 재조명하는 서예전 ‘백운서경(白雲書境)’이 열린다. 김가진의 최초 서예전으로, 기획과 총감독을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맡았다.

23일 예술의전당에서 전시 개막을 기념해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유 전 청장은 “김가진의 서예전으로 꾸며졌지만 김가진이라는 근대의 위인을 세상에 널리 올바로 알리자는 뜻도 있다”고 말헸다.

김가진은 어릴때부터 서예에 심취해 한국과 중국의 역대 명서가들의 글씨를 두루 학습했다. 50대 후반 송나라 미불, 명나라 동기창, 조선의 원교 이광사 서풍을 토대로 자신만의 ‘동농체’ 행서·초서 서풍을 완성한다. 유 전 청장은 “당시는 추사체나 중국의 하소기, 유용 같은 청나라 서풍이 유행하던 시기였지만 그는 이를 따르지 않았고 ‘글씨의 생동감과 활력, 자연스러움’을 중시했다”고 소개했다.

23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농 김가진 서예전 ‘백운서경’ 전시 기자 간담회에서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창덕궁에 그가 쓴 글씨가 다수 걸려있으며, 독립문의 편액 글씨도 김가진이 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독립문 글씨를 쓴 사람이 이완용이라는 설도 있지만 유 전 청장은 “필법 등으로 볼 때 김가진이 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시에선 창덕궁 편액을 비롯해 유명 사찰의 현판과 간찰, 직접 지은 한시 등 200여 편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전시명 백운서경(白雲書境)은 백운동 골짜기에 백운장(白雲莊)이라는 집을 짓고 스스로 백운동주인(白雲洞主人)이라고 한 일화에서 따왔다. 백운동 골짜기 암벽에는 김가진이 쓴 ‘백운동천(白雲洞天)’ 글씨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김가진이 쓴 ‘백운동천’ 암각 글씨. 지금의 서울 자하문 터널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경향신문
창덕궁 관람정 편액. 동농문화재단 제공© 경향신문
김가진이 충정공 민영환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만장. 동농문화재단 제공© 경향신문
                                                <참고문헌>
  1. 이영경,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유홍준 “김가진이라는 근대 위인 바로 알리고자”, 경향신문, 2024.7.24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245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한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이야기 사진 신상구 522 2024.07.30
2244 공화정 지키려 카이사르 암살, 결과는 제국의 탄생 사진 신상구 388 2024.07.28
2243 영화배우 유지태씨, 미국서 북한 인권 침해 실태 고발 사진 신상구 398 2024.07.28
2242 유럽 전도사 이원복 교수의 신유럽론 사진 신상구 389 2024.07.28
2241 지방대 신화 박근희 부회장의 성공 키워드 사진 신상구 722 2024.07.28
2240 유엔군 참전의 날을 경축하며 신상구 498 2024.07.28
2239 김호연재, 겉도는 남편에 치솟는 비통함, 240수 시로 달래 사진 신상구 426 2024.07.27
2238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상구 626 2024.07.26
2237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 신상구 555 2024.07.25
2236 ‘독립문’ 글자 누가 썼을까 사진 신상구 675 2024.07.24
2235 대전시, 우수건축문화유산 308건, 동구·중구서 가장 많아 사진 신상구 451 2024.07.24
2234 귀여움을 이용해라, 우리 증산도의 귀여운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안창현 648 2024.07.24
>> 명필로 이름날렸던 독립운동가 김가진 선생 서예전 23일 오전 서울 사진 신상구 409 2024.07.24
2232 '아침이슬'처럼 떠나 별이 된 김민기 사진 신상구 499 2024.07.24
2231 문명사적 변혁과 대혼란 사진 신상구 506 2024.07.23
2230 고통받은 프리다 칼로, 삶 예찬하는 수박 그림 남겨 신상구 574 2024.07.23
2229 한국화 대가 청전 이상범 사진 신상구 672 2024.07.22
2228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신상구 545 2024.07.22
2227 학전 이끈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소식 사진 신상구 473 2024.07.22
2226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의 큰 별, 박걸순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42 2024.07.22